1. 미디어 교육과정의 개발 및 활용 1) 미디어 교육과정의 개발 목적 2) 미디어 교육과정의 내용 3) 미디어 교육과정의 특징 4) 미디어 교육과정의 활용방안 2. 미디어 교육과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8997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미디어 교육과정의 개발 및 활용 1) 미디어 교육과정의 개발 목적 2) 미디어 교육과정의 내용 3) 미디어 교육과정의 특징 4) 미디어 교육과정의 활용방안 2. 미디어 교육과 교...
1. 미디어 교육과정의 개발 및 활용
1) 미디어 교육과정의 개발 목적
2) 미디어 교육과정의 내용
3) 미디어 교육과정의 특징
4) 미디어 교육과정의 활용방안
2. 미디어 교육과 교수-학습
1) 학습자의 인지발달 특성
2) 프로젝트 중심 학습
3) 협력학습
4) 상징체계이론
5) 지각이론
6) 창의성 이론
미디어 교육 과정 개요
1. 미디어가 뭔지 아니?
2. TV와 나
3. 이런 방송국 저런 방송국
4. 9시 뉴스의 비밀
5. 나는 이런 사람!
6. 샷을 알려주마
7. 내 손으로 만드는 뉴스
8. 나는야, 광고쟁이!
9. 다큐멘터리를 만들자!
10. 하자 하자 시사회
읽기 자료
비디오 자료
국문 초록 (Abstract)
최신 정보통신 기술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이 급속하게 발달함에 따라서 뉴미디어의 등장이 가속화되고, 보급의 속도 역시 빨라져 우리는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이 시...
최신 정보통신 기술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이 급속하게 발달함에 따라서 뉴미디어의 등장이 가속화되고, 보급의 속도 역시 빨라져 우리는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서 생성되는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적용 및 평가 과정을 통해 스스로 적절한 정보를 창출해내는 능력이다.
미디어교육은 미디어의 언어와 문법, 그리고 미디어의 조작과 기술, 활용방법 등을 알고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을 읽고 쓰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자와 문법 등을 배워야 하는 것과 같이 나날이 새롭게 등장하는 미디어를 활용하고, 그 미디어의 문법과 기술, 내용적 분석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미디어해독교육(media literacy)을 받아야 한다.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 언어 등을 통하여 새로운 언어, 즉 영상 언어의 형태로 생각하고, 이해하며, 표현하는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라기보다는 교육에 의해서 습득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교육의 방향은 크게 비판적 시청 기술 향상과 프로그램 제작을 통한 미디어의 적극적 이해 등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되어온 미디어교육은 주로 비판적 시청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미디어교육에 대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고, 빠르게 미디어교육을 확산시킬 수 있었지만, 어떤 측면에서는 자칫 잘못하면 학생들이 미디어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될 수 있다. 또한 비판적인 시청 기술 위주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은 마땅한 대안을 찾기 어려울 경우 일시적인 교육 효과만을 갖게 되어 지속적으로 미디어교육을 실시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제작 위주의 미디어교육의 경우 미디어에 대해서 비판하기 이전에 미디어를 통해 프로그램을 제작해봄으로써 미디어가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고, 미디어가 갖는 다양한 문법이나 특징들을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더욱 적극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제작 중심의 미디어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미디어 환경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고, 비판적이고 능동적인 미디어 수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학습활동은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협동심을 기를 수 있도록 모둠 중심의 제작 활동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