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항만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고, 항만시설에 대한 국제경쟁력 저하의 원인을 항만투자의 부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항만산업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48895
2008
Korean
Port ; Distribution ; National Economy ; Investment Cost ; Port Industry ; 항만 ; 물류 ; 국가경제 ; 투자재원조달
KCI등재
학술저널
317-334(1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항만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고, 항만시설에 대한 국제경쟁력 저하의 원인을 항만투자의 부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항만산업의 ...
본 연구에서는 항만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고, 항만시설에 대한 국제경쟁력 저하의 원인을 항만투자의 부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항만산업의 투자비 조달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주요 내용은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이다. 이들의 분석을 통하여 본 결과 항만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대형화에 대비한 대수심의 확보, 항만서비스의 향상과 생산성의 제고, 대형선사의 부두운영참가 등을 통해 항만산업 발전에 투자를 해야 한다. 그런데 항만개발에 따른 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단위의 비용이 투입되는 산업분야이다
따라서 항만산업은 산업구조상 국가경제에 미치는 전후방 파급효과가 매우 크며, 또한 항만은 특성상 조기에 확보하기가 어렵고, 거대한 자본이 소요된다. 우선 항만물류의 효율성을 제고되는 것이 중요하며, 소프웨어적 측면과 하드웨어적인 항만시설의 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항만시설투자에 적극적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rt industry has achieved a remarkable growth with a help from increase in container shipment and above all, transshipment that reflects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Port industry amounts to 36% of the national harbor shipment. Therefore, this ...
Port industry has achieved a remarkable growth with a help from increase in container shipment and above all, transshipment that reflects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Port industry amounts to 36% of the national harbor shipment. Therefore, this study speculates the impact of Port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using the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As it considers the reason why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Port facilities decreased as absence of investment, it is to present an effective investment plan for Port industry.
Though Port industry as one of main national key industr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duction of national economy, it has been evaluated as having relatively less importance. And when Port industry is managed independently, relying on foreign countries without improvement, price increase due to improper agreement of foreign enterprises and problems relating to securing safe transportational vehicles will have tremendous impact on national economy. And they should try to create added-value and support re-export of the exported and imported shipment through their processing and packaging by making Port zones bonded a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성동, "해운산업과 관련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해운물류학회 39 (39): 29-49, 2003
2 정봉민, "해운․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3 김창범, "해상운송의 물동량 예측과 항만물류정책-승법 계절ARIMA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항만경제학회 23 (23): 149-162, 2007
4 조계석, "항만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0
5 정봉민, "항만산업의 국민경제적 기여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15 : 1998
6 장병기, "항만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부산항의 증심 준설전략: 재무적 타당성을 중심으로" 47-69, 2008
7 신계선,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부산 신항의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3 (23): 115-148, 2007
8 이진우, "항만 리모델링사업과 경제성 분석모형" 129-, 2008
9 박용안, "한․중․일 컨테이너운송의 협력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10 정봉민, "한․중․일 FTA 결성이 해운항만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1 오성동, "해운산업과 관련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해운물류학회 39 (39): 29-49, 2003
2 정봉민, "해운․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3 김창범, "해상운송의 물동량 예측과 항만물류정책-승법 계절ARIMA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항만경제학회 23 (23): 149-162, 2007
4 조계석, "항만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0
5 정봉민, "항만산업의 국민경제적 기여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15 : 1998
6 장병기, "항만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부산항의 증심 준설전략: 재무적 타당성을 중심으로" 47-69, 2008
7 신계선,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부산 신항의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3 (23): 115-148, 2007
8 이진우, "항만 리모델링사업과 경제성 분석모형" 129-, 2008
9 박용안, "한․중․일 컨테이너운송의 협력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10 정봉민, "한․중․일 FTA 결성이 해운항만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11 전찬영, "최근 컨테이너물동량 증가추세 둔화의 대내외적 변동 요인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12 방희석, "중국항만개발전략에 따른 우리나라 항만개발과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13 (13): 60-,
13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항만운영팀), "전국항 컨테이너화물 유통추이 및 분석(2002년-2006년)"
14 조진행, "우리나라 항만개발 투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30) : 43-, 2000
15 정필수, "새로운 항만개발 및 관리제도의 구축방안" KMI 33-, 1998
16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17 장영태,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 부문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2 (22): 35-60, 2006
18 이태우,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상호비교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51 : 47-67, 2006
19 이태우,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상호비교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51 (51): 47-67, 2006
20 정봉민, "산업연관분석방법에 의한 해운항만서비스 가격변동의 물가파급효과 추정"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2 (12): 2004
21 강광화,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2
22 김정수, "부산 "신항"과 광양항의 특성 비교분석 및 발전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 21 (21): 1-31, 2005
23 박영태, "동북아 허브 항만을 위한 부산 신항의 경쟁력 강화 방안" 한국물류학회 16 (16): 53-84, 2006
24 Geoffroy CAude, "World Port Organization"
25 MARAD, "United States Port Development Expenditure Report" 1998
26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7년 세계주요항만 물동량 현황과 분석"
한국물류기업의 국제네트워크 구축요인 및 방안에 관한 연구
Impact of Port and Port Related Industries on Busan Regional Econom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9 | 0.99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4 | 0.93 | 1.08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