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문
- Ⅰ. 서론: 재미한인사회 속의 5.18 찾기
- Ⅱ. 기존연구와 트랜스내셔널 광주
- Ⅲ. 분석 자료와 방법
- Ⅳ. 1980년대 재미한인사회: 비 정치화된 소수민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0462
2020
Korean
340
KCI등재
학술저널
1-33(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용주, "카터 행정부의 대한(對韓)정책 프레임 전환과 5.18 – 주한미대사관과 미국국무성 간 전문 분석을 중심으로" 5.18기념재단 2017
2 배하은, "재현 너머의 증언 : 1980년대 임철우, 최윤 소설의 5․18 증언-재현 문제에 관하여" 상허학회 50 : 491-541, 2017
3 황광우, "임을 위한 행진: 윤한봉 전기" 오월의 봄 2017
4 정근식, "이재유 연구-1930년대 서울의 혁명적 노동운동" 28 : 211-217, 1994
5 김경일, "이재유 연구-1930년대 서울의 혁명적 노동운동" 창작과 비평사 1993
6 윤한봉, "운동화와 똥가방" 한마당 1996
7 노영기, "왜 『그들의 5·18』을 썼나 — ‘기록의 역사, 사실의 공백 그리고 책임’에 답하며" 한국사회사학회 (126) : 261-270, 2020
8 최용주, "안보우선의 경로종속성 - 1979∽1980년 5월까지 미국의 대한(對韓)정책 분석" 5.18기념재단 2017
9 박태균, "서평 근현대 인물연구의 주관성과 객관성-김경일, <이재유연구>; 심지연, <허헌연구>; 염인호,<김원봉연구>" 14 : 266-280, 1994
10 심영의, "살아남음과 살아있음의 간극:5・18소설들의 경우" 5.18연구소 16 (16): 141-171, 2016
1 최용주, "카터 행정부의 대한(對韓)정책 프레임 전환과 5.18 – 주한미대사관과 미국국무성 간 전문 분석을 중심으로" 5.18기념재단 2017
2 배하은, "재현 너머의 증언 : 1980년대 임철우, 최윤 소설의 5․18 증언-재현 문제에 관하여" 상허학회 50 : 491-541, 2017
3 황광우, "임을 위한 행진: 윤한봉 전기" 오월의 봄 2017
4 정근식, "이재유 연구-1930년대 서울의 혁명적 노동운동" 28 : 211-217, 1994
5 김경일, "이재유 연구-1930년대 서울의 혁명적 노동운동" 창작과 비평사 1993
6 윤한봉, "운동화와 똥가방" 한마당 1996
7 노영기, "왜 『그들의 5·18』을 썼나 — ‘기록의 역사, 사실의 공백 그리고 책임’에 답하며" 한국사회사학회 (126) : 261-270, 2020
8 최용주, "안보우선의 경로종속성 - 1979∽1980년 5월까지 미국의 대한(對韓)정책 분석" 5.18기념재단 2017
9 박태균, "서평 근현대 인물연구의 주관성과 객관성-김경일, <이재유연구>; 심지연, <허헌연구>; 염인호,<김원봉연구>" 14 : 266-280, 1994
10 심영의, "살아남음과 살아있음의 간극:5・18소설들의 경우" 5.18연구소 16 (16): 141-171, 2016
11 최용주, "미국의 주류언론에 투영된 광주항쟁: 비판적 검토" 5.18기념재단 2017
12 김상봉, "만남의 철학 : 김상봉과 고명섭의 철학 대담" 길 2015
13 최용주, "두 미국 관료의 한국 정세 인식과 광주항쟁: 윌리암 글라이스틴과 존 위컴의회고록 분석" 5.18 기념재단 2017
14 김희송, "군 기록물 분석을 통한 5・18민주화운동 연구:국보위 ‘광주사태’ 보고서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20 (20): 5-52, 2020
15 최용주, "광주항쟁과 초국적 후원 네트워크" 한국학중앙연구원 43 (43): 49-83, 2020
16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광주, 여성: 그녀들의 가슴에 묻어둔 5.18 이야기" 후마니타스 2012
17 Kim, Mikyoung, "’This Is Not the America We Dreamed About’vs. ‘You Don’t Treat Us Right" 34 (34): 223-259, 2001
18 전흥남, "‘5․18광주민주화운동’과 ‘기억’의 방식 - 문순태의 5․18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58) : 73-104, 2015
19 Gurr, Ted, "Why Men Reb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20 Smelser, Neil J., "Theory of Collective Behavior" Collier-Macmillan 1962
21 Olson, Mancur,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5
22 Min, Pyong Gap, "The Structure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Immigrant Churches in the United States" 26 : 1370-1394, 1992
23 Min, Pyong Gap, "The Middleman Minor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23 : 179-202, 1994
24 Patterson, Wayne, "The Korean Frontier in America: Immigration to Hawaii, 1896-1910"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8
25 McCarthy, John D., "Resource Mobilization and Social Movements:A Partial Theory" 82 (82): 1212-1241, 1977
26 Meyer, David S., "Protest and Political Opportunities" 30 : 125-145, 2004
27 Min, Pyong Gap, "Problems of Korean Immigrant Entrepreneurship" 24 : 436-455, 1990
28 McAdam, Doug, "Political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Black Insurgency, 1930-197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29 Light, Ivan, "Immigrant Entrepreneurs: Koreans in Los Angeles, 1965-198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30 Lee, Eunsook, "Engaging Korean Americans in Civic Activism" 합수 윤한봉 기념사업회
31 Kim, Eun-Young, "Career Choice among Second-Generation Korean-Americans: Reflections of a Cultural Model of Success" 24 (24): 224-248, 1993
32 Abelmann, Nancy, "Blue Dreams: Korean Americans and the Los Angeles Rio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33 Straub, David, "Anti-Americanism in Democratizing South Korea. Stanford"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2015
34 김희송, "5・18민주화운동의 재구성: 계엄군의 사격행위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17 (17): 5-58, 2017
35 김재윤, "5・18민주화운동 부인죄 도입의 필요성과 헌법적 정당성" 5.18연구소 16 (16): 33-60, 2016
36 정문영, "5・18 광주민중항쟁 시기 ‘광주폭격계획’ 의혹과 미국인의 광주 소개(疏開):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5.18연구소 18 (18): 5-52, 2018
37 심영의, "5・18 가해자들의 기억과 트라우마: 5・18소설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7 (17): 5-38, 2017
38 김정한, "5·18항쟁 시기에 일어난 일가족 살인사건―전쟁, 학살, 기억" 역사문제연구소 (102) : 363-401, 2013
39 이종인,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인물의 미국에 대한 인식: 윤한봉과 윤상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91-147, 2012
40 한국기자협회, "5.18특파원 리포트" 풀빛 1997
41 학술단체협의회, "5.18은 끝났는가" 푸른숲 1999
42 안재성, "5.18 민주화 운동 마지막 수배자 윤한봉" 창작과 비평사 2007
43 노성만, "5.18 10일간의 야전병원: 전남대학교병원 5.18민주화운동 의료활동집" 전남대학교병원 2017
44 안길정, "1980년 5월 시위대의 선제무장설 비판" 호남사학회 (68) : 147-173, 2017
45 김희송, "1980년 5월 광주, 그리고 북한- ‘북한 개입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5.18연구소 16 (16): 33-74, 2016
46 박영주, "1960∼80년대 민주화운동 참여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광주광역시 거주자들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4 (14): 73-108, 2014
47 5.18기념재단,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5.18의 기억과 역사 1-8" 5.18기념재단 2006
War Memorials and Memories of Wars: Indians Commemorate Subhas Chandra Bose in Tokyo
한국의 준연동형 선거제도 개혁과정 평가-주체, 목적, 정치적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 선거에 나타난 이슈 대중(issue public)의 특성과 투표 성향: 20대 총선과 19대 대선의 경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10-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21st centry Political Science Review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21세기정치학회보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8 | 0.572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