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法定里 漢譯 地名 硏究 Ⅲ-忠北 淸原郡 加德面과 文義面을 中心으로- = A Study on Chinese-translated Names of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Ⅲ-Centered on Gadeok-myeon and Munui-myeon, Cheongwo-gun, Chungb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Chinese-translated names are reflecting the etymology of natural village name, by targeting 6 names of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of Gadeok-myeon and Munui-myeon in Cheongwon- gun.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should be named in various ways.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the method by using an original word of natural village name. It will cover a half breed word as well, if necessary. When a natural village name made with a native tongue is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 declaration must be used. In this case, it is an accurate way to read Korean translation for Chinese character. Therefore, I analyze the process of Chinese-Korean translation by focusing on Chinese words, which have been wrongly translated so far. Furthermore, in the previous research(Kim, 2010a, 2011), Kim discussed the above matter based on Naesu-eup, Ochang-eup, Nangseong-myeon, Miwon-myeon in Cheongwon-gun. The Further research will be continued to study the village names of the whole Cheongwon-gun areas, as it will suggest a standard for naming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Chinese-translated names are reflecting the etymology of natural village name, by targeting 6 names of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of Gadeok-myeon and Munui-myeon in Cheongwon- gun. The legally registe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Chinese-translated names are reflecting the etymology of natural village name, by targeting 6 names of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of Gadeok-myeon and Munui-myeon in Cheongwon- gun.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should be named in various ways.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the method by using an original word of natural village name. It will cover a half breed word as well, if necessary. When a natural village name made with a native tongue is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 declaration must be used. In this case, it is an accurate way to read Korean translation for Chinese character. Therefore, I analyze the process of Chinese-Korean translation by focusing on Chinese words, which have been wrongly translated so far. Furthermore, in the previous research(Kim, 2010a, 2011), Kim discussed the above matter based on Naesu-eup, Ochang-eup, Nangseong-myeon, Miwon-myeon in Cheongwon-gun. The Further research will be continued to study the village names of the whole Cheongwon-gun areas, as it will suggest a standard for naming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淸原郡 加德面과 文義面의 6개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그 한자 이름이 자연리 이름의 어원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법정리를 命名할 때에는 기존 자연리 이름을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물론 이 때에도, 자연리 이름은 고유어․혼종어․한자어 등 다양하다. 본 연구는 이 중 고유어로 된 자연리 이름을 이용하는 방법을 논의 대상으로 삼되, 필요한 경우에는 혼종어로 된 경우도 다룰 것이다. 고유어로 된 자연리 이름이 한역화할 때에는 차자 표기 방식이 적용된다. 차자 표기는 音讀法․音借法․訓讀法․訓借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훈독법에 의한 한역화가 올바른 방식이다. 본 연구는 잘못 한역화된 것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한역화 과정을 분석한다. 필자는 김진식(2010a, 2011)에서 淸原郡 內秀邑과 梧倉邑, 琅城面과 米原面의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이런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 淸原郡 전 지역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淸原郡 加德面과 文義面의 6개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그 한자 이름이 자연리 이름의 어원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법정리를 命名할 때에는 기존 자연리 이름...

      이 글은 淸原郡 加德面과 文義面의 6개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그 한자 이름이 자연리 이름의 어원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법정리를 命名할 때에는 기존 자연리 이름을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물론 이 때에도, 자연리 이름은 고유어․혼종어․한자어 등 다양하다. 본 연구는 이 중 고유어로 된 자연리 이름을 이용하는 방법을 논의 대상으로 삼되, 필요한 경우에는 혼종어로 된 경우도 다룰 것이다. 고유어로 된 자연리 이름이 한역화할 때에는 차자 표기 방식이 적용된다. 차자 표기는 音讀法․音借法․訓讀法․訓借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훈독법에 의한 한역화가 올바른 방식이다. 본 연구는 잘못 한역화된 것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한역화 과정을 분석한다. 필자는 김진식(2010a, 2011)에서 淸原郡 內秀邑과 梧倉邑, 琅城面과 米原面의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이런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 淸原郡 전 지역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문헌연구소, "호서읍지 2(영인본)" 아세아문화사 1984

      2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3(충북편)" 선일인쇄사 1970

      3 도수희, "한국지명 연구" 이회 1999

      4 도수희, "한국지명 신 연구" 제이앤씨 2010

      5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6 한글학회, "한국땅이름사전(상․중․하)" 한글학회 1991

      7 한국학문헌연구소, "충청도읍지 1(영인본)" 한일문화사 1985

      8 김진식, "청원지명의 음운론" 개신어문연구회 7 : 113-147, 1990

      9 김진식, "청원군지명유래" 일광 2008

      10 청원문화원, "청원군 지명지" 일광 1997

      1 한국학문헌연구소, "호서읍지 2(영인본)" 아세아문화사 1984

      2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3(충북편)" 선일인쇄사 1970

      3 도수희, "한국지명 연구" 이회 1999

      4 도수희, "한국지명 신 연구" 제이앤씨 2010

      5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6 한글학회, "한국땅이름사전(상․중․하)" 한글학회 1991

      7 한국학문헌연구소, "충청도읍지 1(영인본)" 한일문화사 1985

      8 김진식, "청원지명의 음운론" 개신어문연구회 7 : 113-147, 1990

      9 김진식, "청원군지명유래" 일광 2008

      10 청원문화원, "청원군 지명지" 일광 1997

      11 김진식, "청원군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후부요소를 중심으로" 중원언어학회 4 : 63-137, 2000

      12 김진식, "청원군 지명의 명명 유연성" 개신어문학회 15 : 37-75, 1998

      13 김진식, "청원군 지명 연구-전부요소의 고어를 중심으로" 중원언어학회 1 : 35-62, 1997

      14 김진식, "청원군 소재 산명의 후부요소 연구" 어문연구학회 34 : 27-56, 2000

      15 충청북도, "지명지" 고려서적주식회사 1987

      16 김진식, "지명연구방법론" 박이정 2008

      17 김진식, "지명 ‘鳴梁’과 ‘露梁’의 어원 고찰" 국제언어인문학회 30 (30): 241-263, 2006

      18 김진식, "증평군지명유래" 디자인뱅크 2010

      19 김진식, "자연부락명의 명명 유연성 연구-청원군 북이면을 중심으로" 중원언어학회 5 : 37-93, 2001

      20 도수희, "용비어천가의 지명주석에 대하여, In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태학사 61-77, 1990

      21 김주원,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22 김진식, "법정리명의 명명법 연구" 개신어문학회 22 : 19-48, 2004

      23 김진식,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Ⅱ" 한국중원언어학회 (19) : 39-52, 2011

      24 도수희, "백제어의"己"에 대하여, In 백제어 연구(Ⅱ)-어원․어휘론을 중심으로" 백제문화개발연구원 87-99, 1989

      25 도수희, "백제어 연구(Ⅲ)"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4

      26 도수희, "백제어 연구(Ⅰ)"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7

      27 도수희, "백제어 ‘村’에 대하여, In 백제어 연구(Ⅱ)-어원․어휘론을 중심으로"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01-111, 1989

      28 장지연, "대한신지지Ⅰ․Ⅱ, 서울:휘문관. 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 국립중앙도서관 1907

      29 김진식, "내수읍 자연마을 이름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8) : 69-95, 2004

      30 이기문, "국어음운사연구" 탑출판사 1980

      31 이기문, "국어어휘사연구" 동아출판사 1991

      32 김진식, "고유 지명에 대한 어원 고찰" 한국중원언어학회 (16) : 135-149, 2010

      33 국사편찬위원회, "輿地圖書上 (영인본)" 탐구당 1973

      34 朝鮮總督府, "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 大和商會印刷 1912

      35 김진식, "自然部落名의 後部要素 硏究 ― 淸原郡 北二面을 中心으로 ―" 한국지명학회 9 : 35-60, 2003

      36 김진식, "淸原郡 邑面 變遷과 이름 由來"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357-380, 2009

      37 김진식, "法定里 漢譯 地名 硏究Ⅰ - 忠北 淸原郡 內秀邑과 梧倉邑을 中心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4) : 297-320, 2010

      38 超智唯七,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兵林館印刷所 1917

      39 송하진, "三國史記 地理志 地名의 國語學的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