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고층 다이아 그리드 구조의 실험적 내진성능계수 평가 = Experimental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Factors for Tall Diagrid Stru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0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초고층 건물에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한 Freeform Structure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이 형태는 Diagrid, Cantilevered, Tilted로 대변될 수 있는데 특히 다이아 그리드 시스템은 횡저항에 하중의 ...

      최근 초고층 건물에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한 Freeform Structure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이 형태는 Diagrid, Cantilevered, Tilted로 대변될 수 있는데 특히 다이아 그리드 시스템은 횡저항에 하중의 흐름을 가새 프레임을 따라 분산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그만큼 부재를 경량화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Diagrid 구조시스템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반응수정계수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가 없기 때문에 우수한 내진성능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기타구조 등으로 설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대형 실험을 통해 Diagrid 구조의 반응수정계수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new freeform structure representing "Diagrid, Cantilevered, Tilted." which has been considered not only its distinctive appearance but also the structural advantages becomes one of the trends in tall building design. Especially in the Diagrid system...

      A new freeform structure representing "Diagrid, Cantilevered, Tilted." which has been considered not only its distinctive appearance but also the structural advantages becomes one of the trends in tall building design. Especially in the Diagrid system, loads can be distributed through bracing frame so that it can be save the materials since it has more effective in the structure behavior. But the seismic performance index such as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is not clearly defined yet. Even though the diagrid is supposed to show higher seismic performance, it is underestimated due to the lack of reliable data. In this paper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for the diagrid system is experimentally explo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학, "초대형 대각가새(Diagrid) 부재 제작 및 시공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728-733, 2007

      2 변태우, "초대형 대각가새 시스템의 접합부 성능에 관한 연구" 215-218, 2008

      3 Charnish, B, "The Bow: Unique Diagrid Structural System for a Sutainable Tall Building" 2008

      4 Kim, J.S, "Structural Schematic Design of a Tall Building in Asia using the Diagrid System"

      5 "Structural Response Modification Factors" Applied Technology Council 1995

      6 Ali, M.M, "Structural Developements in Tall Buildings: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50 (50): 205-233, 2007

      7 "Proposed methodology to determine R-values for steel diagrid framed systems"

      8 주영규, "Diagrid접합부의 구조성능 평가" 794-799, 2007

      9 Moon, K.S, "Diagrid structural system for tall buildings: Characteristic and methodology for preliminary" 16 : 205-230, 2007

      1 김영학, "초대형 대각가새(Diagrid) 부재 제작 및 시공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728-733, 2007

      2 변태우, "초대형 대각가새 시스템의 접합부 성능에 관한 연구" 215-218, 2008

      3 Charnish, B, "The Bow: Unique Diagrid Structural System for a Sutainable Tall Building" 2008

      4 Kim, J.S, "Structural Schematic Design of a Tall Building in Asia using the Diagrid System"

      5 "Structural Response Modification Factors" Applied Technology Council 1995

      6 Ali, M.M, "Structural Developements in Tall Buildings: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50 (50): 205-233, 2007

      7 "Proposed methodology to determine R-values for steel diagrid framed systems"

      8 주영규, "Diagrid접합부의 구조성능 평가" 794-799, 2007

      9 Moon, K.S, "Diagrid structural system for tall buildings: Characteristic and methodology for preliminary" 16 : 205-23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59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