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과 미국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의 양상 및 구조적 특성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2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3, 4세 유아들이 산출하는 개인적, 가상적 내러티브의 발달양상을 살펴보고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를 지닌 유아들의 내러티브가 구조적 측면과 논리적 응집장치의 사용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한국과 미국의 대학부속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 4세 유아 총 77명(한국유아: 42명, 미국유아: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면접을 통해 개인적 내러티브와 가상적 내러티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과 미국의 유아들은 일관성을 갖추고 논리적으로 내러티브를 산출하는 능력 면에서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개인적 내러티브의 경우 두세가지 사건 나열 내러티브와 사건 건너띄기 내러티브 수준이었으며, 가상적 내러티브의 경우 사건의 병렬적 나열 및 행동의 순서적 제시 수준으로서, 아직 초보적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내러티브의 구성요소와 논리적 응집장치의 사용양상은 부분적으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유아들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특히 미국 유아들은 우리나라 유아들에 비하여 대용참조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양국의 언어적 특성과 문화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3, 4세 유아들이 산출하는 개인적, 가상적 내러티브의 발달양상을 살펴보고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를 지닌 유아들의 내러티브가 구조적 측면과 논리적 응집장...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3, 4세 유아들이 산출하는 개인적, 가상적 내러티브의 발달양상을 살펴보고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를 지닌 유아들의 내러티브가 구조적 측면과 논리적 응집장치의 사용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한국과 미국의 대학부속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 4세 유아 총 77명(한국유아: 42명, 미국유아: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면접을 통해 개인적 내러티브와 가상적 내러티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과 미국의 유아들은 일관성을 갖추고 논리적으로 내러티브를 산출하는 능력 면에서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개인적 내러티브의 경우 두세가지 사건 나열 내러티브와 사건 건너띄기 내러티브 수준이었으며, 가상적 내러티브의 경우 사건의 병렬적 나열 및 행동의 순서적 제시 수준으로서, 아직 초보적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내러티브의 구성요소와 논리적 응집장치의 사용양상은 부분적으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유아들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특히 미국 유아들은 우리나라 유아들에 비하여 대용참조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양국의 언어적 특성과 문화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u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of 3- and 4-year-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of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al levels, structural components, and cohesive devices of the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Forty two Korean and thirty five America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ou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affiliated child care centers or preschools with the parents' consent. Analysis of the narratives revealed that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developed their personal narratives in similar patterns, but a higher proportion of American children had higher developmental levels in fictional narrative than Korean subjects.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of personal narratives were two or three event narratives and leapfrog narratives, while their levels of fictional narratives were descriptive sequences and action sequences. Some differences in narrative components included consistency of tense and use of cohesive devices such as anaphoric references between children in two countries. These differences reflected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번역하기

      The pru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of 3- and 4-year-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of Kor...

      The pru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of 3- and 4-year-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of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al levels, structural components, and cohesive devices of the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Forty two Korean and thirty five America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ou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affiliated child care centers or preschools with the parents' consent. Analysis of the narratives revealed that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developed their personal narratives in similar patterns, but a higher proportion of American children had higher developmental levels in fictional narrative than Korean subjects.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of personal narratives were two or three event narratives and leapfrog narratives, while their levels of fictional narratives were descriptive sequences and action sequences. Some differences in narrative components included consistency of tense and use of cohesive devices such as anaphoric references between children in two countries. These differences reflected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