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약성서의 고난신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46509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9

      • 발행연도

        198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233.1 판사항(3)

      • DDC

        221 판사항(19)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구약성서의 고난신학 / 김이곤 저

      • 형태사항

        570p.; 23cm

      • 총서사항

        한국신학논집; 11

      • 소장기관
        • 감리교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주가톨릭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나사렛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백석대학교 도서관(서울)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공회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평택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장공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일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협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천안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서문
      • 제1부 고난의 의미와 신이해
      • 구약성서의 고난 이해 = 15
      • Ⅰ. 고난의 원인 = 18
      • 목차
      • 서문
      • 제1부 고난의 의미와 신이해
      • 구약성서의 고난 이해 = 15
      • Ⅰ. 고난의 원인 = 18
      • Ⅱ. 고난의 의미 = 26
      • Ⅲ. 맺는말 = 37
      • 타지않는 불꽃떨기 속의 하나님 = 40
      • Ⅰ. "타지 않는 불꽃떨기" 사건의 컨텍스트 = 41
      • Ⅱ. "타지 않는 불꽃떨기"의 컨텍스트적 의미 = 51
      • 고난신학의 맥락에서 본 "야훼" 신명이해 = 55
      • 머리말 = 55
      • Ⅰ. "야훼" 신명에 관한 언어학적 고찰 = 58
      • Ⅱ. "야훼" 신명에 관한 신학적 접근 = 70
      • 맺는말 = 79
      • 제2부 이스라엘의 제의신학
      • 시편 탄원시의 신학 = 87
      • 서론 = 87
      • Ⅰ. 기원사의 기폭점: "탄원" = 90
      • Ⅱ. 관계신학의 모체: "탄원시" = 105
      • Ⅲ. 탄원시의 분위기 급전에 대한 여러 해석 = 152
      • Ⅳ. 탄원시의 분위기 급전의 동인으로서 거룩한 전쟁 신앙의 충동 = 162
      • 결론: 탄원시 신학의 모체로서의 거룩한 전쟁 신앙 = 178
      • 버림받은 자의 신학 = 180
      • Ⅰ. 십자가에 관한 제 5복음서, 시편 22편 = 182
      • Ⅱ. 신의 부재에 관한 탄식은 신의 현존의 자리 = 185
      • Ⅲ. 신뢰의 또 다른 한 표현, 탄식 = 189
      • 결어 = 192
      • "와우"의 형태소에 관한 한 관찰 = 193
      • Ⅰ. 고찰의 동기 = 193
      • Ⅱ. "와우" 형태소의 기본특성 = 196
      • Ⅲ. 탄원시에 나타난 "와우" 반어법 = 202
      • 결언 = 205
      • 시편 8편에 나타난 신학적 안간학 = 207
      • Ⅰ. 서론 = 208
      • Ⅱ. 시편 8편의 비평학적 컨텍스트 = 211
      • Ⅲ. 시편 8편 시인의 인간이해 = 218
      • Ⅳ. 결론 = 223
      • 제3부 구약의 신앙과 이데올로기
      • 구약성서의 신앙과 '거룩한 전쟁' 이데올로기 = 227
      • Ⅰ. '거룩한 전쟁' 신앙은 지배 이데올로기냐 해방 이데올로기냐? = 229
      • Ⅱ. 거룩한 전쟁 신앙 속에 나타난 해방 이데올로기 = 243
      • 결어: 공의와 긍휼의 조화를 이룬 거룩한 전쟁용사, 야훼의 기본 속성 = 252
      • 구약성서의 유형물질적 사유 = 256
      • Ⅰ. 문제의 제기 = 256
      • Ⅱ. 해방을 창조(생산)하는 신 야훼 = 260
      • Ⅲ. 유형물질적 존재, 인간 = 271
      • Ⅳ. 결어: 약속의 땅을 향한 이스라엘 희망 = 279
      • 희년법의 현대적 의미 = 282
      • 서론 = 282
      • Ⅰ. 희년법의 내용과 그 성격 = 283
      • Ⅱ. 희년법의 역사성과 그 기원 = 292
      • Ⅲ. 희년법의 신학이 지닌 현대적 의미 = 296
      • 결어 = 302
      • 구약성서적 입장에서 본 평화 = 303
      • 머리말: 인류의 평화 이데올로기가 지닌 허구성 = 303
      • Ⅰ. "살롬"의 구약성서적 개념 = 305
      • Ⅱ. "살롬"을 수립하기 위한 야훼의 "거룩한 전쟁" = 310
      • 결어: "살롬"을 회복키 위한 야훼의 "새로운" 평화계획 = 316
      • 요나서의 평화신학 = 319
      • 거룩한 전쟁 신앙에 나타난 평화사상 = 341
      • Ⅰ. 구약성서에 나타난 거룩한 전쟁의 성격 = 342
      • Ⅱ. 거룩한 전쟁을 통한 새로운 평화 수립 운동의 방안 = 353
      • 상구약성서에 나타난 영성개념 = 359
      • 머리말 = 359
      • Ⅰ. 이스라엘 영성의 출발점 = 362
      • Ⅱ. 이스라엘 영성 이해의 장소 = 366
      • Ⅲ. 이스라엘 영성의 목표 = 370
      • 맺는말 = 374
      • 제4부 설화문학 속에 나타난 고난신학
      • 요셉 이야기에 나타난 고난신학 = 377
      • 룻기의 구원사적 맥락 = 390
      • Ⅰ. 룻기 1장 1-6절 = 391
      • Ⅱ. 룻기 1장 7-22절 = 395
      • Ⅲ. 룻기 2장 = 400
      • Ⅳ. 룻기 3장 = 402
      • Ⅴ. 룻기 4장 = 409
      • 부언: 한국 성서해석학에의 한 전망 = 416
      • 유다의 며느리 "다말" 찬양송 = 419
      • 다윗의 딸 다말 애도송 = 443
      • Ⅰ. '다말' 이야기의 구성내용과 성격 = 434
      • Ⅱ. 다윗의 딸 '다말'의 '부르짖음'(째아카) = 448
      • 출애굽기 4장 24-26절에 대한 해석학적 문제 = 454
      • 본문 번역의 문제와 야훼의 공격을 받은 자의 정체 = 457
      • 신학적 반성 = 465
      • 호렙산 신현현에 나타난 Q$\check{o}$l 주제 연구 = 472
      • Ⅰ. 비평학적 분석 = 475
      • Ⅱ. 가나안적 "소리"(ql)주제의 이스라엘적(q$\check{o}$l) 개작 = 481
      • 결언 = 491
      • 제5부 여록
      • 욥기의 고난신학에 대한 한 명상 = 495
      • 호세아 2장 2-23절[4-25]의 수사비평적 연구 = 502
      • Ⅰ. 호세아 2장 2-23절[4-25]의 수사적 구조 = 504
      • Ⅱ. 호세아 2장 2-23절 [4-25]의 예언사상: 징벌과 구원의 역설적 관계 = 514
      • 결어: 호세아의 고난신학 = 524
      • 한국 교회 설교유형의 성서적 조명 = 526
      • Ⅰ. 성서적 조명을 통해서 본 "설교"의 근본성격에 대한 한 정의 = 526
      • Ⅱ. 한국 교회 강단의 설교와 그 자기반성 = 537
      • 성구색인 = 5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