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우 몬시뇰은 한국 천주교회사에 대한 집체적 연구를 시작한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창설자로서, 구원사와 실증사의 조화를 통해서 전체사적 전망을 제시한 선각적 교회사가였다. 최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66943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1-197(4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석우 몬시뇰은 한국 천주교회사에 대한 집체적 연구를 시작한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창설자로서, 구원사와 실증사의 조화를 통해서 전체사적 전망을 제시한 선각적 교회사가였다. 최석...
최석우 몬시뇰은 한국 천주교회사에 대한 집체적 연구를 시작한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창설자로서, 구원사와 실증사의 조화를 통해서 전체사적 전망을 제시한 선각적 교회사가였다.
최석우 몬시뇰의 교회사학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석우 몬시뇰이 추구한 교회사 연구의 이상적인 형태는 교회사가 신학과 역사학의 두 영역에서 서로 공존하며 대화를 나누는 것이었다.
둘째, 최 몬시뇰은 신학으로서의 교회사를 추구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교회’라는 용어에 대한 신학적 개념 정립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최 몬시뇰은 처음에는 교계제도로서의 교회 개념이 중요하다고 보았지만, 차츰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특히 평신도의 능동적 참여가 보장되는 교회가 더욱 중요하다고 보게 되었다.
셋째, 최 몬시뇰은 한국 교회사 연구에서 원사료의 발굴과 이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중요시했다. 이는 그의 실증주의적 역사학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비롯된 경향으로, 달레, 다블뤼, 정약용 등 교회 측 인사의 기록뿐만 아니라 관찬 연대기와 재판 기록 및 척사론자들의 문집에 나오는 기록들도 매우 중시했다.
넷째, 최석우 몬시뇰은 박해기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국 진출, 다산 정약용의 신앙과 가톨릭 사상, 안중근의 애국 활동과 신앙심,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의 영성과 활동 등에 대한 연구와 저술을 통하여 구세사적 관점에서의 교회사 연구를 진전시켜, 단순한 선교사와 그리스도교사의 범위를 초월하는 전체사로서의 교회사를 조망하고 추구하였다.
최 몬시뇰은 우리 벽돌로 지은 ‘한국 교회사’라는 건축물을 짓게 되었다는 점에서, 한국인에 의한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의 소망이 실현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직 교회사 연구의 진정한 토착화는 실현되지 못한것 같다. 그것은 벽돌의 재질을 따지기 전에 그 벽돌로 지을 ‘교회사’라는 ‘무형(無形)의 성전(聖殿)’에 대한 건축설계도와 각종 도면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구체적 내용에 대한 합의가 아직도 제대로 정립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최석우 몬시뇰이 소망했던 “국산 벽돌로 지은 한국 교회사라는 무형성전의 건립”이 아직도 요원한 현실이 안타깝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sgr. Andrea Choi seok-woo is the founder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Church History who has started joint rearches on the catholic history in Korea with his fellow workers. He was the pioneer who showed the view of total history though harmo...
Msgr. Andrea Choi seok-woo is the founder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Church History who has started joint rearches on the catholic history in Korea with his fellow workers. He was the pioneer who showed the view of total history though harmonious research of Salvation and of Positivism in Catholic history.
The research meaning of catholic church history studied by him was as follows.
First, his ideal type of studying church history was that of communicating and coexisting between the division of catholic theology and of secular histoy.
Second, he regarded formulating the concept of church most highly, for pursuing of church history in theologic viewpoint. He focused on the concept of church as catholic hierarchy at first, but he gradually became to attach much more importance to it as God’s people.
Third, he stressed on the excavation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on systematic analyses of them in studying Korean catholic history. This stress was came from the viewpoint of regarding Positivism in studying histoy, with focusing not only on the church data of Rev. Dallet, bishop St. Daveluy and John Jeong Yak-yong, but also on the persecutor’s materials such as annals of government, judicial records, and personal books worked by anti-catholic confucianist.
Fourth, he has researched and wrote such papers as of French missionaries’ coming to Korea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of John Jeong Yak-yong’s belief and catholic thought, of Thomas Ahn Joong-keun’s patriotic movements and his catholic faithfulness, of the spiritualities and activities on Rev. st. Andrea Kim Dae-keun and his friend Rev. Thomas Choi Yang-eop, and of etc. Through these works, he inquired into studying of church history in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became to search and have the observation concerning total history of church, with transcending the mere history of mission or with surpassing the histoy of Christian.
Msgr. Andrea Choi wanted that the study on Catholic history in Korea by foreign bricks might become by Korean. And now, he thought it became true. But I do not think so, in the strict point of view. Because we Koreans have not been able to reach an consensus on the concrete plan of Korean catholic history. Until now, we are in such needy circumstances that we do have enough discussions of total history containing of salvation hist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혜암유홍렬박사화갑기념논총" 혜암유홍렬박사화갑기념사업위원회 1971
2 "해미 순교자의 증언" (2) : 1975
3 "한불조약과 신교자유" 한국사학회 21 : 1969
4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5 "한글과 천주교" 한글학회 (293) : 1997
6 "한국현대사 8" 신구문화사 1971
7 "한국현대문화사대계 5 : 문화운동, 민족항쟁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8 "한국천주교회의 역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9 "한국인물탐사기―조선의 인물3" 오늘 1996
10 "한국의 종교" 문공부 1989
1 "혜암유홍렬박사화갑기념논총" 혜암유홍렬박사화갑기념사업위원회 1971
2 "해미 순교자의 증언" (2) : 1975
3 "한불조약과 신교자유" 한국사학회 21 : 1969
4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5 "한글과 천주교" 한글학회 (293) : 1997
6 "한국현대사 8" 신구문화사 1971
7 "한국현대문화사대계 5 : 문화운동, 민족항쟁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8 "한국천주교회의 역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9 "한국인물탐사기―조선의 인물3" 오늘 1996
10 "한국의 종교" 문공부 1989
11 "한국의 인물상 3" 신구문화사 1965
12 전북사학회 한국사연구실, "한국사회사상사논선" 1979
13 "한국사 15권(민중의 저항)" 국사편찬위원회 1975
14 "한국사 15권(민중의 저항)" 국사편찬위원회 1975
15 "한국사 15권(민중의 저항)" 국사편찬위원회 1975
16 "한국사 14권(근대사상의 맹아)" 국사편찬위원회 1975
17 "한국교회와 한국인 성직자의 양성―예수성심신학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 11 : 1985
18 "한국교회사의 탐구 III―최석우 신부 수품 50주년기념―"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19 "한국교회사의 탐구 II" 한국교회사연구소 1991
20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21 "한국교회사논문집 I" 한국교회사연구소 1984
22 "한국교회 교리서의 변천사" (35) : 1974
23 "한국 천주교회의 창설" (146) : 1987
24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문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창간) : 1991
25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교회사적 입장에서" (91) : 1984
26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 문제" (144) : 1991
27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 (91) : 1984
28 "한국 천주교회사학 어디까지 왔나?" (100) : 1983
29 한국교회사연구소, "한국 천주교회사의 성찰—최석우 신부수품50주년기념논총 제2집—"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30 "한국 천주교회 기원 문제에 대한 종합적 검토" (144) : 1991
31 "한국 천주교회 기원 문제에 관한 변기영 신부의 비판의 오류" (144) : 1991
32 "한국 천주교와 개신교의 대화" 한국신학연구소 39 (39): 1982
33 "한국 천주교 전래 기원에 대한 문제(2)" 한국가톨릭문화선양회 (10) : 1990
34 "한국 천주교 전래 기원에 대한 문제(1)" 한국가톨릭문화선양회 (9) : 1990
35 "한국 천주교 교구 발전사" (87) : 1983
36 "한국 천주교 교구 발전사" (87) : 1983
37 "한국 분도회의 초기 수도생활과 교육사업" (94) : 1983
38 "한국 근대화의 이념과 방향" 동국대학교 1967
39 "한국 근대 국가형성과 기독교" (278) : 1981
40 "한국 그리스도교 운동에서 본 忠孝" 성신인문과학연구소 11 : 1979
41 "한국 교회의 창설과 초창기 이승훈의 교회 활동" 한국교회사연구소 8 : 1992
42 "한국 교회의 창설과 교회 초창기 이승훈의 교회 활동" (183) : 1990
43 "한국 교회와 교황청" (92) : 1984
44 "한국 교회사의 세계화를 위하여" (236) : 1995
45 "한국 교회사에서 본 의료" 12 (12): 1981
46 "한국 교회사에 나타난 성체 신심"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5) : 1988
47 "한국 교회사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 (83) : 1982
48 "한국 교회사들을 일반에 공개하자"
49 "한국 교회사(1~12)" (1438~1449) : 1-12, 1988
50 "한국 교회 영성의 어제" (117) : 1988
51 "한국 교회 교리서의 변천사"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35) : 1974
52 "한국 교회 出版史"
53 "한국 가톨릭과 한국 문화(1~5)"
54 "한국 가톨릭과 한국 문화" (50) : 1977
55 "한국 가톨릭 윤리관의 교회사적 고찰" (157) : 1988
56 "한국 가톨릭 교회사 서술 방향(2)―제4편 일제시대의 교회(1910~1945)" (168) : 1989
57 "평신도를 통한 문화의 복음화" 한국가톨릭문화선양회 (7) : 1990
58 "파리 외방전교회의 한국진출의 의의 : 한국진출을 전후한 시기의 국가와 교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 5 : 1987
59 "파리 외방전교회의 한국 진출의 의의" (130) : 1986
60 "최양업 신부의 선교활동과 시복추진의 의미" 한국교회사연구소 14 : 1999
61 "초창기 한국교회에 있어서의 세례" (39) : 1975
62 "초대 교구장 브뤼기에르 주교" (1362) : 1981
63 "초기 한국 교회의 사회적 ․ 정치적 상황과 선교" (157) : 1992
64 "천주교의 동양전래와 조선(1~2)" 155~156 : 4-5, 1988
65 "천주교와 함께 역사의 지평에 떠오른 평민" (15) : 1981
66 "진통의 150년(1~3)"
67 "주어진 ‘때’를 알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286) : 1999
68 "종교의 사명과 역할—천주교측" (190) : 1974
69 "종교사적 측면에서 본 근대민족의식의 성장" 성신여자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 : 1981
70 "조선후기 서학사상" 국사편찬위원회 22 : 1991
71 최석우, "조선에서의 첫 대목구 설정과 가톨릭교의 기원 1592~1837년" 한국교회사연구소 2012
72 "조선교구 설정과 파리 외방전교회의 진출II" (162) : 1988
73 "조선교구 설정과 파리 외방전교회의 진출(I)" (161) : 1988
74 "조선 후기사회와 천주교" 숭전대학교 5 : 1974
75 "정하상 바오로 성인의 생애와 사상" 1986
76 "정약용과 천주교의 관계 : DAVELUY의 備忘記를 중심으로" 다산학연구원 5 : 1983
77 "전근대 전통 지식인의 對西洋 인식" 국사편찬위원회 76 : 1997
78 "재단법인 발족과 함께 새로운 출발을" 1997
79 "일제하 한국천주교회의 독립운동―3 ․ 1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 11 : 1996
80 "일제하 한국 천주교회 저항운동(1~16)"
81 "일제하 천주교회의 위상" (169) : 1989
82 "일제의 식민정책과 항일운동" (168) : 1989
83 "일제시대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광주가톨릭대학 9 : 1986
84 "일본교회의 한국인 순교자들" 한국교회사연구소 6 : 1988
85 "인물한국사 IV" 박우사 1965
86 인물한국사편찬회, "인물한국사 4 : 시련의 대열" 박우사 1965
87 "이해남박사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이해남박사화갑기념한국사학논총 간행위원회 1970
88 "이조의 사회개혁 시도한 실학운동" (1286) : 1975
89 "이제 눈앞에 다가온 2천년, 그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296) : 2000
90 "이십세기강좌 2" 박우사 1963
91 "이승훈의 편지가 말하는 가성사 집행" 17 (17): 1963
92 "우리말 성서가 가지는 교회사적 의미" (129) : 1986
93 "용인 성직자 묘지에서" (222) : 1993
94 "오늘로 이어지는 순교" (214) : 1993
95 "예수 성심 공경의 어제와 오늘" (205) : 1992
96 "역사 속에 기억될 수 있는 1998년이 되려면" (272) : 1998
97 "역사 바로잡아야 개혁 제대로 이루어진다" (248) : 1996
98 "여지도서 전질 발견"
99 "애국계몽운동기의 천주교(1905~1910)" (167) : 1989
100 "암살자 안중근 망언"
101 "안중근의 의거와 교회의 반응" 한국교회사연구소 9 : 1994
102 "안중근 論" (194) : 1991
103 "신학자가 답한다—가톨릭의 전쟁관" (1413) : 1985
104 "신앙과 순교" (218) : 1993
105 "시성 10주년인 새해를 맞이하면서" (224) : 1994
106 "시복에 누락된 순교자"
107 "시복될 26위에 관한 목격 증언" 17 (17): 1963
108 "시대가 변하면 사전도 그 상황에 걸맞게 새것이 나와야 한다" (232) : 1994
109 "숭산박길진박사고희기념한국근대종교사상사" 숭산박길진박사고희기념사업회 1984
110 "숨은 꽃이 만발한 배티 성지" (241) : 1995
111 "순교정신과 150周"
112 "순교자의 희생정신을 우리 생활에" (194) : 1965
113 "순교자들의 꽃이여 필지어다" (1143) : 1963
114 "순교자 현양의 교회사적 의의" 한국교회사연구소 11 : 1996
115 "성지의 개념" 대건신학대학 전망편집부 (57) : 1982
116 "성서의 세계 13" 동아출판사 1989
117 "성서의 도입과 번역" (103) : 1984
118 "성경 한글 번역에 있어 한국 천주교회의 선구적 역할" 15 (15): 1961
119 "성 김대건 신부에 대한 연구와 현양의 의의" 한국교회사연구소 12 : 1997
120 "서울敎區 年譜 I : 1879~1903" 천주교명동교회 1984
121 "서양에 비추어진 한국" 이화사학연구소 13-14 : 1983
122 "서양에 비추어진 한국" 13 ․ 14 : 1983
123 "서강 2집" 서강대학 1971
124 "새남터 위치에 관하여" (1273) : 1974
125 "새남터 순교지 위치가 틀린다"
126 "새 시대의 일치운동" (24) : 1972
127 "새 미사 해설"
128 "새 교리서의 편찬을 마치고"
129 "새 가톨릭 교리서 개요"
130 "사랑의 증거로서의 순교" (1278) : 1974
131 "사도 법관 김홍섭—먼지는 땅으로, 영혼은 천주께로" (23) : 1985
132 "블랑 문서를 간행하면서" (208) : 1992
133 "북한의 천주교" 국토통일원 평화통일연구소 6 (6): 1980
134 "북한의 종교 탄압과 의사 종교" 국토통일원 (19) : 1985
135 "병인양요와 조선 천주교회" 인천가톨릭대학교 (3) : 1998
136 "병인양요 소고" 역사학회 30 : 1966
137 "병인년 순교자 26위의 시복식이 내년 100주년에 이루어지기를" (1170) : 1965
138 "변기영 신부의 주장에 이의가 있다" (43) : 1979
139 "백서의 행방" (17) : 1977
140 "박해시대 천주교 신자들의 國家觀과 西洋觀" 한국교회사연구소 13 : 1998
141 "박상일수녀화갑기념논문집" 박상일수녀화갑기념논문집발간위원회 1974
142 "민족의 과제와 한국 가톨릭" (308) : 1984
143 "민족사와 교회사(최석우 신부 수품 50주년 기념 논총 제1집)"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144 "민족사와 교회사(최석우 신부 수품 50주년 기념 논총 제1집)"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145 "미사 통상문 변경의 의의"
146 "뮈텔 주교의 일기 해제" (103) : 1984
147 "몬시뇰전석재총장고희기념논총" 효성여자대학 총동창회 1985
148 "레지오 마리애 2호" 한국 세나뚜스 협의회 1988
149 "드망즈 주교의 일기에 대하여" (142) : 1987
150 "동아세아에서의 교회의 토착화" (174) : 1989
151 "독도연구" 한국근대사자료연구협의회 1985
152 "대희년, 무엇이 더 앞서고 중요한지를 잘 가려서 맞이해야" (296) : 2000
153 "대전 본당의 기원(1~3)" (181~183) : 6-8, 1990
154 "달레著 韓國天主敎會史의 形成過程" 한국교회사연구소 3 : 1981
155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신앙" (130) : 1986
156 "다블뤼 주교의 ‘한국 주요 순교자 약전’에 대한 검토(1~2)" (284~285) : 1-2, 1999
157 "노동하는 보람" (1284) : 1975
158 "내 양을 치라—역사를 통해 본 사목자상"
159 "김범우의 생애" (150) : 1987
160 "김대건의 조선전도" (45) : 1979
161 "김대건의 순교 비화" 한성도서주식회사 33 (33): 1965
162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184) : 1990
163 "기해일기는 數名의 共著"
164 "기쁜 주일 문화를 창조하는데 우리 함께 노력을" (288) : 1999
165 "긔일긔의 몇 가지 문제점"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43) : 1976
166 "근대화의 주역 김대건 신부—한 알의 밀씨로서" (1276) : 1974
167 "국가와 교회의 관계—한국 교회 창설에서부터 일제 말까지" (147) : 1987
168 "구주 지역에 산재하는 한구 교회사 자료에 관하여" (98) : 1983
169 "교회의 여명기(1~48)" 1287~1334 : 1975
170 "교회와 역사 200호 발간에 부쳐" (200) : 1992
171 "교회사 측면에서 본 200주년" (1269) : 1973
172 "교회사 연구와 서술의 문제" 한국교회사연구소 23 : 2004
173 "교회를 통한 한불 교섭사" (54) : 1980
174 "교회가 본 언론"
175 "교종 ․ 람 대주교 회담의 역사적 의의"
176 "교계제도설정 25년의 회고와 전망—여기서 멈출 것인가?" (1429) : 1987
177 "경향잡지 75년사—신앙생활의 병기고" (1363) : 1981
178 "격동 20년(1~20)"
179 "개화기의 한국 천주교와 개신교" (192) : 1991
180 "가톨릭신문 영인본 1" 가톨릭신문사 1982
181 "가톨릭과 제사" (189) : 1991
182 "가톨릭 지성인 수상집" 가톨릭출판사 1965
183 "가톨릭 루터관의 변천" 대한기독교서회 (112) : 1967
184 숭전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韓國의 近代化와 基督敎" 숭전대학교 출판부 1983
185 국제문화재단, "韓國의 思想" 시사영어사 1982
186 "韓國芬道會의 初期修道生活과 敎育事業" 한국사학회 (36) : 1983
18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韓國現代文化史大系 V : 文化運動 ․ 民族抗爭史" 1980
188 "韓國現代史 8 : 新社會100년" 신구문화사 1969
189 국제문화재단, "韓國文化의 諸問題" 1981
190 국제문화재단, "韓國文化의 諸問題" 시사영어사 1982
191 한국천주교회창설200주년기념 한국교회사논문집간행위원회, "韓國敎會史論文集 I" 한국교회사연구소 1984
192 안응렬, "韓國天主敎會史 하" 분도출판사 1980
193 안응렬, "韓國天主敎會史 중" 분도출판사 1980
194 안응렬, "韓國天主敎會史" 분도출판사 1979
195 전북사학회, "韓國史의 理解" 금화출판사 1981
196 한국정치외교사학회, "韓佛外交史" 평민사 1987
197 한국사연구협의회, "韓佛外交100年史" 1986
198 한국사연구협의회, "韓佛外交100年史" 1986
199 "韓佛修交史(1886~1986)" 평민사 1987
200 "邪學懲義를 통해서 본 初期天主敎會" 한국교회사연구소 2 : 1979
201 한국교회사연구소, "誠農崔奭祐神父古稀紀念敎會史論叢" 1991
202 "西學에서 본 東學" 한국교회사연구소 1 : 1977
203 "牧者有感—사제와 학문"
204 "殉敎血史(1~59)"
205 "歷史의 人物 5" 일신각 1979
206 "歷代人物韓國史 6" 신화출판사편 1979
207 "東亞細亞에서의 敎會의 土着化 : 韓國敎會를 中心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 7 : 1990
208 "朝鮮敎區 設定의 敎會史的 意味" 한국교회사연구소 4 : 1983
209 임충신, "崔良業神父書翰集" 한국교회사연구소 1984
210 이원순, "崔奭祐神父華甲紀念韓國敎會史論叢" 한국교회사연구소편 1982
211 한국교회사연구소, "崔奭祐神父華甲紀念韓國敎會史論叢" 1982
212 "天主實義에 대한 韓國 儒學者의 見解"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3 : 1983
213 "丁茶山과 그 時代" 열음사 1986
214 "パリ外邦伝敎會の韓國進出" 한국연구원 5 (5): 1976
215 최석우, "L’Érection du premier Vicariat apostolique et les origines du catholicisme en Corée"
216 "Korean Catholicism Yesterday and Today"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4 (24): 1984
217 "Dallet가 인용한 정약용의 韓國福音傳來史" 한국천주교회사연구소 1 : 1976
218 "Catholic Church and Modernization in Korea"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7 (7): 1967
219 "50호를 내면서" (50) : 1979
220 "300호 맞은 교회와 역사, 자기 반성의 계기로 삼았으면" (300) : 2000
221 "26위 순교 사기(1~24)"
222 "24위 시복까지 애쓴 공로자들" (231) : 1968
223 "200주년 기념사업을 위한 제언" (81) : 1982
224 "2000년 대희년을 향한 반성의 해로" (284) : 199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07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