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숑(L. Pichon)의 조선 천주교회사 연구 = L. Pichon’s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66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피숑(Leon Pichon, 宋世興, 1893~1945)은 조선 교회사를 중요한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하기 시작한 선구자이며, 그 결과물을 잡지를 통해 일반인과 소통한 저술가였다. 그는 각종 교회 100주년 기념행사에 맞추어 교회사를 완성해가는 동시에 연구하며 행동하는 선교사였다. 그리고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바를 진정으로 고민한 선교사 연구자였다. 본고는 피숑이 주목한 교회사 주제와 내용, 그의 연구 의도, 당대 사회와의 소통 관계를 중심으로 살폈다. 피숑의 연구 결과는 《가톨릭靑年》, Pro Corea-Documenta와 그의 연구노트에 남겨져 있다. 따라서 각 매체가 지닌 특징적 성격과 다룬 내용을 함께 묶어 설명했다.
      피숑의 글은 연재글이었다. 장기간의 연재는 분명 교회와 신자의 공감을 얻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의 글은 당대 교회의 생각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브뤼기에르 주교의 공헌, 모방 신부의 활동과 교회상황, 정약용의 신앙생활과 교회 공헌 등에 대하여 연구했다. 또한 피숑은 Pro Corea-Documenta를 출간하여 조선 교회가 김대건 신부에 주목하고 그의 순교 정신을 현양하는 데 불을 붙여 놓았다.
      피숑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조선 교회사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과 답사를 그치지 않았고, 최경환, 정약종과 이승훈의 묘 등을 찾아냈다. 이러한 피숑의 자료 수집 노력들은 오늘날 그의 ‘연구노트’에 담겨있다. 피숑의 연구노트는 4권인데 본고에서는 2, 3권만 분석했다. 이 부분은 주로 조선 교회사 전사(前史)에 대한 메모였다.
      피숑은 교회의 역사를 종합적인 견지에서 서술했다. 즉 그는 교회사 서술에 있어서 정치적 영향 일변도의 설명을 거부하고 문화사적 입장까지도 고려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는 세계사적 시각에서 조선 교회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와 아울러 그는 한국 교회의 역사 안에 숨어 있던 희망과 위로를 찾아내려 노력했다. 피숑이 인용했던 사료와 수집한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피숑(Leon Pichon, 宋世興, 1893~1945)은 조선 교회사를 중요한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하기 시작한 선구자이며, 그 결과물을 잡지를 통해 일반인과 소통한 저술가였다. 그는 각종 교회 100주년 기념...

      피숑(Leon Pichon, 宋世興, 1893~1945)은 조선 교회사를 중요한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하기 시작한 선구자이며, 그 결과물을 잡지를 통해 일반인과 소통한 저술가였다. 그는 각종 교회 100주년 기념행사에 맞추어 교회사를 완성해가는 동시에 연구하며 행동하는 선교사였다. 그리고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바를 진정으로 고민한 선교사 연구자였다. 본고는 피숑이 주목한 교회사 주제와 내용, 그의 연구 의도, 당대 사회와의 소통 관계를 중심으로 살폈다. 피숑의 연구 결과는 《가톨릭靑年》, Pro Corea-Documenta와 그의 연구노트에 남겨져 있다. 따라서 각 매체가 지닌 특징적 성격과 다룬 내용을 함께 묶어 설명했다.
      피숑의 글은 연재글이었다. 장기간의 연재는 분명 교회와 신자의 공감을 얻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의 글은 당대 교회의 생각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브뤼기에르 주교의 공헌, 모방 신부의 활동과 교회상황, 정약용의 신앙생활과 교회 공헌 등에 대하여 연구했다. 또한 피숑은 Pro Corea-Documenta를 출간하여 조선 교회가 김대건 신부에 주목하고 그의 순교 정신을 현양하는 데 불을 붙여 놓았다.
      피숑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조선 교회사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과 답사를 그치지 않았고, 최경환, 정약종과 이승훈의 묘 등을 찾아냈다. 이러한 피숑의 자료 수집 노력들은 오늘날 그의 ‘연구노트’에 담겨있다. 피숑의 연구노트는 4권인데 본고에서는 2, 3권만 분석했다. 이 부분은 주로 조선 교회사 전사(前史)에 대한 메모였다.
      피숑은 교회의 역사를 종합적인 견지에서 서술했다. 즉 그는 교회사 서술에 있어서 정치적 영향 일변도의 설명을 거부하고 문화사적 입장까지도 고려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는 세계사적 시각에서 조선 교회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와 아울러 그는 한국 교회의 역사 안에 숨어 있던 희망과 위로를 찾아내려 노력했다. 피숑이 인용했던 사료와 수집한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on Pichon(1893~1945) was a pioneer who started to categorize the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to main subjects for research and a writer who communicated with readers by sharing his works through magazines. He perfected the centenary of various Catholic Events while studying and practicing his faith. He was a missionary researcher truly seeking the direction of church movement.
      This writing explored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the he treated. Pichon’s research results are preserved in magazine Catholic Youth, the book Pro Corea-Documenta and ‘Research Notes’. Therefore, I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points found in each media all together. The process of Pichon’s study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series of publications. The long-time series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bond formed with the church and believers, so his writings reflect the ideas of the church at that time.
      Pichon highlighted the contribution of Bishop Bruguiere, activities of Fr. Maubant and religious life of Jeong Yak-yong. And he initiated a movement in Joseon society to reappraise Kim Dae-geon and acknowledge his spirit of martyrdom on a full scale by publishing Pro Corea-Documenta He also ceaselessly collected materials and visited historical sites and he discovered grave sites of Choi Gyung-whan, Jeong Yak-yong and Lee Seung-hoon. etc. All such efforts can be viewed in his ‘Research Notes’ today. The research notes are in four volumes. But I only deal with volumes 2 and 3 which almost consists of memos on the Pre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Pichon narrated the church history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He rejected the predominant political explanation of the church history and took the account of cultural views as well. He also explained the Catholic Church of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He was dedicated to finding hope and consolation hidden in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Korea. His direction of research is maintained till this day. Historical resources cited by Pichon and his collection of materials should be closely examined on a continuous basis.
      번역하기

      Leon Pichon(1893~1945) was a pioneer who started to categorize the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to main subjects for research and a writer who communicated with readers by sharing his works through magazines. He perfected the centenary of v...

      Leon Pichon(1893~1945) was a pioneer who started to categorize the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to main subjects for research and a writer who communicated with readers by sharing his works through magazines. He perfected the centenary of various Catholic Events while studying and practicing his faith. He was a missionary researcher truly seeking the direction of church movement.
      This writing explored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the he treated. Pichon’s research results are preserved in magazine Catholic Youth, the book Pro Corea-Documenta and ‘Research Notes’. Therefore, I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points found in each media all together. The process of Pichon’s study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series of publications. The long-time series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bond formed with the church and believers, so his writings reflect the ideas of the church at that time.
      Pichon highlighted the contribution of Bishop Bruguiere, activities of Fr. Maubant and religious life of Jeong Yak-yong. And he initiated a movement in Joseon society to reappraise Kim Dae-geon and acknowledge his spirit of martyrdom on a full scale by publishing Pro Corea-Documenta He also ceaselessly collected materials and visited historical sites and he discovered grave sites of Choi Gyung-whan, Jeong Yak-yong and Lee Seung-hoon. etc. All such efforts can be viewed in his ‘Research Notes’ today. The research notes are in four volumes. But I only deal with volumes 2 and 3 which almost consists of memos on the Pre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Pichon narrated the church history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He rejected the predominant political explanation of the church history and took the account of cultural views as well. He also explained the Catholic Church of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He was dedicated to finding hope and consolation hidden in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Korea. His direction of research is maintained till this day. Historical resources cited by Pichon and his collection of materials should be closely examined on a continuous ba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피숑의 역사 연구
      • 3. 피숑의 《가톨릭靑年》 게재 논문
      • 4. Pro Corea-Documenta
      • 국문초록
      • 1. 서론
      • 2. 피숑의 역사 연구
      • 3. 피숑의 《가톨릭靑年》 게재 논문
      • 4. Pro Corea-Documenta
      • 5. 피숑의 ‘연구노트 2’
      • 6. 피숑의 연구 업적과 그 영향
      • 7.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응렬, "한국천주교회사 상, 중, 하" 1979

      2 최석우, "한국가톨릭대사전 12" 2006

      3 "한국가톨릭대사전"

      4 "피숑의 ‘연구노트 2’"

      5 김영진, "피숑(L.Pichon, 宋世興) 조선천주교회사료의 수집가(Collecta)" (183) : 1990

      6 김수태, "프랑스 선교사의 조선 입국로 모색 방안" (재)한국교회사연구소 (41) : 73-113, 2013

      7 김정숙, "풋풋한 성소 : 대구대교구의 소신학교 운영" 2014

      8 오 근, "초대 조선대목구장 브뤼기에르 주교 임명으로 인한 다양한 상황들" 가톨릭대학교 2013

      9 浦川三和郞, "조선천주교회사논문선집 제2집" 조선천주교회사논문선집 1977

      10 전수홍, "조선인들의 서신과 여항덕 신부" 3 : 1999

      1 안응렬, "한국천주교회사 상, 중, 하" 1979

      2 최석우, "한국가톨릭대사전 12" 2006

      3 "한국가톨릭대사전"

      4 "피숑의 ‘연구노트 2’"

      5 김영진, "피숑(L.Pichon, 宋世興) 조선천주교회사료의 수집가(Collecta)" (183) : 1990

      6 김수태, "프랑스 선교사의 조선 입국로 모색 방안" (재)한국교회사연구소 (41) : 73-113, 2013

      7 김정숙, "풋풋한 성소 : 대구대교구의 소신학교 운영" 2014

      8 오 근, "초대 조선대목구장 브뤼기에르 주교 임명으로 인한 다양한 상황들" 가톨릭대학교 2013

      9 浦川三和郞, "조선천주교회사논문선집 제2집" 조선천주교회사논문선집 1977

      10 전수홍, "조선인들의 서신과 여항덕 신부" 3 : 1999

      11 원재연, "조선시대 학자들의 서양인식" 대구사학회 73 : 41-94, 2003

      12 최석우, "조선교구 설정의 교회사적 의미" 4 : 1983

      13 천주교 의정부2동교회, "의정부 본당 50년사" 1996

      14 대구대교구, "은총과 사랑의 자취" 2013

      15 오기선, "은사 송세흥(송世興) 네오 삐숑 신부" 서울대교구 사목국 (74) : 1982

      16 이원순, "유영근 신부" (437) : 2011

      17 유영근, "수선탁덕 김대건" 1942

      18 이원순, "소신학교사" 2007

      19 대구관구 대신학원, "성유스티노신학교 1914-1945" 2013

      20 김정숙, "성가를 부른 사람들" 2012

      21 명동천주교회, "서울교구 연보 1904-1938(II)"

      22 이진명, "서양 자료로 본 독도" P.A.F 1998

      23 개포동성당, "브뤼기에르 주교의 여행기와 서한집" 2005

      24 조현범, "브뤼기에르 주교의 여행 기록에 나타난 샴과 중국"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9) : 139-176, 2010

      25 정양모, "브뤼기에르 주교 서한집" 2007

      26 "베르뇌 주교 서한"

      27 조한건, "발로 쓰는 조선교회사" 2011

      28 "뮈텔 주교 일기"

      29 "드망즈 주교 일기"

      30 이진명, "독도, 지리상의 재발견" 삼인출판사 1998

      31 김정숙, "대구순교자들에 관한 사료분석―프랑스어 사료를 중심으로" 2001

      32 최석우,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 2013

      33 피숑, "나신부 入鮮經路(2)" 1936

      34 "경향잡지"

      35 변기영, "간추린 천주교회 창립사" 2007

      36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50년사, 1855-2005" 2007

      37 피숑, "高主敎管理時代의 朝鮮가톨릭(二)" 1936

      38 피숑, "高主敎管理時代의 朝鮮가톨릭(三)" 1936

      39 피숑, "高主敎管理時代의 朝鮮가톨릭(一)" 1936

      40 피숑, "羅神父書簡數篇" 1936

      41 피숑, "李神父, 張主敎管理時代의 朝鮮가톨릭" 1936

      42 피숑, "朝鮮가톨릭 敎會의 恩人 蘇主敎(二)" 1935

      43 피숑, "朝鮮가톨릭 敎會의 恩人 蘇主敎" 1935

      44 피숑, "朝鮮가톨닉史의 片影(二) 敎區設定前의 조선 가톨닉 情勢" 1933

      45 피숑, "朝鮮가톨닉史의 片影(三) 1801년 (辛酉) 大迫害" 1933

      46 피숑, "朝鮮가톨닉史의 片影(一)" 1933

      47 피숑, "朝鮮가톨닉史片影(四) 朝鮮第一代主敎 1831-1835" 1933

      48 피숑, "朝鮮가톨닉史片影(十) 福者안드레아 金大建의 略歷(二)" 1934

      49 피숑, "朝鮮가톨닉史片影(六)" 1934

      50 피숑, "朝鮮가톨닉史片影(八) 조선교회에 대한 마가오의 공헌―外國宣敎師 布敎의 眞意" 1934

      51 피숑, "朝鮮가톨닉史片影(五" 1934

      52 피숑, "朝鮮가톨닉史片影(九) 福者안드레아 金大建의 略歷" 1934

      53 피숑, "朝鮮가톨닉史片影(七)" 1934

      54 피숑, "張主敎管理時代의 朝鮮가톨릭(續)" 1936

      55 피숑, "丁茶山의 信仰與否" 1935

      56 피숑, "丁茶山과 朝鮮가톨릭草創期" 다산 (특집) : 1936

      57 한우근, "丁茶山硏究의 現況" 민음사 1983

      58 조 광, "《조선성교사료》 (Pro Corea, Documenta)" (84) : 1982

      59 Arechives Missions Etrangère de Paris, "Répertoire des membres de la 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1659-2004"

      60 다블뤼, "Notes Pour l’historie des Martyrs de Corée(조선순교사비망기)"

      61 Launay, "Martyrs Francais et Coréens("

      62 최석우, "L’Erection du preimier Vicariat Apostolique et les origines du Catholicisme en Corée"

      63 Devred, "Le Catholicisme en Corée, son origine et ses progres"

      64 Dallet,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

      65 김정숙, "1925년 조선교회 세계에 인사하다"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