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통한 이용자 공간 지각 특성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Space Perception through the Use Dewey's Theory of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2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mart era, concept of User experienc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both in academic and practical areas in recent years.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user centered design m...

      In smart era, concept of User experienc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both in academic and practical areas in recent years.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user centered design methodology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As, well developed information technology made a lot of changes to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interactive space with the concept of HCI became a big issue in environmental design field. In this interactive space, various types of informative factors of the given space are sent using sensor and computer networking technology to the main system. So, a user"s movement in the space in more than just a movement itself user"s movement now forms a important spatial structure that leads the narrative of the space. in this research, I will come up with the problems that the interactive space has right now, and analyze what the public space must have, and combine them with interactive space by HCI theory. architecture space is not the old space adapting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take the role as new space paradigm. environment and technology, it has to develop technology continuously and experimental space at the same time. It must have co evolution of architecture space field and others through organic network. by that, the evolution of space will be in the way that combines space which is responded to human emotion and user centric human friend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공간 개념
      • 3. 경험 이론 고찰
      • 4. 사례 분석
      • Abstract
      • 1. 서론
      • 2. 공간 개념
      • 3. 경험 이론 고찰
      • 4. 사례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환, "환경심리학" 학지사 1997

      2 김정동, "현대 건축공간의 개념과 공간체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3

      3 李廷美, "전시 공간의 이동 체험을 통한 움직임 표현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5

      4 쿠르트 프리틀라인, "서양 철학사" 서광사 1985

      5 김성일, "생각있는 디자인" 학지사 1998

      6 이정민, "상호작용 공간의 행태적 참여 어포던스(Affordance) 속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7 고토 다케시, "디자인 생태학" 세종출판사 2005

      8 강성중, "공간에서의 인터렉션 디자인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2005

      9 권영걸, "공간디자인" 도서출판국제 2001

      10 정수미, "공간개념 변화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방향성 고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1 이진환, "환경심리학" 학지사 1997

      2 김정동, "현대 건축공간의 개념과 공간체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3

      3 李廷美, "전시 공간의 이동 체험을 통한 움직임 표현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5

      4 쿠르트 프리틀라인, "서양 철학사" 서광사 1985

      5 김성일, "생각있는 디자인" 학지사 1998

      6 이정민, "상호작용 공간의 행태적 참여 어포던스(Affordance) 속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7 고토 다케시, "디자인 생태학" 세종출판사 2005

      8 강성중, "공간에서의 인터렉션 디자인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2005

      9 권영걸, "공간디자인" 도서출판국제 2001

      10 정수미, "공간개념 변화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 방향성 고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11 박지숙, "공간 체험 분석에 기초한 디지털 미디어 전시공간 계획안"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1

      12 김민선,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개념을 적용한 공공공간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