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성요소에 의한 시지각적 연속성이 적용된 개방형 복합쇼핑몰 사례 연구 ; 디큐브시티(D-Cube City)의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Open Multi-Complex Shopping Mall Applying Visual-Perceptive Sequence Based on Sensibility Elements ; Focusing on the approach space of D-Cube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0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complex shopping malls, which have been transformed into an open space through incorporation of ICT and interconnection with urban functionalities, are evolving more complex and larger structures in urban dimensions. The approach space planning is crucial which enables the undisrupted and smooth access to targeted space in such large space. As a design methodology for natural flow of circulation,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visual-perceptive sequence. For the purpose, this author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visual-perceptive sequence and sensibility elements in this study, and furthermore, derived expression elements and sensibility elements for sequence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s and preceding studies. In addition, this author analyzed the approach space of D-Cube Cit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ensibility elements presented in the approach space aroused curiosity and attention in users, thus providing them with a new experience. Those sensibility elements created a relationship of order among elements through expression elements of visual -perceptive sequence, enabling more sequential perception, and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patial properties. Thus, visual - perceptive sequence needs to be presented to allow users to grasp the space in an orderly manner based on interesting spatial flow in the approach space of open multi-complex shopping mall, and particularly, the sensibility elements which are influential factors, would need to be applied actively.
      번역하기

      Multi-complex shopping malls, which have been transformed into an open space through incorporation of ICT and interconnection with urban functionalities, are evolving more complex and larger structures in urban dimensions. The approach space planning ...

      Multi-complex shopping malls, which have been transformed into an open space through incorporation of ICT and interconnection with urban functionalities, are evolving more complex and larger structures in urban dimensions. The approach space planning is crucial which enables the undisrupted and smooth access to targeted space in such large space. As a design methodology for natural flow of circulation,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visual-perceptive sequence. For the purpose, this author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visual-perceptive sequence and sensibility elements in this study, and furthermore, derived expression elements and sensibility elements for sequence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s and preceding studies. In addition, this author analyzed the approach space of D-Cube Cit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ensibility elements presented in the approach space aroused curiosity and attention in users, thus providing them with a new experience. Those sensibility elements created a relationship of order among elements through expression elements of visual -perceptive sequence, enabling more sequential perception, and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patial properties. Thus, visual - perceptive sequence needs to be presented to allow users to grasp the space in an orderly manner based on interesting spatial flow in the approach space of open multi-complex shopping mall, and particularly, the sensibility elements which are influential factors, would need to be applied a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2007

      2 강설, "한·중 드라마 실내공간에 나타난 감성디자인 표현특성 비교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1-13, 2015

      3 이미경, "테마파크 환경연출기법에 있어서 감성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 테마파크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8 : 83-90, 2003

      4 장정제, "창조적 사고와 디자인의 도전" Spacetime 시공문화사 268-, 2008

      5 윤정미, "주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9 (9): 237-241, 2007

      6 Lauer, David A., "조형의 원리" 예경 100-, 2011

      7 황인경, "제품의 감성디자인 사례 연구 - 소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한국영상학회 13 (13): 133-144, 2015

      8 Mikunda, Christian, "제3의 공간: 환상적인 체험을제공하는 공간연출 마케팅" 미래의 창 12-76, 2005

      9 "유통산업발전법 [시행2013.4.24.] [법률 제 11626호, 2013. .1.23, 일부개정]"

      10 김재중, "안도 타다오의 전시시설에 있어서진입공간의 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22 (22): 537-540, 2002

      1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2007

      2 강설, "한·중 드라마 실내공간에 나타난 감성디자인 표현특성 비교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1-13, 2015

      3 이미경, "테마파크 환경연출기법에 있어서 감성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 테마파크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8 : 83-90, 2003

      4 장정제, "창조적 사고와 디자인의 도전" Spacetime 시공문화사 268-, 2008

      5 윤정미, "주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9 (9): 237-241, 2007

      6 Lauer, David A., "조형의 원리" 예경 100-, 2011

      7 황인경, "제품의 감성디자인 사례 연구 - 소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한국영상학회 13 (13): 133-144, 2015

      8 Mikunda, Christian, "제3의 공간: 환상적인 체험을제공하는 공간연출 마케팅" 미래의 창 12-76, 2005

      9 "유통산업발전법 [시행2013.4.24.] [법률 제 11626호, 2013. .1.23, 일부개정]"

      10 김재중, "안도 타다오의 전시시설에 있어서진입공간의 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22 (22): 537-540, 2002

      11 William James, "심리학의 원리" 부글북스 288-451, 2014

      12 양윤, "소비자 심리학" 학지사 49-, 2014

      13 이용선, "복합 상업시설의 상권 활성화에영향을 미치는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32 (32): 55-56, 2012

      14 김수미, "복합 상업시설 공용공간의 활용성에 따른 확장 방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5 Arnheim, Rodolf,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5-430, 2003

      16 Kotler, Philip, "마켓 4.0" 더퀘스트 280-, 2017

      17 김명선, "디자인 호텔 실내공간의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74-82, 2004

      18 Lynch, Kevin, "도시환경디자인" 광문각 22-162, 2008

      19 요시하라 요시노부, "건축의 외부공간" 기문당 98-, 2005

      20 Goleman, Daniel, "감성지능(하)" 비전코리아 207-, 1997

      21 김정아, "감성적 표현특성이 적용된 해외 병원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1 (11): 113-124, 2010

      22 김영선, "감성적 표현특성에 의한 도시공원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23 김가영, "감성적 접근으로 본 마르셀 반더스(Marcel Wanders)의 키치적(Kitsch)공간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1-14, 2016

      24 장인경, "감성디자인으로 접근한 쇼핑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6 (6): 25-30, 2004

      25 E. Bruce Goldstein, "감각과 지각" 시그마프레스 6-10, 2007

      26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T 용어사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dustrial design ->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6 0.2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