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의 국호에 대하여 = On the Country Names of Sin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7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names of the country Sinla in the earlier period of the kingdom, like Salo (斯盧), Selapel (徐羅伐) do not originate from the meaning of ‘east side (東方),’ but from the meaning of ‘new heaven and earth.’ Nu...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names of the country Sinla in the earlier period of the kingdom, like Salo (斯盧), Selapel (徐羅伐) do not originate from the meaning of ‘east side (東方),’ but from the meaning of ‘new heaven and earth.’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larify the meanings and forms of the names of Sinla. However, these attempts have not been successful. Comparing forms and meanings of the various names of Sinla by way of ‘ladder-form’ investigation, we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sʌy/ tentatively reconstructed form of sa (斯) part of *Salo corresponds to sae (新) in Modern Korean, and /*nV/ tentatively reconstructed form of lo (盧) of Salo corresponds to nwuli, nwi, or nwu (世上) etc. in Modern Korean. It is evident that the phonemic shape of /*sʌy/ is similar to /sɛ/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the first part of Sinla (新羅), not to correspond to ‘eastern’ meaning. And the second part of Salo can be reconstructed as /*nV/, which can explain the forms of nwuli (by adding suffix *li), nwi, or nwu in Modern Korean. Historical facts also support the /*sʌy/ hypothesis. Samkwuksaki (三國史記) described the event that the king of Mahan (馬韓) reprimanded the delegates of Cinhan (辰韓) [indicating Sinla] for not providing tributes in the year of Hyekkesey (赫居世) 38. This means that Sinla was a sort of subject state, presupposing an event of other country’s invading and conquering the pre-Sinla territory, and estabishing a new country. So, the word meaning ‘new’ was introduced in its name. The mythical approach also suggests that some other country’s invading event took place before that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세진, "훈몽자회" 단국대학교 출판부 1971

      2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965

      3 양주동, "조선 고가 연구" 박문서관 1942

      4 양주동, "정보판 고가연구" 박문출판사 1954

      5 임홍빈, "재구조화의 성격과 그 적용 대상: 향가 표기의 몇 예를 포함하여" 2019

      6 가나자와,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도에서원(刀江書院) 1929

      7 서정목, "안병희 선생 10주기 추모논문집" 역락 91-169, 2018

      8 유희춘, "신증유합" 단국대학교출판부 1972

      9 정연식, "신라의 초기 국호 사라벌[徐羅伐]과 시라[斯盧]의 뜻"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2) : 13-50, 2018

      10 김대식, "신라어 sär[新]의 변천과 그 표기: 원효와 신라 국호의 기원과 관련하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 : 25-44, 1986

      1 최세진, "훈몽자회" 단국대학교 출판부 1971

      2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965

      3 양주동, "조선 고가 연구" 박문서관 1942

      4 양주동, "정보판 고가연구" 박문출판사 1954

      5 임홍빈, "재구조화의 성격과 그 적용 대상: 향가 표기의 몇 예를 포함하여" 2019

      6 가나자와,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도에서원(刀江書院) 1929

      7 서정목, "안병희 선생 10주기 추모논문집" 역락 91-169, 2018

      8 유희춘, "신증유합" 단국대학교출판부 1972

      9 정연식, "신라의 초기 국호 사라벌[徐羅伐]과 시라[斯盧]의 뜻"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2) : 13-50, 2018

      10 김대식, "신라어 sär[新]의 변천과 그 표기: 원효와 신라 국호의 기원과 관련하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 : 25-44, 1986

      11 문경현, "신라사연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25, 1970

      12 이병도, "삼국사기․삼국유사" 두계학술재단 1977

      13 김부식, "삼국사기"

      14 최남희,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11-55, 2006

      15 "광주 천자문" 단국대학교 출판부 1973

      16 조지훈, "고려대학교 50주년 기념논문집"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167-188, 1955

      17 이기문, "개정판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1972

      18 권인한, "新羅國號 異表記와 古代韓國語 音韻現象의 展開" 구결학회 (20) : 179-212, 2008

      19 김병곤, "斯盧國의 출범과 신라인의 건국관" 신라사학회 (23) : 37-73, 2011

      20 전몽수, "‘신라’의 명의(名義)" 조선어학회 8 (8): 4-6, 1940

      21 이기문, "‘신라’의 국호"

      22 박은용, "‘시림(始林)’ 표기의 원어 비정: ‘비[始]’의 단어족과 그 비교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 : 55-78, 1985

      23 Ting, P. -H., "Chinese Phonology of the Wei-Chin Period: Reconstruction of the Finals as Reflected in Poetry"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