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우숙, "한국현대연극에 나타난 여성육체 이미지" 한국여성문학학회 (5) : 68-69, 2001
2 박혜령, "한국반사실주의 희곡 연구" 이화여대 1995
3 김남석, "한국 영화에 반영된 가족 유형에 대한 연구 -최근 한국영화 '가족의 탄생'.'바람난 가족'.'싱글즈'.'결혼은 미친 짓이다'를 대상으로" 영주어문학회 16 : 191-219, 2008
4 레이먼드 윌리엄스, "텔레비전론" 현대미학사 108-111, 1996
5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위원회 71-, 2004
6 글렌 크리버, "텔레비전 장르의 이해" 산해 19-27, 2004
7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의 미학적 성격" 한국극예술학회 (23) : 369-390, 2006
8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장르․미학․해독" 문경 32-33, 2005
9 오명환, "텔레비전 드라마 예술론" 나남출판 40-44, 1994
10 서연호, "이현화 희곡․시나리오 전집(1∼3권)" 연극과 인간 2007
1 정우숙, "한국현대연극에 나타난 여성육체 이미지" 한국여성문학학회 (5) : 68-69, 2001
2 박혜령, "한국반사실주의 희곡 연구" 이화여대 1995
3 김남석, "한국 영화에 반영된 가족 유형에 대한 연구 -최근 한국영화 '가족의 탄생'.'바람난 가족'.'싱글즈'.'결혼은 미친 짓이다'를 대상으로" 영주어문학회 16 : 191-219, 2008
4 레이먼드 윌리엄스, "텔레비전론" 현대미학사 108-111, 1996
5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위원회 71-, 2004
6 글렌 크리버, "텔레비전 장르의 이해" 산해 19-27, 2004
7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의 미학적 성격" 한국극예술학회 (23) : 369-390, 2006
8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장르․미학․해독" 문경 32-33, 2005
9 오명환, "텔레비전 드라마 예술론" 나남출판 40-44, 1994
10 서연호, "이현화 희곡․시나리오 전집(1∼3권)" 연극과 인간 2007
11 이현화, "이현화 인터뷰" 121-, 2007
12 최창봉, "우리 방송 100년" 현암사 218-224, 2001
13 김성희, "방송드라마 창작실기론" 연극과인간 274-300, 2001
14 문화방송30년사편찬위원회, "문화방송" 문화방송 682-, 1992
15 김환표,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 인물과사상사 20-21, 2012
16 박노현, "드라마, 시학을 만나다" 휴머니스트 180-183, 2009
17 박성봉, "대중예술의 이론들" 동연 16-, 1994
18 "기사 예술이냐 흥행이냐 카덴자 파문"
19 "기사 연극계 여름 이기기 고심"
20 "기사 연극 0.917 최장 공연 기록"
21 최상식, "TV드라마 작법" 제삼기획 179-182, 1994
22 김동현, "1964년 작 영화 <해녀> 연구- ‘창조’된 표상과 상상의 ‘분할’" 영주어문학회 29 : 241-27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