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 분류 연구 = A concept research on similarity of similar grammar ite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0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elect and teach similar grammar in Korean to foreigners, there is a need to accurately apprehend what similarity occurs in which aspect of grammar, and need to instruct to cultivate ability for learners to distinguish them. As foreign learners are un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ity like a native speaker, the similarity becomes one of the major cause of error in learning Korea. Therefore, through explicit learning, one must instruct students to learn contents that are relevant to similarity of grammar.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regulation regarding the concept of “similarity” and its specific types that occur in grammar. Without doubt, similarity in grammar is the essential element defining the similar grammar items. Native speakers are 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 grammars in natural, but foreign learners have hard time recognizing the similarity in grammar.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composition, system of grammar to clearly verify the concept of similar grammar, and determine the concept of “similarity”. Also, the study aims to discuss the range of “similarity” that is educationally significant, and propose the specified types of similar grammars based on the discussion.
      번역하기

      In order to select and teach similar grammar in Korean to foreigners, there is a need to accurately apprehend what similarity occurs in which aspect of grammar, and need to instruct to cultivate ability for learners to distinguish them. As foreign lea...

      In order to select and teach similar grammar in Korean to foreigners, there is a need to accurately apprehend what similarity occurs in which aspect of grammar, and need to instruct to cultivate ability for learners to distinguish them. As foreign learners are un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ity like a native speaker, the similarity becomes one of the major cause of error in learning Korea. Therefore, through explicit learning, one must instruct students to learn contents that are relevant to similarity of grammar.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regulation regarding the concept of “similarity” and its specific types that occur in grammar. Without doubt, similarity in grammar is the essential element defining the similar grammar items. Native speakers are able to distinguish the similar grammars in natural, but foreign learners have hard time recognizing the similarity in grammar.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composition, system of grammar to clearly verify the concept of similar grammar, and determine the concept of “similarity”. Also, the study aims to discuss the range of “similarity” that is educationally significant, and propose the specified types of similar grammars based on the discus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4단계)" 국립국어원 2015

      2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3단계)" 국립국어원 2014

      3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2단계)" 국립국어원 2013

      4 이희자, "한국어 학습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1

      5 이희자,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6

      6 이희자, "한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10

      7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선정 연구" 고려대학교 2017

      8 양명희,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에 대한 기초 연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6

      9 성지연,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법 교육 항목 선정과 제시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7 (47): 127-157, 2014

      10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5-126, 2002

      1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4단계)" 국립국어원 2015

      2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3단계)" 국립국어원 2014

      3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2단계)" 국립국어원 2013

      4 이희자, "한국어 학습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1

      5 이희자,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6

      6 이희자, "한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10

      7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선정 연구" 고려대학교 2017

      8 양명희,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에 대한 기초 연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6

      9 성지연,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법 교육 항목 선정과 제시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7 (47): 127-157, 2014

      10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5-126, 2002

      11 유해준, "한국어 교육 문법적 연어 항목 선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제열, "한국어 교육 문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중급 1단계를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 : 285-309, 2004

      13 조민정, "학습자 사전에서의 유의어 선정과 기술 방법에 대한 연구-연세 현대한국어사전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3 : 349-387, 2010

      14 강현화,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감정 기초형용사의 유의관계 변별 기제 연구 -기쁨·슬픔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통합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17 : 43-64, 2005

      15 진정란, "유의표현 ‘-느라고, -는 바람에, -거든’의 교육문법 정보"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 (1): 179-200, 2005

      16 김용석, "유의어 연구: 그 개념규정과 유형분류" 5 (5): 103-122, 1981

      17 유현경, "유사관계 어휘정보를 활용한 어휘교육 방안"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7 : 243-269, 2002

      18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9 안경화, "외국인에 대한 유의 표현 교수법" 목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5 : 65-80, 1998

      20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도서출판 하우 2006

      21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22 김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문법 교육의 위치․교육 원리에 관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 (9): 135-152, 1998

      23 김재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 한국어 교육 문법의 제시 원리와 체계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22) : 163-180, 2003

      24 한송화,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357-379, 2006

      25 김정숙,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과 교육 방법 -‘-이/가’와 ‘-은/는’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2-46, 2002

      26 유해준, "보조사를 포함한 한국어 교육 문법 유형 분석" 중앙어문학회 65 : 267-282, 2016

      27 방성원, "고급 교재의 문법 내용 구성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6-168, 2003

      28 Taylor, B. P., "The use of overgeneralization and transfer learning strategies by elementary and intermediate students in ESL" 25 : 73-107, 1975

      29 Underwood, B., "Studies of distributed practice: Learning and retention of paired-adjective lists with two levels of intra-list similarity" 42 (42): 153-161, 1951

      30 Laufer, B., "Similar lexical forms in interlanguage" 1991

      31 Nesbit, J. C., "Sequencing confusable items in paired-associate drill" 18 (18): 7-13, 1991

      32 Siegel, M. A., "Adaptive feedback and review paradigm for computer-based drills" 76 (76): 310-317,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The Association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9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