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재배환경과 재배기술의 차이가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ivation Techniques on Productivity of Forage Corn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6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ivation techniques on productivity of forage corn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on 2017 and 2018. Average dry matter yield of forage corn at 34 cultivation regions was 13,510kg/ha. Forage productivity of forage corn cultivated at actual production site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cultivation techniques(p<0.01) but not correlated with cultivation environments. Forage productivity of forage corn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eeding techniques(p<0.01) but not correlated with fertilization techniq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es of cultivation techniques are more important than cultivation environments for increasing the forage productivity of forage corn. Therefore, yield prediction techniques of forage corn in Korea have to be considered the practices of cultivation techniques along with soil and climate conditions.
      번역하기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ivation techniques on productivity of forage corn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on 2017 and 2018. Average dry matter yield of forage corn at 3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ivation techniques on productivity of forage corn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on 2017 and 2018. Average dry matter yield of forage corn at 34 cultivation regions was 13,510kg/ha. Forage productivity of forage corn cultivated at actual production site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cultivation techniques(p<0.01) but not correlated with cultivation environments. Forage productivity of forage corn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eeding techniques(p<0.01) but not correlated with fertilization techniq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es of cultivation techniques are more important than cultivation environments for increasing the forage productivity of forage corn. Therefore, yield prediction techniques of forage corn in Korea have to be considered the practices of cultivation techniques along with soil and climate condi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범영, "파종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79-186, 2009

      2 주정일, "중부지역에서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한 사일리지 옥수수 품종의 생육 및 수량"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0 (30): 1-8, 2010

      3 최기준, "중부지역에서 검은줄오갈병 발생이 사료용 옥수수 품종의 조사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7 (37): 44-49, 2017

      4 최기준, "중부지역에서 5월 하순 파종한 사료용 옥수수의 품종별 생육특성과 조사료 생산성"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9 (39): 17-23, 2019

      5 이상무, "저지대 논 토양에서 배수로 깊이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137-144, 2015

      6 최기준, "사료용 옥수수의 검은줄오갈병 전국 발생 실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8 (28): 221-228, 2008

      7 신재순, "배수불량 논에서 암거배수처리가 동ㆍ하계 사료작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8 (28): 301-306, 2008

      8 김맹중, "대관령에서 옥수수 품종별 생육특성과 건물수량에 기후변화의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123-130, 2013

      9 지희정,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329-336, 2009

      10 손범영, "논과 밭에서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일반생육 및 수량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0 (30): 237-246, 2010

      1 손범영, "파종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79-186, 2009

      2 주정일, "중부지역에서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한 사일리지 옥수수 품종의 생육 및 수량"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0 (30): 1-8, 2010

      3 최기준, "중부지역에서 검은줄오갈병 발생이 사료용 옥수수 품종의 조사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7 (37): 44-49, 2017

      4 최기준, "중부지역에서 5월 하순 파종한 사료용 옥수수의 품종별 생육특성과 조사료 생산성"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9 (39): 17-23, 2019

      5 이상무, "저지대 논 토양에서 배수로 깊이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137-144, 2015

      6 최기준, "사료용 옥수수의 검은줄오갈병 전국 발생 실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8 (28): 221-228, 2008

      7 신재순, "배수불량 논에서 암거배수처리가 동ㆍ하계 사료작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8 (28): 301-306, 2008

      8 김맹중, "대관령에서 옥수수 품종별 생육특성과 건물수량에 기후변화의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123-130, 2013

      9 지희정,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329-336, 2009

      10 손범영, "논과 밭에서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일반생육 및 수량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0 (30): 237-246, 2010

      11 지희정, "남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3-18, 2009

      12 이상무, "경운횟수와 파종기 이동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잡초발생 및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7 (27): 209-218, 2007

      13 최기준, "검은줄오갈병 발생이 심한 지역에서 옥수수 품종의 발병률과 사초 생산성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111-116, 2013

      14 Holland, C., "The Pioneer Forage Manual-A Nutritional Guide"

      15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2" SAS Institute Inc 2002

      16 RDA, "Standard of agriculture research investig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5

      17 RDA, "Roughage, standard farming textbook 9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18 MAFRA, "Project of increasing for roughage production bas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19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20 Goering, H.K., "Forage fiber analysis" ARS. USDA 1970

      21 Kim, D.A., "Forage crops" Sunjinmuhwasa 310-320, 1991

      22 RDA, "Chemical analysis of soi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8

      23 NIAS, "Annual report of livestock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