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손은 1493년에서 1498년 무오사화로 죽기 바로 전까지 총 6편의 부를 짓는다. 이때는 성종에서 연산군으로 넘어가는 시기로 김종직, 남효온, 김기손 등이 연달아 세상을 떠나고 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89017
2008
-
김일손 ; 추회부(秋懷賦) ; 탁영집 ; 무오사화 ; 김종직 ; 질풍지경초부(疾風知勁草賦) ; 미적 시공간 ; Kim Il-Son ; Chuhui-Pu ; Takyung-jip ; Muo-Sahwa ; Kim Jong-jik ; Jilpungjikyungcho-Pu ; Asthetic Space-time
810
KCI등재
학술저널
39-54(1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김일손은 1493년에서 1498년 무오사화로 죽기 바로 전까지 총 6편의 부를 짓는다. 이때는 성종에서 연산군으로 넘어가는 시기로 김종직, 남효온, 김기손 등이 연달아 세상을 떠나고 난...
김일손은 1493년에서 1498년 무오사화로 죽기 바로 전까지 총 6편의 부를 짓는다. 이때는 성종에서 연산군으로 넘어가는 시기로 김종직, 남효온, 김기손 등이 연달아 세상을 떠나고 난 다음 시기에 해당한다. 믿고 의지할 스승들을 떠나보낸 김일손은 그들이 졌던 짐을 자신이 져야 한다는 자임의 식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부는 성종 말부터 연산군 초라는 급박한 시기에 대응하고자 했던 김일손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BR> 그의 부는 크게 둘로 나누어진다. 벗들과의 마음의 교류를 담은 「추회부(秋懷賦)」, 「의별지부(擬別知賦)」, 「감구유부(感舊遊賦)」와 주로 정치적 우의를 강조한 「질풍지경초부(疾風知勁草賦)」, 「유월궁부(遊月宮賦)」, 「취성정부(聚星亭賦)」가 그것이다. 전자는 맑고 깨끗한 내면 풍경을 강조하고 벗과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함께 할 미음을 표현하고 있다. 후자는 연산군 시기에 닥쳐올 위험을 예감하면서도 꿋꿋하게 거기에 맞서리라는 다짐을 하고 있다.<BR> 김일손은 부에서 수사가 화려하고 화려한 만큼의 비감하면서 고양된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데 굳세게 현실과 맞서려는 의지를 담기 위해서 선택한 전략이다. 그 결과 작품 내부의 공간과 시간은 모두 절대적으로 맑고 깨끗한 공간과 인물형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자신을 경초(勁草)에 비유했던 김일손의 내면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Il-Son wrote six Pu works in 1493~1498 before his death at Muo-Sahwa. This period is King Sungjong"s last years and King Yunsankun"s early years. And just before, Kim Jong-jik, Nam Hyo-won and Kim Ki-Son was died. After their...
Kim Il-Son wrote six Pu works in 1493~1498 before his death at Muo-Sahwa. This period is King Sungjong"s last years and King Yunsankun"s early years. And just before, Kim Jong-jik, Nam Hyo-won and Kim Ki-Son was died. After their death, Kim Il-Son regarded himself to their political successor. He wrote his Pu works to cope with this situation.<BR> His Pu works can devide into two. The fanner deals with his friendship. Chuhui-pu, Eubyulji-Pu, Kamkiyu-Pu belong to here. The latter deals with politic allegory. Jilpungjikyungcho-Pu, Yuyuelkung-Pu, Chusungjung-Pu belong to here. The fanner give weight to his inside scenery on absolute purity. The latter give weight to his oath to stand against king Yunsankun"s appoaching oppression.<BR> Kim Il-Son represented a florid style in his Pu works. He chose this style to manifest his iron will to confront king Yunsankun"s politic oppression. As a result, he expressed the literary space and figure to absolute purity. He compared himself with a tough grass not to yield This is Kim ll-Son and his Pu works"s spir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희, "탁영 사부의 문체적 성격과 현실인식?, 『탁영 김일손의 문학과 사상" 영남대학교 1998
1 김영희, "탁영 사부의 문체적 성격과 현실인식?, 『탁영 김일손의 문학과 사상" 영남대학교 199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236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