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독교 신앙교육과 연극: 성경 교수-학습 진행을 중심으로 = Christian Faith Education and Drama: Focused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Bi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58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 is called as art. This expression relates to the emotional value of the beauty that art pursues. Because education must pursue the overall human development, an attempt to introduce the arts to education is granted. However, the Korean church has an incompetent attitude toward art. It is critical because it is negative. It is positive but limited. It is no excep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Aesthetic efforts to resemble the beauty of God are rare and abstract, so they are difficult to apply. In this real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Bible study which is most important for the change of the learner in the Christian education by using drama. In general, Bible study is a series of activities leading to the stages of introduction-development-execution. However, in spite of efforts to revitalize the teaching-learning Bible study is boring to learners and they do not want to be involved. These problems, which hinder the growth of faith and the positive changes of human beings through Bible study, must be overcome by the counter-educational. In such an attempt, drama emerges. In order to optimize the faith constructive effect of Bible study throu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we suggested pantomime in the introduction stage, role play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Pansori in the rearrangement stage. Drama have a variety of characters and types. In this study, the drama proposed by the biblical teaching- learning stage is very limited. With these clues, it will be a chance to meet a dynamic theater that will help you study the Bible by going to a larger theater world.
      번역하기

      Education is called as art. This expression relates to the emotional value of the beauty that art pursues. Because education must pursue the overall human development, an attempt to introduce the arts to education is granted. However, the Korean churc...

      Education is called as art. This expression relates to the emotional value of the beauty that art pursues. Because education must pursue the overall human development, an attempt to introduce the arts to education is granted. However, the Korean church has an incompetent attitude toward art. It is critical because it is negative. It is positive but limited. It is no excep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Aesthetic efforts to resemble the beauty of God are rare and abstract, so they are difficult to apply. In this real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Bible study which is most important for the change of the learner in the Christian education by using drama. In general, Bible study is a series of activities leading to the stages of introduction-development-execution. However, in spite of efforts to revitalize the teaching-learning Bible study is boring to learners and they do not want to be involved. These problems, which hinder the growth of faith and the positive changes of human beings through Bible study, must be overcome by the counter-educational. In such an attempt, drama emerges. In order to optimize the faith constructive effect of Bible study throu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we suggested pantomime in the introduction stage, role play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Pansori in the rearrangement stage. Drama have a variety of characters and types. In this study, the drama proposed by the biblical teaching- learning stage is very limited. With these clues, it will be a chance to meet a dynamic theater that will help you study the Bible by going to a larger theater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이 전인성을 추구한다면 정서적 가치를 형성하려는 예술을 교육에 도입하려 는 시도는 권할 만하다.1) 기독교 신앙교육의 영역에서 예술의 활용은 활발하지 않 다.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닮아가기 위한 심미적 추구와 연구는 드물며, 실천을 입 지 않은 예술적 언급들은 추상적이어서 적용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이 연 구는 기독교 신앙교육에서 학습자를 변화시키기는 가장 중요한 기회를 성경공부라 보고, 연극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증대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일반적으로 성경공부 는 도입-전개-정리라는 단계로 이어지는 일련의 활동인데, 교수-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에게 성경공부는 따분한 것이고 관여하고 싶지 않은 것이 되었다. 성경공부를 통한 신앙의 성장과 인간의 긍정적 변화를 가로막는 이 문제점들은 흥미와 참여를 야기하는 맞대응적 교육적 노력에 의해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그 같은 시도에서 연극이 등장한다. 흥미와 참여를 통해 성경공부의 신앙 건설적 효과를 적정화하기 위해 도입 단계에서는 무언극을, 전개 단개에서는 역 할극을, 그리고 정리 단계에서는 판소리를 제안했다. 연극은 그 성격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고 넓다. 이 연구에서 성경공부 교수-학습단계별로 제안한 연극들은 그중 극 히 일부이다. 이것들은 단서로 사용되어서 더 넓은 연극의 세계로 나아가 성경공부 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동역적인 연극을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교육이 전인성을 추구한다면 정서적 가치를 형성하려는 예술을 교육에 도입하려 는 시도는 권할 만하다.1) 기독교 신앙교육의 영역에서 예술의 활용은 활발하지 않 다.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교육이 전인성을 추구한다면 정서적 가치를 형성하려는 예술을 교육에 도입하려 는 시도는 권할 만하다.1) 기독교 신앙교육의 영역에서 예술의 활용은 활발하지 않 다.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닮아가기 위한 심미적 추구와 연구는 드물며, 실천을 입 지 않은 예술적 언급들은 추상적이어서 적용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이 연 구는 기독교 신앙교육에서 학습자를 변화시키기는 가장 중요한 기회를 성경공부라 보고, 연극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증대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일반적으로 성경공부 는 도입-전개-정리라는 단계로 이어지는 일련의 활동인데, 교수-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에게 성경공부는 따분한 것이고 관여하고 싶지 않은 것이 되었다. 성경공부를 통한 신앙의 성장과 인간의 긍정적 변화를 가로막는 이 문제점들은 흥미와 참여를 야기하는 맞대응적 교육적 노력에 의해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그 같은 시도에서 연극이 등장한다. 흥미와 참여를 통해 성경공부의 신앙 건설적 효과를 적정화하기 위해 도입 단계에서는 무언극을, 전개 단개에서는 역 할극을, 그리고 정리 단계에서는 판소리를 제안했다. 연극은 그 성격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고 넓다. 이 연구에서 성경공부 교수-학습단계별로 제안한 연극들은 그중 극 히 일부이다. 이것들은 단서로 사용되어서 더 넓은 연극의 세계로 나아가 성경공부 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동역적인 연극을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리사 배니 윈터스, "온스테이지: 무대에서 놀아요!" 정은문고 2011

      2 라영환, "예술, 모더니즘 그리고 이데올로기"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6 : 213-241, 2010

      3 발터 윙크, "영성 발달을 위한 창의적 성서교육 방법: 인도자용 지침서" 한국신학연구소 2000

      4 조래영, "영산기독론의 아동교육철학 관점의 이해" 2 (2): 123-150, 2005

      5 박문옥, "영산 교육신학을 위한 ‘만남’의 이해" 18 : 213-237, 2010

      6 정진수, "연극의 이해" 집문당 2000

      7 에드윈 윌슨, "연극의 이해" 예니 1998

      8 오스카 G.브로켓, "연극의 역사Ⅰ" 연극과 인간 2005

      9 밀리 S. 배린저, "연극 이해의 길" 평민사 2006

      10 김애련, "아르눌 그레방의『수난 성사극』연구: 상연을 중심으로" (8) : 66-105, 2005

      1 리사 배니 윈터스, "온스테이지: 무대에서 놀아요!" 정은문고 2011

      2 라영환, "예술, 모더니즘 그리고 이데올로기"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6 : 213-241, 2010

      3 발터 윙크, "영성 발달을 위한 창의적 성서교육 방법: 인도자용 지침서" 한국신학연구소 2000

      4 조래영, "영산기독론의 아동교육철학 관점의 이해" 2 (2): 123-150, 2005

      5 박문옥, "영산 교육신학을 위한 ‘만남’의 이해" 18 : 213-237, 2010

      6 정진수, "연극의 이해" 집문당 2000

      7 에드윈 윌슨, "연극의 이해" 예니 1998

      8 오스카 G.브로켓, "연극의 역사Ⅰ" 연극과 인간 2005

      9 밀리 S. 배린저, "연극 이해의 길" 평민사 2006

      10 김애련, "아르눌 그레방의『수난 성사극』연구: 상연을 중심으로" (8) : 66-105, 2005

      11 김애련, "아르눌 그레방의 수난성사극에 나타난 성모 마리아의 모습" 11 : 9-42, 2008

      12 뤼트 뵈프, "아담극: 중세편 1" 시와 진실 2004

      13 소태영, "순복음 교회학교에서‘성령과 함께하는 놀이’로서 ‘Godly Play’의 변형과 적용" 영산신학연구소 (39) : 239-273, 2017

      14 아르누 그레방, "수난 성사극 상. 하" 시와 진실 2004

      15 한스 R. 베버, "성서 나를 읽는 책" 예영커뮤니케이션 2006

      16 오애숙, "성공적인 교수법: 경험활동: 창의극·역할극·무용극"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5

      17 김애련, "부활절 전례극『무덤 방문』에 나타난 극화 과정: 중세 종교극에 관한 연구 1" (4) : 5-42, 2001

      18 토마스 H. 그룸, "기독교적 종교교육"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80

      19 박해경, "기독교와 예술: 칼빈주의와 음악" 36 : 129-155, 2004

      20 김은주, "기독교연극개론" 성공문화사 1991

      21 리처드 라이처트, "기독교교육의 학습과정" 대한기독교서회 1997

      22 최봉도, "기독교 문화 형성을 위한 통전적 기독교교육의 성찰적 접근" 기독교신학연구소 (40) : 37-64, 2012

      23 박종석, "기독교 교육과 미학: 헤겔의 예술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0 : 213-248, 2009

      24 John H. Westerhoff, III, "교회의 신앙교육"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3

      25 윤화석, "교회에서의 성경 교수-학습을 위한 방법적 접근: 심장, 손 그리고 오성과 함께하는 성경학습" 한국복음주의신학회 73 : 281-306, 2015

      26 로런스 O. 뤼쳐즈, "교육신학과 실제" 정경사 1980

      27 Bruce, Carol, "Young Children and the Arts: Making Creative Connections" Arts Education Partnership 1998

      28 Fowler, James W.,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Silver Burdett Company 32-37, 1980

      29 Lee, James M., "The Shape of Religious Instruction: Social Approach" Religious Education Press 1971

      30 키이스 와링턴, "Pentecostals and the Bible" 영산신학연구소 (34) : 31-80, 2015

      31 Landy, Robert J., "Handbook of Educational Drama and Theatre" Greenwood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7-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Young San Theological Institute of Hansei Unversity -> Youngsan Theological Institute of Hansei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12-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Young San Theology -> Journal of Youngsan Theology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오순절신학연구소 -> 영산신학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Pentacostal Studies -> Young San Theological Institute of Hansei Un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49 0.4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