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멀티미디어 콘텐츠화면에서의 효과적인 PPL 배치 = Effective PPL Arrangements in the Screen of Multimedia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7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새로운 수익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PPL(Product Placement)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의 주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화면을 9사분면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위치에 2D, 3D 숫자 정지 영상, 숫자 부분 동영상, 동영상 등을 배치하여 영상의 유형과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주목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에 관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2D 숫자 정지 영상과 동영상의 경우엔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으며, 3D 숫자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경우 역시 일관성 있게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다. 특히 정지영상 내 동영상이 존재하는 부분 동영상의 경우엔 동영상이 존재하는 분면에 압도적인 주목도를 나타냈다. 이는 영상의 노출형태가 사용자의 주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지영상보다는 동영상 형태의 노출이 사용자의 주목효과(attention of effects)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에서의 PPL 제작 시 어떤 위치에 PPL을 배치해야 사용자의 주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최근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새로운 수익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PPL(Product Placement)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의 주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화면을 9사분면으로 분할한 후...

      최근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새로운 수익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PPL(Product Placement)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의 주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화면을 9사분면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위치에 2D, 3D 숫자 정지 영상, 숫자 부분 동영상, 동영상 등을 배치하여 영상의 유형과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주목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에 관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2D 숫자 정지 영상과 동영상의 경우엔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으며, 3D 숫자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경우 역시 일관성 있게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다. 특히 정지영상 내 동영상이 존재하는 부분 동영상의 경우엔 동영상이 존재하는 분면에 압도적인 주목도를 나타냈다. 이는 영상의 노출형태가 사용자의 주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지영상보다는 동영상 형태의 노출이 사용자의 주목효과(attention of effects)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에서의 PPL 제작 시 어떤 위치에 PPL을 배치해야 사용자의 주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attention effects of PPL(product placement) in multimedia contents. PPL has been attracted attention in multimedia as well as marketing communication field as a beneficiary model. For the research, multimedia screen is divided into 9 sections and the serial 9 digit($1{\sim}9$) is assigned to the each part of the screen. The visual exposure forms of each 9 digit are composed by 2-dimension(2D) and 3-dimension(3D). And the visual exposure patterns of each 9 digit are consisted of stopping and moving image. As a result, the 5th quartering has been proved the most attracted attention regardless of all exposure forms including 2D/3D and slopping/moving image. This means center of the multimedia screen is the best place for PPL. Especially in one digit moving screen the attention of the digit has reached the climax. This suggests moving PPL is able to get more attention than stopping. These results provide the most effective PPL position in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and PPL's visual exposure forms for maximizing multimedia user's attention. Finally, these findings can be a guideline fer message arrangements of the multimedia screen.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attention effects of PPL(product placement) in multimedia contents. PPL has been attracted attention in multimedia as well as marketing communication field as a beneficiary model. For the research, multimedia screen is divided ...

      This study explores the attention effects of PPL(product placement) in multimedia contents. PPL has been attracted attention in multimedia as well as marketing communication field as a beneficiary model. For the research, multimedia screen is divided into 9 sections and the serial 9 digit($1{\sim}9$) is assigned to the each part of the screen. The visual exposure forms of each 9 digit are composed by 2-dimension(2D) and 3-dimension(3D). And the visual exposure patterns of each 9 digit are consisted of stopping and moving image. As a result, the 5th quartering has been proved the most attracted attention regardless of all exposure forms including 2D/3D and slopping/moving image. This means center of the multimedia screen is the best place for PPL. Especially in one digit moving screen the attention of the digit has reached the climax. This suggests moving PPL is able to get more attention than stopping. These results provide the most effective PPL position in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and PPL's visual exposure forms for maximizing multimedia user's attention. Finally, these findings can be a guideline fer message arrangements of the multimedia scre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광고학회, "방송에서의 제품삽입 및 간접광고의 현황, 인식 및 기준에 대한 연구" 광고학회 (특별) : 16-, 2002

      2 김완석, "광고심리학" 학지사 232-, 2004

      3 김충현, "“제품배치와 브랜드배치의 효과와 문제점”. 제일기획 사보. 3월호"

      4 Gupta, Pola B., "Viewer's Evaluations of Product Placement in Movies: Public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 22 (22): 41-52, 2000

      5 Steortz, Eva,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s" West Virginia University 1987

      6 이동근, "TV 시청자의 메시지 처리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42 (42): 137-170, 1998

      7 김재휘, "TV 드라마에서의 제품 배치(PPL)의 광고효과 측정- 암묵적 기억 측정을 통한 접근" 한국방송광고공사 (64) : 61-83, 2004

      8 Nelson, Michelle, "Recall of Brand Placements Computer/Video Games" 80-92, 2002

      9 Baker, M. J., "Product Placement" University of Strathclyde 1995

      10 Balasubramanian, S. K.,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 & Publicity Policy Issues" 23 (23): 29-46, 1994

      1 한국광고학회, "방송에서의 제품삽입 및 간접광고의 현황, 인식 및 기준에 대한 연구" 광고학회 (특별) : 16-, 2002

      2 김완석, "광고심리학" 학지사 232-, 2004

      3 김충현, "“제품배치와 브랜드배치의 효과와 문제점”. 제일기획 사보. 3월호"

      4 Gupta, Pola B., "Viewer's Evaluations of Product Placement in Movies: Public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 22 (22): 41-52, 2000

      5 Steortz, Eva,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s" West Virginia University 1987

      6 이동근, "TV 시청자의 메시지 처리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42 (42): 137-170, 1998

      7 김재휘, "TV 드라마에서의 제품 배치(PPL)의 광고효과 측정- 암묵적 기억 측정을 통한 접근" 한국방송광고공사 (64) : 61-83, 2004

      8 Nelson, Michelle, "Recall of Brand Placements Computer/Video Games" 80-92, 2002

      9 Baker, M. J., "Product Placement" University of Strathclyde 1995

      10 Balasubramanian, S. K.,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 & Publicity Policy Issues" 23 (23): 29-46,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CI등재
      2011-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정보통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4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