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전시과의 성격 - 분급토지와 분급대상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9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의 전시과는 국가에서 관직과 직역에 복무하는 사람에게 그 대가로 토지를 지급하는 제도였다. 토지를 매개로 한 관직과 직역의 수행이 지속되도록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제...

      고려의 전시과는 국가에서 관직과 직역에 복무하는 사람에게 그 대가로 토지를 지급하는 제도였다. 토지를 매개로 한 관직과 직역의 수행이 지속되도록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제도 운영은 우선 토지 분급에 있어서 자기 소유 토지에 대한 免租와 수조지의 분급방식을 통해 가능하였다. 당시의 농업 생산력은 토지의 비옥도와 경지 이용 빈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국가는 이를 인정하고 田品을 구분하였다. 같은 면적의 토지라도 생산량이 달랐기에 同積異稅制로 토지 분급제를 운영하기에는 불편하였다. 전시과는 이러한 농업환경에 조응하여 만들어진 제도이다.
      한편 분급대상을 살펴보면, 관직을 포함하여 직역에 대해서도 토지를 지급하는 것은 전시과의 특징이었고 조선의 과전법에 이르러 폐기되었다. 과전법 이후 토지 분급의 대상은 관인으로만 한정되었고 이는 唐의 직분전과 유사하였다. 조선과 唐에서도 군인, 서리, 향리가 필요하였으나 이들에게 토지가 주어지지는 않았으며, 양인 일반이 부담하는 役으로 충당되었다. 이는 각 사회의 사회경제적 조건이나 국가 운영 체제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sigwa(田柴科) of Goryeo(高麗) was a system in which land was given to those who served in government posts and official duties in the state in return.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ous performance of government offices and jikyeok(職役;...

      Jeonsigwa(田柴科) of Goryeo(高麗) was a system in which land was given to those who served in government posts and official duties in the state in return.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ous performance of government offices and jikyeok(職役; official work) through land. The operation of such a system was possible by first providing tax exemptions for self-owned land and paying sujokwon(收租權; the right to reap land tax).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at that time varied depending on the land"s fertility and frequency of use of land, so the state recognized this and distinguished. It was difficult to operate a method of paying land in return for the job because the production of land in the same area was different. Jeonsigwa is a system created in coordination with these agricultural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the payment of land to jikyeok,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 was a characteristic of jeonsigwa and was abolished under the Gwajeonbeop(科田法) of Joseon(朝鮮). After the Gwajeonbeop(科田法), the subject of land distribution was limited to government officials, which was similar to jikbunjeon(職分田) in the Tang Dynasty(唐). In Joseon and Tang, soldiers and clerks were needed, but no land was given to them, and the work of soldiers and clerk was covered by the people"s labor. This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or national operating systems in each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분급 토지의 특징과 운영방식
      • Ⅲ. 분급 대상의 범위와 그 의미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분급 토지의 특징과 운영방식
      • Ⅲ. 분급 대상의 범위와 그 의미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蔡雄錫, "한국 중세 사회경제사 연구의 길잡이" 168 : 2000

      2 김기섭, "한국 고대 중세 호등제 연구" 혜안 2007

      3 신은제, "통치제도로서의 토지분급제와 그 변화 -전시과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61) : 73-108, 2020

      4 김택민, "천성령 역주(天聖令 譯註)" 혜안 2013

      5 이민우, "중세 경제사 연구에서 토지 소유권과 수조권에 대한 재검토" 한국중세사학회 (61) : 39-71, 2020

      6 黃善榮, "나말여초 정치제도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2

      7 김태영, "과전법체제의 확립" 국사편찬위원회 24 : 1994

      8 이정호, "고려시대의 농업생산과 권농정책" 경인문화사 2009

      9 이상국, "고려시대 생산과 납세의 대상" 한국중세사학회 (61) : 11-38, 2020

      10 김기섭, "고려시기 토지소유론의 비판적 계승과 ‘佃戶’의 실체" 한국중세사학회 (55) : 397-449, 2018

      1 蔡雄錫, "한국 중세 사회경제사 연구의 길잡이" 168 : 2000

      2 김기섭, "한국 고대 중세 호등제 연구" 혜안 2007

      3 신은제, "통치제도로서의 토지분급제와 그 변화 -전시과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61) : 73-108, 2020

      4 김택민, "천성령 역주(天聖令 譯註)" 혜안 2013

      5 이민우, "중세 경제사 연구에서 토지 소유권과 수조권에 대한 재검토" 한국중세사학회 (61) : 39-71, 2020

      6 黃善榮, "나말여초 정치제도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2

      7 김태영, "과전법체제의 확립" 국사편찬위원회 24 : 1994

      8 이정호, "고려시대의 농업생산과 권농정책" 경인문화사 2009

      9 이상국, "고려시대 생산과 납세의 대상" 한국중세사학회 (61) : 11-38, 2020

      10 김기섭, "고려시기 토지소유론의 비판적 계승과 ‘佃戶’의 실체" 한국중세사학회 (55) : 397-449, 2018

      11 金載名, "고려 稅役제도사 연구"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4

      12 김건태, "결부제의 사적 추이" 대동문화연구원 (108) : 241-304, 2019

      13 이영훈, "개선사석등기에 새겨진 신라의 토지제도" 한국고문서학회 50 : 97-128, 2017

      14 李炳熙, "高麗時期 經濟制度 硏究의 動向과"국사"敎科書의 敍述" 44 : 1988

      15 朴國相, "高麗時代의 土地分給과 田品" 18 : 1988

      16 오일순, "高麗時代 役制와 身分制 變動" 혜안 2000

      17 辛素然, "高麗後期 田民辨整 硏究" 서울大 社會敎育科 2015

      18 朴京安, "高麗後期 田制이正策의 推移"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3

      19 姜晋哲, "高麗土地制度史硏究" 高麗大出版部 1980

      20 "高麗史節要"

      21 "高麗史"

      22 李平來, "高麗前期의 耕地利用에 관한 再檢討" 22 : 1989

      23 李景植, "高麗前期의 田柴科" 서울대출판부 2007

      24 李相國, "高麗 職役田 硏究" 成均館大 2004

      25 오치훈, "高麗 田柴科와 唐 官人永業田의 분급대상 비교" 민족문화연구원 (81) : 41-74, 2018

      26 金泳斗, "高麗 太祖의 國家經營"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27 尹漢宅, "高麗 前期 私田 硏究"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1995

      28 金容燮, "韓國中世農業史硏究" 지식산업사 2000

      29 李佑成, "韓國中世社會硏究" 一潮閣 1991

      30 李宗峯,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혜안 2001

      31 姜晋哲, "韓國中世土地所有硏究" 一潮閣 1989

      32 李景植, "韓國 中世 土地制度史-高麗"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33 "通典"

      34 李泰鎭, "畦田考―統一新羅․高麗時代 水稻作法의 類推―" 10 : 1978

      35 麻生武龜, "朝鮮田制考" 朝鮮總督府 中樞院 1940

      36 白南雲, "朝鮮封建社會經濟史, 上" 改造社 1937

      37 宮嶋博史, "朝鮮史硏究と所有論" 167 : 1984

      38 浜中昇, "朝鮮古代の經濟と社會" 法政大學出版局 1986

      39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1972

      40 朴興秀, "新羅 및 高麗의 量田法에 關하여" 11 : 1972

      41 "世宗實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
      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서사학
      외국어명 : HO-SUH SAHAK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95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