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Effect of Radiotherapy on Chromosomal Aberration in Cancer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41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방사선에의 노출은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in vivo 상태에서 방사선 조사 후 발생되는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빈도 규명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 및 후에 말초혈액 임파구의 염색체 변이를 비교 관찰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암 환자 세포에서 나타나틑 염색체 이상에서 절단점의 분포가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연과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5예의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시작되기 전과 4000~7000 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끝난직후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임파구를 배양후 G-분열법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환자마다 방사선치료 전후로 각각 30개씩의 중기상을 관찰하였다.
      치료전에 염색체 이상을 나타낸 세포 분열 중기상의 빈도는 4.93%로 정상 대조군 집단의 빈도 2%보다 높았다 (p<0.05).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이상 세포의 빈도는 22.13%로 치료전에 비해 매우 증가되었다 (p<0.01). 또한 세포 중기상당 이상 염색체의 수도 치료전과 후가 각가 1.49 및 2.14로 치료후 증가 되었다 (p<0.05).
      염색체 이상의 종류는 major chromosomal aberration 특히 구조적 이상의 빈도가 치료전보다 후에 65.45%에서 88.45%로 증가되었고 minor structural abnormality와 수적 변이의 빈도는 감소되었다.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절단점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가 단일 절단점을 가진 이상에 비해 증가되었다. 절단점의 분포에 있어서는 암 세포에서 가장 흔한 이상을 나타내는 1번 빛 3번 염색체와 절단점의 증가가 암 발생관 연관된다고 보고된 8번 및 11번 염색체에서 본 연구결과 기대치 이상의 절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 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점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번역하기

      방사선에의 노출은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in vivo 상태에서 방사선 조사 후 발생되는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빈도 규명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

      방사선에의 노출은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in vivo 상태에서 방사선 조사 후 발생되는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빈도 규명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 및 후에 말초혈액 임파구의 염색체 변이를 비교 관찰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암 환자 세포에서 나타나틑 염색체 이상에서 절단점의 분포가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연과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5예의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시작되기 전과 4000~7000 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끝난직후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임파구를 배양후 G-분열법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환자마다 방사선치료 전후로 각각 30개씩의 중기상을 관찰하였다.
      치료전에 염색체 이상을 나타낸 세포 분열 중기상의 빈도는 4.93%로 정상 대조군 집단의 빈도 2%보다 높았다 (p<0.05).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이상 세포의 빈도는 22.13%로 치료전에 비해 매우 증가되었다 (p<0.01). 또한 세포 중기상당 이상 염색체의 수도 치료전과 후가 각가 1.49 및 2.14로 치료후 증가 되었다 (p<0.05).
      염색체 이상의 종류는 major chromosomal aberration 특히 구조적 이상의 빈도가 치료전보다 후에 65.45%에서 88.45%로 증가되었고 minor structural abnormality와 수적 변이의 빈도는 감소되었다.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절단점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가 단일 절단점을 가진 이상에 비해 증가되었다. 절단점의 분포에 있어서는 암 세포에서 가장 흔한 이상을 나타내는 1번 빛 3번 염색체와 절단점의 증가가 암 발생관 연관된다고 보고된 8번 및 11번 염색체에서 본 연구결과 기대치 이상의 절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 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점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valuated frequency and types of chromosomal aberrations by ionizing radiation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in our institution. Twenty-five patients with barious types of carcinomas such as lung, uterine cervix, esophagus, rectum, head and neck and pancreatic cancers were studi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The frequency of aberrant metaphase prior to treatment was 4.9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Especially in lung cancer, the freuqency of aberrant metaphase was three times higher than control group. A comparison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observed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demonstrated that proportion of aberrant metaphases was significantly inreased to 22.13%. Major chromosomal aberrations like structural abnormalities showed remarkalbe increase from 65.45 to 88.45% after the treatment. Also the numbers of chromosomal alterations per cell were increased by a factor of 6.5, Aberrations with two of more break points were more prominetly ingreased, compared with aberrations with single break point. The number of chromosomal break points was noted to be higher than expected value in No. 1, 3, 8 and 11 chromosomes and lower in No. 13, 15, 17 and 21 chromoseomes. Based on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distribution of chromosomal breakage is related with gene and chromosomal rearrangement which could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cancers.
      번역하기

      WE evaluated frequency and types of chromosomal aberrations by ionizing radiation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in our institution. Twenty-five patients with barious types of carcinomas such as lung, uterine cervix, esophagus, rectum, h...

      WE evaluated frequency and types of chromosomal aberrations by ionizing radiation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in our institution. Twenty-five patients with barious types of carcinomas such as lung, uterine cervix, esophagus, rectum, head and neck and pancreatic cancers were studi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The frequency of aberrant metaphase prior to treatment was 4.9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Especially in lung cancer, the freuqency of aberrant metaphase was three times higher than control group. A comparison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observed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demonstrated that proportion of aberrant metaphases was significantly inreased to 22.13%. Major chromosomal aberrations like structural abnormalities showed remarkalbe increase from 65.45 to 88.45% after the treatment. Also the numbers of chromosomal alterations per cell were increased by a factor of 6.5, Aberrations with two of more break points were more prominetly ingreased, compared with aberrations with single break point. The number of chromosomal break points was noted to be higher than expected value in No. 1, 3, 8 and 11 chromosomes and lower in No. 13, 15, 17 and 21 chromoseomes. Based on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distribution of chromosomal breakage is related with gene and chromosomal rearrangement which could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canc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ABSTRACT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