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변화주도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사례연구: Fullan의 교육변화 관점에서 = A Case Study of a Teacher as Change Agent : Based on Fullan's Perspective about Educational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6946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Fullan의 교육변화 관점에서 교사가 왜 교육변화를 주도했고 이러한 교육변화 주도가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행함으로써 교육변화를 주도했던 한 중학교 교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Fullan의 도덕적 목적과 교육변화주도 측면에서 변화주도자로서의 교사에 대해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학생들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회와 세계를 개선할 수 있다는 도덕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교육변화를 주도하게 된 출발점이며 근본적인 이유였다. 둘째, 교사가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교육변화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도덕적 목적에 기반을 두고 인성교육을 토대로 학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인적 비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셋째, 교사는 교육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계속적으로 질문하고 해답을 찾아가기 위해 적극적으로 탐구하였다. 넷째,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지식을 축적하고 반성적 실천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갔다. 다섯째, 교사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실행될 수 있도록 다른 교사와 협력하고자 노력했으나 협력할 수 있는 학교문화가 조성되어 있지 않아 교육변화주도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변화주도자로서의 교사가 되도록 하기 위한 교육개혁 정책 및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Fullan의 교육변화 관점에서 교사가 왜 교육변화를 주도했고 이러한 교육변화 주도가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본 연구는 Fullan의 교육변화 관점에서 교사가 왜 교육변화를 주도했고 이러한 교육변화 주도가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행함으로써 교육변화를 주도했던 한 중학교 교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Fullan의 도덕적 목적과 교육변화주도 측면에서 변화주도자로서의 교사에 대해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학생들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회와 세계를 개선할 수 있다는 도덕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교육변화를 주도하게 된 출발점이며 근본적인 이유였다. 둘째, 교사가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교육변화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도덕적 목적에 기반을 두고 인성교육을 토대로 학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인적 비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셋째, 교사는 교육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계속적으로 질문하고 해답을 찾아가기 위해 적극적으로 탐구하였다. 넷째,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지식을 축적하고 반성적 실천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갔다. 다섯째, 교사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실행될 수 있도록 다른 교사와 협력하고자 노력했으나 협력할 수 있는 학교문화가 조성되어 있지 않아 교육변화주도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변화주도자로서의 교사가 되도록 하기 위한 교육개혁 정책 및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y a teacher became a change agent and what capacities the teacher had to become a change agent based on Fullan’s perspective about educational change. For this purpose, reports about new curriculum and materials of interview with the teache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Nvivo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had the moral purpose: to help students to live in a better life and to improve society and world. The moral purpose was a starting point and a foundation for educational change. Second, the teacher could build personal vision for developing new curriculum: improving student achievement based on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teacher kept questioning and tried to find solutions through inquiry. Fourth, the teacher obtained theoretical knowledge to develop new curriculum and forme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practice. Finally, the teacher made efforts to collaborate with other teachers but had difficulty collaborating becaus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not forme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form policy an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y a teacher became a change agent and what capacities the teacher had to become a change agent based on Fullan’s perspective about educational change. For this purpose, reports about new curriculum and m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y a teacher became a change agent and what capacities the teacher had to become a change agent based on Fullan’s perspective about educational change. For this purpose, reports about new curriculum and materials of interview with the teache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Nvivo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had the moral purpose: to help students to live in a better life and to improve society and world. The moral purpose was a starting point and a foundation for educational change. Second, the teacher could build personal vision for developing new curriculum: improving student achievement based on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teacher kept questioning and tried to find solutions through inquiry. Fourth, the teacher obtained theoretical knowledge to develop new curriculum and forme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practice. Finally, the teacher made efforts to collaborate with other teachers but had difficulty collaborating becaus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not forme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form policy an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요 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교육변화에 대한 Fullan의 관점: 도덕적 목적과 교육변화주도 Ⅲ. 연구방법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 < 요 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교육변화에 대한 Fullan의 관점: 도덕적 목적과 교육변화주도 Ⅲ. 연구방법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경원, "학습조직강화와 학교재건을 위한 초등교육과정 개발연구" 교육과학사 2006

      2 박일수,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13-134, 2010

      3 송경오,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기회 실태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223-244, 2007

      4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10

      6 Yin, R.,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05

      7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8 정미경,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 능력(change capacity) 함양을 위한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신장 방안" 교육과학연구소 37 (37): 25-45, 2006

      9 Fullan, M.,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1996

      10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2001

      1 조경원, "학습조직강화와 학교재건을 위한 초등교육과정 개발연구" 교육과학사 2006

      2 박일수,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13-134, 2010

      3 송경오,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기회 실태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223-244, 2007

      4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10

      6 Yin, R.,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05

      7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8 정미경,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 능력(change capacity) 함양을 위한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신장 방안" 교육과학연구소 37 (37): 25-45, 2006

      9 Fullan, M.,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1996

      10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2001

      11 Fullan, M., "The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A quarter of a century of learning,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change" 214-228, 1998

      12 Senge, P.,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Currency doubleday 1990

      13 Goodlad, J., "Studying the education of educators: From conception to finding" 71 (71): 698-701, 1990

      14 Miles. B.,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Sage Publications 1994

      15 Stager, M., "Purpose and Educational Change: Moving toward a Broader Agenda" 1992

      16 Mclaughlin, M. W.,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17 Fullan, M., "Change forces: The sequel" The Falmer Press 1999

      18 Fullan, M., "Change forces: Probing the depths of educational reform" The Falmer Press 1993

      19 Fullan, M., "Change forces with a vengeance" RoutledgeFalmer 2003

      20 Newmann, F., "Authentic achievement.: Restructuring schools from intellectual quality" Jossey-Bass 1996

      21 Darling-Hammond, L., "21세기를 위한 최신 교사교육론" 학이당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