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가공계분 함유 혼합유기질비료의 시비효과 = Growth Effect of Mixed Organic Fertilizer Blending Poultry Manure Compost in Leaf Vegetabl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기질비료 원료로서 가공계분은 질소, 인산, 칼리함량이 높고 본 연구는 수분조절제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수분조절제로서 톱밥과 피트모스를 혼합하여 발효한 두 종류의 가공계분을 혼합유기질비료의 원료로 이용하였을 때, 배합비율별 유기질비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작물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톱밥이나 피트모스를 수분조절제로 첨가하여 발효시킨 가공계분이 함유된 혼합유기질비료는 가공계분이 10∼30 % 함유된 혼합유기질비료에서 비료공정규격에 적합하였다. 톱밥 가공계분(PMCS)이나 피트모스 가공계분(PMCP)을 10∼30 %정도 함유한 혼합유기질비료 처리구는 작물의 생육(건물중)이 증가하였다. 가공계분별배합비율과 작물생육지수와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PMCS 함유 혼합유기질비료와 작물의 생육 지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PMCP 함유 혼합유기질비료의 시비는 작물의 생육 및 생산량이 증가하였다(P<0.05).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가공계분은 혼합유기질비료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였고, 혼합유기질비료 중 가공계분의 적정함유량은 10∼30 %였으며, 시비에 의해 작물 생육이 증가하였다.
      번역하기

      유기질비료 원료로서 가공계분은 질소, 인산, 칼리함량이 높고 본 연구는 수분조절제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수분조절제로서 톱밥과 피트모스를 혼합하여 발효한 ...

      유기질비료 원료로서 가공계분은 질소, 인산, 칼리함량이 높고 본 연구는 수분조절제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수분조절제로서 톱밥과 피트모스를 혼합하여 발효한 두 종류의 가공계분을 혼합유기질비료의 원료로 이용하였을 때, 배합비율별 유기질비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작물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톱밥이나 피트모스를 수분조절제로 첨가하여 발효시킨 가공계분이 함유된 혼합유기질비료는 가공계분이 10∼30 % 함유된 혼합유기질비료에서 비료공정규격에 적합하였다. 톱밥 가공계분(PMCS)이나 피트모스 가공계분(PMCP)을 10∼30 %정도 함유한 혼합유기질비료 처리구는 작물의 생육(건물중)이 증가하였다. 가공계분별배합비율과 작물생육지수와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PMCS 함유 혼합유기질비료와 작물의 생육 지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PMCP 함유 혼합유기질비료의 시비는 작물의 생육 및 생산량이 증가하였다(P<0.05).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가공계분은 혼합유기질비료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였고, 혼합유기질비료 중 가공계분의 적정함유량은 10∼30 %였으며, 시비에 의해 작물 생육이 증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ultry manure compost (PMC) as the organic fertilizer sources has a high nutrient content such as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and its properties been affected by bulking ag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perties of mixed organic fertilizer (MOF) containing PMC composting with sawdust and peat moss as bulking agent, and to measure a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by their application. The MOF containing 10∼30 % PMC had a coincidency with its guideline in Korea. As applied with MOF containing PMC composting with sawdust (PMCS) or MOF containing PMC composting with peat moss (PMCP), dry weight of plant was increased in MOF treatments blending with 10∼30 % PMCS or 10∼30 % PMCP. I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lending ratio of PMC in MOFs and plant growth indexes, PMC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ts PMCP a positive effect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MC was able to blend about 10∼30 % as mixed organic fertilizer source, and its application increased in plant growth.
      번역하기

      Poultry manure compost (PMC) as the organic fertilizer sources has a high nutrient content such as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and its properties been affected by bulking ag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perties of mixed organic f...

      Poultry manure compost (PMC) as the organic fertilizer sources has a high nutrient content such as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and its properties been affected by bulking ag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perties of mixed organic fertilizer (MOF) containing PMC composting with sawdust and peat moss as bulking agent, and to measure a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by their application. The MOF containing 10∼30 % PMC had a coincidency with its guideline in Korea. As applied with MOF containing PMC composting with sawdust (PMCS) or MOF containing PMC composting with peat moss (PMCP), dry weight of plant was increased in MOF treatments blending with 10∼30 % PMCS or 10∼30 % PMCP. I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lending ratio of PMC in MOFs and plant growth indexes, PMC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ts PMCP a positive effect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MC was able to blend about 10∼30 % as mixed organic fertilizer source, and its application increased in plant grow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초록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ABSTRACT
      • 초록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 사사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기성, "제주 토양에서 시용한 가축분 중 양분의 유효화율" 한국환경농학회 26 (26): 49-54, 2007

      2 김영선, "수분조절제로서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이용한계분발효특성 및 시비효과" 유기성자원학회 25 (25): 79-86, 2017

      3 함선규, "성분이 추가된 SCB저농도액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잔디학회 25 (25): 73-78, 2011

      4 이태순, "부식산분말 처리에 따른 가축분의 퇴비화 특성 및 시비효과" 유기성자원학회 25 (25): 5-14, 2017

      5 김영선, "미생물 함유 복합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한국잔디학회 5 (5): 42-50, 2016

      6 박진면,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 시용이 고추 수량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7 (27): 24-29, 2009

      7 이상범, "동애등에 분변토의 혼합 상토가 한국잔디의 생육 및 근권 토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 (2): 298-305, 2013

      8 이규진, "근대 이후 한국 육류 소비량과 소비문화의 변화 - 쇠고기·돼지고기를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7 (27): 422-433, 2012

      9 김영선,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한국잔디학회 24 (24): 205-210, 2010

      10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Yield of livestock manure in South Korea"

      1 황기성, "제주 토양에서 시용한 가축분 중 양분의 유효화율" 한국환경농학회 26 (26): 49-54, 2007

      2 김영선, "수분조절제로서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이용한계분발효특성 및 시비효과" 유기성자원학회 25 (25): 79-86, 2017

      3 함선규, "성분이 추가된 SCB저농도액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잔디학회 25 (25): 73-78, 2011

      4 이태순, "부식산분말 처리에 따른 가축분의 퇴비화 특성 및 시비효과" 유기성자원학회 25 (25): 5-14, 2017

      5 김영선, "미생물 함유 복합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한국잔디학회 5 (5): 42-50, 2016

      6 박진면,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 시용이 고추 수량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7 (27): 24-29, 2009

      7 이상범, "동애등에 분변토의 혼합 상토가 한국잔디의 생육 및 근권 토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 (2): 298-305, 2013

      8 이규진, "근대 이후 한국 육류 소비량과 소비문화의 변화 - 쇠고기·돼지고기를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7 (27): 422-433, 2012

      9 김영선,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한국잔디학회 24 (24): 205-210, 2010

      10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Yield of livestock manure in South Korea"

      11 Lee, S.E.,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loads and material recycling of the nutrient by the livestock wastewater originating from imported feeds" 100-115, 2008

      12 Lee, Y.,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plant uptake in upland condition" 300-, 2009

      13 Kang, H.W., "Investigation on optimal aeration rate for minimizing odor emission during composting poultry manure with sawdust" 20 (20): 225-231, 2001

      14 Kussow, W.Rl., "Evidence, regulation , and consequences of nitrogen-driven nutrient demand by turfgrass" 10 : 1-9, 2012

      15 Jo, S.H., "Effects of Brassica cmperstri L. and Lactuca sativa L. Yield buy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ziers and microorganisms" 9 (9): 88-92, 2001

      16 Jung, Y.S., "Effect of phosphate coated slow release fertilizer on yield of directly seeded rice" 30 (30): 108-113, 1997

      17 Ham, S.K.,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orea lawngrass (Zoysia matrella L. Merr.) by based-dressing and top-tressing application" 2 (2): 41-49, 1994

      18 강보경, "Effect of Slurry Composted and Biofiltered Solution as an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Zoysiagrass" 한국원예학회 51 (51): 507-512, 2010

      19 Hyun, H.N., "A review of the counterplan and damage cases for livestock manure in agriculture" 87-9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폐기물자원화 -> 유기물자원화
      외국어명 : Jornal of Korea Organic Waste Recycling Council -> Jornal of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2 0.39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