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부분의 공공화장실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취하는 방법으로는 단순히 물청소를 통해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하거나 분사형 제품을 통해 강한 향기로 악취물질을 희석시켜 국부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20068
2011
Korean
활성탄 ; 필터 ; 콜게이트 ; 악취 ; 악취제거 ; 암모니아 ; one-pass 실험 ; Activated Carbon ; Filter ; Corrugate ; Odor ; Odor Elimination ; Ammonia ; One-Pass Method
KCI등재
학술저널
175-18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대부분의 공공화장실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취하는 방법으로는 단순히 물청소를 통해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하거나 분사형 제품을 통해 강한 향기로 악취물질을 희석시켜 국부적으...
현재 대부분의 공공화장실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취하는 방법으로는 단순히 물청소를 통해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하거나 분사형 제품을 통해 강한 향기로 악취물질을 희석시켜 국부적으로 제거하는 희석제어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은 고단열ㆍ고기밀화 되어 자연환기가 원활하지 않은 공공화장실 내에서는 그 효과가 일시적이며 분사된 액상의 물질이 정체됨에 따라 또 다른 실내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초 설비비가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광범위한 악취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화장실내의 효과적인 악취제거를 위하여 활성탄 혼합지를 이용하여 개발된 콜게이트 타입의 필터에 대해 습도와 통과풍속 변화에 따른 one-pass 암모니아 가스제거 성능실험을 실시하여 개발필터의 탈취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r-fresheners, deodorizers, sterilizers and insecticides being sold now are mostly in diluted-agent form. The diluted control method by some spray type products can deal with only a portion of contaminated air. They cannot purify the whole indoor...
The air-fresheners, deodorizers, sterilizers and insecticides being sold now are mostly in diluted-agent form. The diluted control method by some spray type products can deal with only a portion of contaminated air. They cannot purify the whole indoor air and the effect is momentary. Furthermore, when the sprayed liquid product stays in the air, it can become additional indoor contaminan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deodorization performance of corrugate filters by carbon activated paper for effective odor elimination in public toilet. This study measures degassing rate, degassing volume and pressure loss through one-pass method. The gas for experiment is ammonia main source of odor in toil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gassing rate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80 percent is higher than 50 percent. Also the filter eliminate more volume when flow velocity is 2m/s than 4m/s. In the case of pressure loss, the three type of filter have similar figures because they have same pitc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evaluation, assembly-type activated carbon has better bad-smell removal efficiency than the corrugate type deodorization filter; however, corrugate type deodorization filter is better to toilets; because when the activated carbon would be used as a bad-smell removal filter in the form of small fan unit in the toilet, the weight and pressure loss are absolutely disadvantageou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Motoyuki Suzuki, "흡착공학" 형설 1999
2 정영화, "활성탄독본" 동아기술 2005
3 "활성탄 흡착탑의 악취물질 측정에 관한 보고 서" 환경관리공단 1996
4 김광현, "화장실 악취물질 제거를 위한 콜게이트 흡착필터의 적용가능성 검토" 대한건축학회 26 (26): 279-286, 2010
5 박헌주, "폐타이어칩 충진형 바이오 필터에 의한 Trimethylamine 제거" 대한환경공학회 30 (30): 789-797, 2008
6 허주영, "은나노를 부착한 활성탄 필터의 제균특성" 대한설비공학회 21 (21): 583-589, 2009
7 Matthias Schon, "악취측정 및 제거" 아카데미서적 2004
8 최의소, "성탄섬유와 Peat Bio - Filter를 이용한 NH3 및 황화합물 악취의 제거에 관한 연구" 111-112, 1993
9 유미선, "냄새주머니를 이용한 희석배율 결정법의 효율성 비교" 한국냄새환경학회 6 (6): 161-171, 2007
10 곽민규, "PS2(MA32)시판 활성탄의 악취 가스에 대한 최대 흡수량과 제거효율 측정" 397-398, 1999
1 Motoyuki Suzuki, "흡착공학" 형설 1999
2 정영화, "활성탄독본" 동아기술 2005
3 "활성탄 흡착탑의 악취물질 측정에 관한 보고 서" 환경관리공단 1996
4 김광현, "화장실 악취물질 제거를 위한 콜게이트 흡착필터의 적용가능성 검토" 대한건축학회 26 (26): 279-286, 2010
5 박헌주, "폐타이어칩 충진형 바이오 필터에 의한 Trimethylamine 제거" 대한환경공학회 30 (30): 789-797, 2008
6 허주영, "은나노를 부착한 활성탄 필터의 제균특성" 대한설비공학회 21 (21): 583-589, 2009
7 Matthias Schon, "악취측정 및 제거" 아카데미서적 2004
8 최의소, "성탄섬유와 Peat Bio - Filter를 이용한 NH3 및 황화합물 악취의 제거에 관한 연구" 111-112, 1993
9 유미선, "냄새주머니를 이용한 희석배율 결정법의 효율성 비교" 한국냄새환경학회 6 (6): 161-171, 2007
10 곽민규, "PS2(MA32)시판 활성탄의 악취 가스에 대한 최대 흡수량과 제거효율 측정" 397-398, 1999
11 권은진, "CH₂CH₂(OH)₂NH를 함침시킨 활성탄 흡착제의 H2S 흡착 특성" 대전대학교 2001
12 유정복, "Activated Carbon과 cast를 이용한 NH3, H2S의 악취 흡착에 관한 이화학적 특성 연구" 세종대학교 1994
렘 쿨하스의 자유로운 평면에 의한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굵은골재 입도 변화에 따른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53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