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월군 `아라리`의 전승 현황과 존재 양상 = Transmission situation and presence aspect of Yeongwol `Ara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91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월군에서 불리는 ‘아라리’는 해당 지역의 노래이기보다는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정선아라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월군 나름의 영월군 주민들의 내면 속에 ...

      영월군에서 불리는 ‘아라리’는 해당 지역의 노래이기보다는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정선아라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월군 나름의 영월군 주민들의 내면 속에 지니고 있는 한과 개인의 자위적 만족 또는 정서적 취향 등에 부합하여 전승한다. 영월군에서 일상적인 소리였던 ‘아라리’는 현대사회에 와서 점차 부르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줄어들고, 전문적인 가창자만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아라리’의 일상성이 사라지는 현대사회에서 ‘아라리’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 전승의 유지도 중요하지만, 시대에 맞는 새로운 창작형 ‘아라리’도 필요하다. 과거와 현재 ‘아라리’의 이어짐이 미래의 ‘아라리’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결되어야 하는 것이 디지털 기법의 도움을 받은 ‘아라리 아카이브 구축’이다.
      ‘디지털 아카이브’에는 아라리 사설을 중심으로 한 텍스트, 음원, 영상뿐만 아니라, 아라리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 등장하는 인물들, 공간들 그리고 가창이 이루어지는 현장들, 가창하는 사람들, 가창되는 아라리 악보, 그리고 아라리 공연물과 영상물, 새롭게 창작되는 아라리, 새롭게 창작할 수 있는 공간 등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아카이브 관리와 유지도 필요하다.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한 아라리의 집적을 통해 작가 및 콘텐츠 기획자들에게 언제나 열려 있고, 강원도민은 물론 일반 대중들도 쉽게 들어가서 공감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 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ari’ sung at Yeongwol-gun has a strong tendency to prefer Jeongseon Arari assuming the representative nature rather than a song of the relevant district, Nevertheless, ‘Arari’ has been passed down while meeting the deep sorrow seated in the...

      ‘Arari’ sung at Yeongwol-gun has a strong tendency to prefer Jeongseon Arari assuming the representative nature rather than a song of the relevant district, Nevertheless, ‘Arari’ has been passed down while meeting the deep sorrow seated in the inner side of the Yeongwol-gun residents’ own, personal self-consoling satisfaction, or emotional preference. Looking into the status of ‘Arari’ which used to be everyday ‘Sori’ at Yeongwol-gun, the number of the persons singing and listening to ‘Arari’ has decreased in modern society, and spreading is the awareness that ‘Arari’ is only the specialized singing person’s exclusive property.
      To maintain the real appearance of ‘Arari’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dayness of ‘Arari’ is disappearing, it’s naturally important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of the past, but there is also the need for the new creative ‘Arari’ in keeping with the times. The linkage of ‘Arari’ in the past and at present will make it possible to create ‘Arari’ of the future. To this end, what should be decided first of all is the very ‘Arari Archive Construction’ aided by digital technique.
      ‘Digital Archive’ is required to be composed of not only the text, sound source and images around ‘Arari’ Saseol but also diverse stories involved in ‘Arari’, characters, spaces and sites where singing is done, singing people, Arari sheet music for singing, ‘Arari’ performance products and visual images, newly created ‘Arari’, and the space that can be newly created, etc. In addition, it’s necessary to manage and maintain the Archive continuously other than on a one-off basi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Arari’ through ‘Digital Archive’, ‘Digital Archive’ should be open to authors and contents planners at all times, and should be the open space where not only the inhabitants in Gangwon-do but also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access and sympathize with ‘Arar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영월군 아라리의 형식적 존재 양상
      • Ⅲ. 영월군 아라리의 내용적 존재 양상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영월군 아라리의 형식적 존재 양상
      • Ⅲ. 영월군 아라리의 내용적 존재 양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