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타이트오일 생산과 세계 석유시장의 영향 = Tight Oil Production and it’s Effect to World Oil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5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72년 9.37백만b/d를 정점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던 미국은 ’08년 6.78백만b/d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14년 11.64백만b/d로 생산이 급증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석유증산은 셰일자원 개발 기술 혁신에 따른 타이트오일의 생산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타이트오일은 풍부한 부존량과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비용의 감소로 생산 증가세가 유지되어 ’13년 350만b/d였던 생산량은 미국, 캐나다 등 북미지역 이외에 러시아, 아르헨티나, 중국 등상업적 생산국이 확대되며, ’20년 500만만b/d, ’30년에는 약 800만b/d 까지 생산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있다. 이러한 타이트오일의 공급 증가는 현재의 낮은 유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도 석유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72년 9.37백만b/d를 정점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던 미국은 ’08년 6.78백만b/d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14년 11.64백만b/d로 생산이 급증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석유증산은 셰일자원 개발 기술 ...

      ’72년 9.37백만b/d를 정점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던 미국은 ’08년 6.78백만b/d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14년 11.64백만b/d로 생산이 급증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석유증산은 셰일자원 개발 기술 혁신에 따른 타이트오일의 생산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타이트오일은 풍부한 부존량과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비용의 감소로 생산 증가세가 유지되어 ’13년 350만b/d였던 생산량은 미국, 캐나다 등 북미지역 이외에 러시아, 아르헨티나, 중국 등상업적 생산국이 확대되며, ’20년 500만만b/d, ’30년에는 약 800만b/d 까지 생산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있다. 이러한 타이트오일의 공급 증가는 현재의 낮은 유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도 석유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ude oil production in U.S. has decreased down to 6.78mil.b/d in 2008 after reaching the peak of 9.37mil.b/d in 1972. However, it's production has increased again to 11.64mil.b/d in 2014 due to the resilient tight oil production. For the abundant resources potential and phenomenal technological advance related to shale resources, the world tight oil production would be continued increasing from 3.5mil.b/d in 2013 to 8mil.b/d in 2030, and producing countries also be extended from U.S. & Canada, to the outside of North American countries.
      This growth of the global tight oil production works as the main cause to lower the current oil price, and can be the main factor also, to stabilize the price in long term bases.
      번역하기

      The crude oil production in U.S. has decreased down to 6.78mil.b/d in 2008 after reaching the peak of 9.37mil.b/d in 1972. However, it's production has increased again to 11.64mil.b/d in 2014 due to the resilient tight oil production. For the abundant...

      The crude oil production in U.S. has decreased down to 6.78mil.b/d in 2008 after reaching the peak of 9.37mil.b/d in 1972. However, it's production has increased again to 11.64mil.b/d in 2014 due to the resilient tight oil production. For the abundant resources potential and phenomenal technological advance related to shale resources, the world tight oil production would be continued increasing from 3.5mil.b/d in 2013 to 8mil.b/d in 2030, and producing countries also be extended from U.S. & Canada, to the outside of North American countries.
      This growth of the global tight oil production works as the main cause to lower the current oil price, and can be the main factor also, to stabilize the price in long term ba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IA/ARI, "World Shale Gas & Shale Oil Resource Assessment"

      2 Peter Compton, "U.S. Tight Oil : Moderation of Retrenchment?" 6-16, 2015

      3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Tight Oil Production Pushes Crude supply" 2014

      4 Jichul Ryu, "Technical Innovation for Non-conventional Oil & Gas and Future of E&P Industry" ULSAN 10-12, 2012

      5 Sesin Oh, "Oil Market Trend, Energy Focus 2015 Spring" ULSAN 131-134, 2015

      6 IEA, "Oil Market Report" 15-18, 2015

      7 Dave Ernsberger, "Oil & The East : The Great Schift" Platts McgrowHill Financial 20-, 2015

      8 James Webster, "Going Global: Tight oil Production" IHS 8-, 2014

      9 Morgan Stanley, "Global Insight: Is the U.S" Shale Revolution Replicable 16-, 2014

      10 BP,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5"

      1 EIA/ARI, "World Shale Gas & Shale Oil Resource Assessment"

      2 Peter Compton, "U.S. Tight Oil : Moderation of Retrenchment?" 6-16, 2015

      3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Tight Oil Production Pushes Crude supply" 2014

      4 Jichul Ryu, "Technical Innovation for Non-conventional Oil & Gas and Future of E&P Industry" ULSAN 10-12, 2012

      5 Sesin Oh, "Oil Market Trend, Energy Focus 2015 Spring" ULSAN 131-134, 2015

      6 IEA, "Oil Market Report" 15-18, 2015

      7 Dave Ernsberger, "Oil & The East : The Great Schift" Platts McgrowHill Financial 20-, 2015

      8 James Webster, "Going Global: Tight oil Production" IHS 8-, 2014

      9 Morgan Stanley, "Global Insight: Is the U.S" Shale Revolution Replicable 16-, 2014

      10 BP,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