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als and theories of education established during early Korean government focusing on ‘Democratic national education theory’(民主的 民族敎育論) by Ho-Sang Ahn, who served as the first minister 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als and theories of education established during early Korean government focusing on ‘Democratic national education theory’(民主的 民族敎育論) by Ho-Sang Ahn, who served as the first minister o...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als and theories of education established during early Korean government focusing on ‘Democratic national education theory’(民主的 民族敎育論) by Ho-Sang Ahn, who served as the first minister of education of Korea. An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national identity in Republic of Korea, the nation-state.
After liberation, Ho-Sang Ahn continu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served as minister of education at the Seung-Man Lee’s government, taking the role of ideologue of one nation principle. As intellectual of Japanese colonial era, Ho-Sang Ahn entered religion called Daejonggyo(大倧敎), establishing the concept of ethnic nationalism based on blood. Also, in association with many Daejonggyo figures and experience from the council of the representatives got the idea of thoroughly opposing communism and thus attempted nation’s unity of idea.
From studying in Germany and Japan, Ho-Sang Ahn met with extreme nationalists and supremacists and adding this to his existing blood-tied nationalism became national supremacist. The nationalism, Ho-Sang Ahn learned at this time, put the country as the absolute high value, putting individual people below the country.
Under such experience of Japanese colonial era, Ho-Sang Ahn established national view and country view and such tendency is also visible in his education theory. Ho-Sang Ahn tried unite the ideas of students through education, especially emphasizing ‘man of loyalty’ trying to make people like ‘hwarang’(花郞) who can sacrifice for the country. After Yeosu-Suncheon incident, became even more anticommunist and made the Student National Defense Corps. Not only that, he purged the left affiliated teachers, dispersed all organizations in the school to achieve unity of idea and tried to control all students’ behavior and thoughts under the command of government as superior authority.
Not only students and teachers, Ho-Sang Ahn tried to achieve this unity of idea among general public, opening ‘Ilminism’(一民主義) propagation through lectures all around the country and re-education of adults to lead them to the ideology.
Such activities are to be examined with the Seung-Man Lee government’s early national unity. The national unity through unity of idea at this time was achieved through his ‘Democratic national education theory’ and ‘Ilminism education theory.’(一民主義敎育論) However, Ho-Sang Ahn’s ‘Democratic national education theory’ absolutized the leader’s idea and the leader of this time was Seung-Man Lee. In such circumstances under Ho-Sang Ahn’s education theory of strong anticommunism,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reedom of idea was worthless before country and nation.
Ho-Sang Ahn want to make the Korean people the anticommunist warriors. He understood the democracy as homogenization and identification and insisted the kind of democracy like that will make the people free. On the contrary to his insistence, the people of Korea were demanded to subordinate to great cause of N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종현, "헤겔의 ‘윤리 국가’ 이론" 철학사상연구소 (24) : 81-108, 2007
2 프레더릭 바이저, "헤겔 그의 철학적 주제들" 도서출판b 2012
3 한준상,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2011
4 이광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2)" 한길사 2011
5 김정인, "해방 전후 민주주의‘들’의 변주" 한림과학원 (12) : 197-234, 2013
6 "해동공론"
7 안호상, "한되 안호상 20세기 회고록" 민족문화출판사 1996
8 "한글"
9 서대숙,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역사공간 2011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교육사료집성 미군정기편 Ⅱ" 선인 1997
1 백종현, "헤겔의 ‘윤리 국가’ 이론" 철학사상연구소 (24) : 81-108, 2007
2 프레더릭 바이저, "헤겔 그의 철학적 주제들" 도서출판b 2012
3 한준상,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2011
4 이광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2)" 한길사 2011
5 김정인, "해방 전후 민주주의‘들’의 변주" 한림과학원 (12) : 197-234, 2013
6 "해동공론"
7 안호상, "한되 안호상 20세기 회고록" 민족문화출판사 1996
8 "한글"
9 서대숙,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역사공간 2011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교육사료집성 미군정기편 Ⅱ" 선인 1997
11 박찬국, "하이데거와 나치즘" 문예출판사 2001
12 "평화신문"
13 후지이 다케시,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 역사비평사 2012
14 후지이 다케시, "족청·족청계의 이념과 활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5 김혜수, "정부수립 직후 이승만정권의 통치이념과 정립과정" 28 : 1995
16 "자유민보"
17 국사편찬위원회, "자료대 한민국사"
18 안호상, "일민주의의 본바탕" 일민주의연구원 1950
19 선우현, "일민주의 철학의 정립자, 이승만인가 안호상인가 -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 여부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탐구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6 (26): 55-84, 2015
20 김수자, "이승만의 一民主義의 제창과 논리" 한국사상사학회 (22) : 437-471, 2004
21 서중석, "이승만 정부 초기의 일민주의" 83 : 1997
22 임송자, "이승만 정권기 문해교육 정책과 문맹퇴치 5개년 사업" 수선사학회 (50) : 35-66, 2014
23 임종명, "이승만 대통령 두 개의 이미지" 38 : 2006
24 安活相, "우리의 부르짖음" 문화당 1947
25 "연합신문"
26 하유식, "안호상의 一民主義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4 : 307-342, 2003
27 서상복,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2009
28 "새교육"
29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선인 2009
30 "부산일보"
31 김성민, "백산 안희제의 생애와 민족운동" 선인 2013
32 김한종, "민주적 민족교육론의 정치적 변용" 22 : 2013
33 박종무, "미군정기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이념과활동" 한국역사교육학회 (13) : 116-165, 2011
34 이길상, "미군정기 초등교육의 변화" 한국교육사학회 25 (25): 75-110, 2003
35 임송자, "미군정기 우익정치세력과 우익학생단체의 문해ㆍ계몽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9) : 183-230, 2014
36 李嬉受, "미군정기 성인 교육의 정치사회화 기능"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6
37 이병수, "문화적 민족주의의 맥락에서 본 안호상과 박종홍의 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169-201, 2008
38 문교 40년사 편찬위원회, "문교 40년사" 문교부 1988
39 신운용, "대종교세력의 형성과 그 의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4) : 5-54, 2015
40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 나의 政治白書" 新太陽社 1957
41 정영훈, "근대 한국에서의 단군 민족주의" 29 : 2001
42 "국도신문"
43 고명섭, "광기와 천재" 인물과사상사 2007
44 연정은, "감시에서 동원으로, 동원에서 규율로 -1950년대 학도호국단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14) : 199-253, 2004
45 "自由新聞"
46 김동환, "白山 安熙濟와 大倧敎" 5 : 2000
47 李東彦, "白山 安熙濟 硏究" 8 : 1994
48 "漢城日報"
49 문교부, "民主的民族敎育硏究 1" 문교부 1949
50 "東亞日報"
51 "朝鮮日報"
52 "朝鮮敎育"
53 "新人文學"
54 "政法"
55 대종교 총본사, "大倧敎重光六十年史" 대종교총본사 1971
56 "哲學"
57 "京鄕新聞"
58 임종명, "一民主義와 대한민국의 근대민족국가화"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4 : 267-312, 2005
59 이동언, "一松 金東三 硏究" 7 : 1993
60 박찬승, "20세기 한국 국가주의의 기원" 117 : 2002
61 장규식, "20세기 전반 한국 사상계의 궤적과 민족주의 담론" 한국사연구회 (150) : 271-312, 2010
62 박용규, "1920년대 이극로의 『독립운동』·『독립투쟁』과 현실 인식" 역사문화연구소 (31) : 65-100, 2008
중국 전통시대 ‘用夏變夷’사상의 論理와 그 전개 양상 연구 - 중국 전통시대 漢化의 논리와 적용범주 문제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7-0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해외민족연구소 -> 중앙사학연구소영문명 : Division for Foreign National Policy -> Institute for Historical Studies at Chung-Ang Universit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3 | 0.83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5 | 1.075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