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설계단계에서의 모바일기반 BIM도구의 개발방향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Mobile-based BIM Tool in Design Ph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3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advantages of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mobile programs used for limited purposes such as information searching and leisure activities are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work and education. An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

      Due to the advantages of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mobile programs used for limited purposes such as information searching and leisure activities are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work and education. An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various mobile programs in the construction field. Also, as various mobile programs based on BIM are developed,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check and modify 3D information in real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BIM-based mobile programs,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three architectural office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ere is an expectation for the use of BIM-based mobile program in BIM expert group, but the field usability is low. Al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various BIM-based mobile programs,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user-oriented function analysis is lacking.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BIM-based mobile programs, user-oriented function analysis and definition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in this study, it suggests the functions that are highly necessary and urgent amo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based BIM program and implications through the expert interview. This study contributes as a basic research for activating BIM-based mobile program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규만, "한국과 미국의 대형 설계사무소의 효율적 설계프로세스를 위한 BIM의 도입에 관한 인식 및 활용의 비교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523-533, 2012

      2 강동수, "통합BIM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구조 협업모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7

      3 전진우,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모바일 BIM 애플리케이션 적용성 분석" 한국CDE학회 17 (17): 342-352, 2012

      4 고휘경, "중앙대학교 석사과정" 중앙대학교 2013

      5 홍심희, "설계단계에서의 BIM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분석의 필요성" 2018

      6 박상준, "비정형 건축의 정보 및 학습을 위한 스마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4-26, 2017

      7 이현수, "건축설계지원 모바일 웹과 앱의 분석을 통한 건물정보모델링(BIM) 활용 가능성 고찰"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3) : 143-152, 2015

      8 Tekla Corporation, "TeklaField3D"

      9 Jiajun H.,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BI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10 (10): 295-308, 2016

      10 Autodesk, "Formit"

      1 송규만, "한국과 미국의 대형 설계사무소의 효율적 설계프로세스를 위한 BIM의 도입에 관한 인식 및 활용의 비교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523-533, 2012

      2 강동수, "통합BIM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구조 협업모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7

      3 전진우,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모바일 BIM 애플리케이션 적용성 분석" 한국CDE학회 17 (17): 342-352, 2012

      4 고휘경, "중앙대학교 석사과정" 중앙대학교 2013

      5 홍심희, "설계단계에서의 BIM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분석의 필요성" 2018

      6 박상준, "비정형 건축의 정보 및 학습을 위한 스마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4-26, 2017

      7 이현수, "건축설계지원 모바일 웹과 앱의 분석을 통한 건물정보모델링(BIM) 활용 가능성 고찰"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3) : 143-152, 2015

      8 Tekla Corporation, "TeklaField3D"

      9 Jiajun H.,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BI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10 (10): 295-308, 2016

      10 Autodesk, "Formit"

      11 Knowledge corp, "FinalCAD"

      12 Lieyun 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application framework; The Process of expanding from 3D to computable nD" 46 : 82-93, 2014

      13 김광윤, "BIM을 활용한 공동주택 유지관리 클라우딩 시스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3

      14 임현수, "BIM을 활용한 공동주택 유지관리 클라우딩 시스템 연구" 연세대학교 2011

      15 Graphisoft, "BIMx"

      16 Autodesk, "BIM360"

      17 Autodesk, "A3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