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섭(Consilience)’의 학문적 성격과 체육학적 의의 =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Consilience' and Its Significance on Sport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45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Consilience" and examine its applicability to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Dispute between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was behind the rise of Consilience in sport science. The theory of Consilience was a product of reductionism by examination a critical review the concept of Consilience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refore the concept of Consilience that had been in common use in sport science was used for a wrong purpos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was expected that the Consilience of sport science would have a lot controversial points both sides of theory and practice. Consilience had a theoretical defect that didn"t acknowledge the differences in basic hypothesis through making knowledge between disciplines. In practical side of sport science, there was a grade of ranks between disciplines that interfered with the equal interchange and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studies in sport science for the foundation of Consilience were rar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system itself had a lot of difficulties to put in practice. The matters claiming prior settlement for serious discussion about Consilience in sport science as follows: first,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 for Consilience would be necessary, seco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the necessity of academical integration would be prepared, third, journals and academic council would be extend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orth,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ll disciplines in sport science would be pursed for long-term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Consilience" and examine its applicability to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Dispute between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was behind the rise of Consilience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Consilience" and examine its applicability to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Dispute between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was behind the rise of Consilience in sport science. The theory of Consilience was a product of reductionism by examination a critical review the concept of Consilience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refore the concept of Consilience that had been in common use in sport science was used for a wrong purpos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was expected that the Consilience of sport science would have a lot controversial points both sides of theory and practice. Consilience had a theoretical defect that didn"t acknowledge the differences in basic hypothesis through making knowledge between disciplines. In practical side of sport science, there was a grade of ranks between disciplines that interfered with the equal interchange and integration of sport science,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studies in sport science for the foundation of Consilience were rar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system itself had a lot of difficulties to put in practice. The matters claiming prior settlement for serious discussion about Consilience in sport science as follows: first,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 for Consilience would be necessary, seco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the necessity of academical integration would be prepared, third, journals and academic council would be extend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orth,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ll disciplines in sport science would be pursed for long-term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체육학에서 통섭 개념의 대두와 적용
      • Ⅲ. 통섭 이념에 대한 학계의 비판과 체육학의 오해
      • Ⅳ. 체육학에서의 통섭 가능성
      • Abstract
      • Ⅰ. 서론
      • Ⅱ. 체육학에서 통섭 개념의 대두와 적용
      • Ⅲ. 통섭 이념에 대한 학계의 비판과 체육학의 오해
      • Ⅳ. 체육학에서의 통섭 가능성
      • Ⅴ. 결론: 체육학의 통섭을 위한 방향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미경, "학제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51-72, 2009

      2 한승환, "학제간 융합연구의 촉진을 위한 실증분석 - 학문분야 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0 (20): 151-178, 2011

      3 설혜심, "학문의 분화와 통섭"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32) : 91-124, 2011

      4 Wilson, E., "통섭: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북스 2005

      5 이학준, "통섭, 체육학의 미래이다" (92) : 34-39, 2008

      6 박승억, "통섭(Consilience) -포기할 수 없는 환원주의자의 꿈-" 한국현상학회 (36) : 197-218, 2008

      7 김동규, "체육학의 세분화와 통합화" 14 (14): 219-237, 2006

      8 김동규, "체육학연구에 있어서 동서학문간통섭론의 의의와 과제" 한국체육철학회 17 (17): 171-191, 2009

      9 김동규, "체육학·체육철학의 정체성 찾기"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3-40, 2004

      10 정응근, "체육학 지식론의 문제점과 대안" (62) : 2-4, 1997

      1 양미경, "학제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51-72, 2009

      2 한승환, "학제간 융합연구의 촉진을 위한 실증분석 - 학문분야 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0 (20): 151-178, 2011

      3 설혜심, "학문의 분화와 통섭"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32) : 91-124, 2011

      4 Wilson, E., "통섭: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북스 2005

      5 이학준, "통섭, 체육학의 미래이다" (92) : 34-39, 2008

      6 박승억, "통섭(Consilience) -포기할 수 없는 환원주의자의 꿈-" 한국현상학회 (36) : 197-218, 2008

      7 김동규, "체육학의 세분화와 통합화" 14 (14): 219-237, 2006

      8 김동규, "체육학연구에 있어서 동서학문간통섭론의 의의와 과제" 한국체육철학회 17 (17): 171-191, 2009

      9 김동규, "체육학·체육철학의 정체성 찾기"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3-40, 2004

      10 정응근, "체육학 지식론의 문제점과 대안" (62) : 2-4, 1997

      11 김현수, "체육학 연구의 통섭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12 송형석, "체육학 분화 및 통합 담론의 비판적 고찰" 한국체육학회 44 (44): 51-61, 2005

      13 고경석, "체육사상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체육철학회 18 (18): 143-154, 2010

      14 김정명, "진정한 ‘체육학’과 그 방법론" 62 : 9-11, 1995

      15 홍성욱,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 2007

      16 이남인,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통섭 개념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삼아" 철학연구회 (87) : 259-311, 2009

      17 한명우, "융합과 통섭을 통한 체육학의 미래 발전 구상, In 스포츠를 통한 국가브랜드 경쟁력 강화" 한국체육학회 21-42, 2010

      18 박양우, "융복합시대의 체육: 전망과 과제, In 체육인 이론-실천 융합을 통한 체육선진화" 한국체육학회 163-178, 2011

      19 이정덕, "윌슨의 <통섭>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를 중심으로" (4) : 177-205, 2011

      20 안상헌, "사회생물학적 ‘통섭(Consilience)’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38) : 155-182, 2009

      21 이광래, "방법을 철학한다 해체에서 융합으로" 知와사랑 2008

      22 이재형, "과학기술․인문학 융복합 도전적 연구환경 조성"

      23 고인석, "‘통섭’이라는 말과 그 안에 담긴 생각"

      24 안상헌, "‘통섭’ 이념의 정치 이데올로기 비판"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42) : 1-22, 2011

      25 Collin, A.,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collaboration : Implications for vocational psychology" 9 : 101-106, 2009

      26 Lattuca, L. R., "Creating Inter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eaching among College and University Faculty" Vanderbilt University Press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