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촌진흥청 개혁백서 = Re-inventing R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211277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농촌진흥청,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50.255 판사항(4)

      • DDC

        354.5 판사항(21)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농촌진흥청 개혁백서 = Re-inventing RDA / 기획·편집: 여인홍, 황규석, 이상재

      • 형태사항

        x, 584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7 cm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서설 = 21
      • 제2장 개혁추진의 의의 = 25
      • Ⅰ. 농촌진흥청 개혁의 의미 = 27
      • Ⅱ. 개혁의 추진배경 = 28
      • 목차
      • 제1장 서설 = 21
      • 제2장 개혁추진의 의의 = 25
      • Ⅰ. 농촌진흥청 개혁의 의미 = 27
      • Ⅱ. 개혁의 추진배경 = 28
      • 1. 농업환경 변화에의 대응 = 28
      • 가. 소비자 주권의 강화 = 28
      • 나. 농업의 글로벌화 = 29
      • 다. 첨단과학기술과의 융합 확대 = 29
      • 라. 친환경 농업의 중요성 부각 = 30
      • 2. 농업 R&Dㆍ보급체계의 한계 극복 = 33
      • 가. 한국 농업기술의 현주소 = 33
      • 나. 농업 R&Dㆍ보급체계의 문제점 = 34
      • 3. 외부적 개혁요구 증대 = 39
      • 가.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 39
      • 나. 농업안ㆍ소비자단체, 학계 등 반응 = 42
      • 다.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동향 = 44
      • 라. 국회 및 정당 동향 = 47
      • 4. 내부적 개혁의지 결의 = 51
      • 가. 혁신추진의지 대국민 발표 기자회견 = 51
      • 나. 각 도 농업기술원, 학계, 농업인단체 혁신방안 의견수렴 = 55
      • 다. 농촌진흥청 혁신추진단 구성 및 운영 = 56
      • 라. 농촌진흥청 혁신안 마련 협의회 = 59
      • 제3장 개혁의 비전과 전략 = 61
      • Ⅰ. 개혁의 비전과 전략 = 63
      • 1. 개혁의 기본방향 = 63
      • 가. 여건변화에 대응, 새로운 15대 Agenda 마련 = 63
      • 나. 현장 수요자 중심의 R&Dㆍ보급 One-Stop 서비스체계 구축 = 63
      • 다. 범국가적 농업기술인력 체계적 육성 = 63
      • 라. 국가, 지역, 대학, 민간과의 협력과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 = 63
      • 2. 개혁의 비전과 추진전략 = 64
      • Ⅱ. 비전과 전략의 확산 = 64
      • 1. 농업 관련단체의 공감대 확보 = 64
      • 가. 농민단체에 개혁 추진상황 설명 = 64
      • 나. 전국 농학계 대학장 초청 간담회 = 65
      • 다. 각종 학술대회 참석, 농촌진흥청 개혁의지 피력 = 67
      • 라. 도지사, 시장ㆍ군수에게 서한문 발송 = 73
      • 마. 농민단체장 초청 설명회 = 75
      • 바. 기술보급체계 선진화 방안 토론회 = 76
      • 사. 시험연구사업 개혁방안 소속기관 방문 설명회 = 88
      • 아. 전국 농단협소속 단체장 초청 현안과제 설명회 = 88
      • 자. 전국 농촌지도기관장 연찬회 = 90
      • 차. 서호(西湖)탐방행사 = 92
      • 2. 정책 관련기관과의 지속적 협의ㆍ설명 = 97
      • 가. 청와대,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농식품부 등 관계관방문, 청 개혁방안 및 연구성과 설명 = 97
      • 나.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 임태의 정책의장 방문 보고 = 97
      • 다. 국회 한나라당 제4정조위원장 주요현안 보고 = 97
      • 라. 농어업 회생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창립총회 및 기념토론회 = 97
      • 제4장 개혁기반의 구축 = 119
      • Ⅰ. 개혁 추진체계 마련 = 123
      • 1. 개혁추진단 구성 = 123
      • 가. 기본 운영방안 = 123
      • 나. 개혁추진단 확대 개편 = 129
      • 2. 조직관리ㆍ행정전문가 간담회 = 135
      • 3. 개혁의 DNA 주니어보드 구성ㆍ운영 = 135
      • 가. 기본 개요 = 135
      • 나. 운영방법 및 주요활동 = 137
      • Ⅱ. 개혁추진의 리더십 구축 = 148
      • 1. 창의ㆍ실용의 리더십 = 148
      • 가. 청장 취임식에서 창의와 혁신으로 조직문화를 개혁하고 실용성이 높은 현장중심의 기술보급을 강조 = 148
      • 나. 본청(실ㆍ국) 및 소속기관 업무보고 = 152
      • 다. 지방 농촌진흥기관 진단을 위한 현지조사 = 153
      • 라. 기관별 순회간담회를 갖고 개혁실천의지 확산 = 153
      • 마.「일일 연구기관장」업무 수행을 통해 개혁마인드 현장 확산과 현장 애로사항 청취 = 157
      • 바. 리더십 향상을 위한 관련 도서 배포 = 157
      • 사. 농촌일손돕기 현장 방문 및 관련 설명 = 157
      • 2. 참여적 리더십 = 159
      • 가. 농촌진흥청 개혁을 위한 직원 제안공모 = 159
      • 나. 조직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 160
      • 다. 회의규칙(Ground Rules)을 제정 = 161
      • 라. 직원 의식개혁을 위한 혁신 워크숍 = 162
      • 마. 인사애로상담실 설치ㆍ운영 = 165
      • 바. 업무개혁방안 보고 및 발전방안 토론회 = 167
      • 사. 국정철학 공유 기관별 워크숍 개최 = 167
      • 아. 본청 실ㆍ국 및 소속기관별 개혁지지ㆍ실천대회 = 169
      • 자. 농촌진흥청 미래전략 워크숍 = 169
      • 차. 개혁활동 동참 협조 요청문 발표 = 176
      • 카. 농업 R&Dㆍ보급 선진화 방안 워크숍 = 177
      • Ⅲ. 거버넌스 강화를 통한 개혁의지 확산 = 179
      • 1. 이수화 청장 연합뉴스 인터뷰 = 279
      • 가. 개요 = 179
      • 나. 주요 기사내용 = 179
      • 2. 농촌진흥청 개혁방향 대통령 보고 = 182
      • 가. 세계 일류(G7 수준)의 농업과학기술 강국 실현 = 182
      • 3. 농촌진흥청 개혁안 마련 농업인단체장 초청 간담회 = 184
      • 가. 개요 = 184
      • 나. 주요내용 = 184
      • 다. 조치사항 = 184
      • 4. 지방자치단체장, 시ㆍ군농업기술센터장에 친서 = 192
      • 가. 시ㆍ도지사, 시장ㆍ군수, 시ㆍ군 농업기술센터장 = 192
      • 나. 청의 변화와 개혁의지를 알려주고, 지방 농촌진흥기관의 활성화에 대한 지지와 협조 당부 = 192
      • 5. 이수화 청장 서울경제 인터뷰 = 197
      • 가. 개요 = 197
      • 나. 주요 기사내용 = 197
      • 6. 도 농업기술원장 업무협의회 = 197
      • 가. 개요 = 197
      • 나. 주요내용 = 197
      • Ⅳ. 개력 아이디어의 발굴 = 199
      • 1. 청 개혁방안 수립을 위한 외부용역 추진: 2건 = 199
      • 가. 청 전략 및 역할 재설정 연구 = 199
      • 나. 청 거버넌스 체계 강화 및 성과관리체계 개선 연구 = 201
      • 2. 해외 선진농업시스템 조사 = 203
      • 가. 네덜란드 농업연구ㆍ지도 교육체계 조사 = 203
      • 나. 미국 농업 연구 및 지도시스템 조사 = 205
      • 3. 민간기업의 평가ㆍ환류체계 벤치마킹 추진 = 206
      • 가. 대상기관 = 206
      • 나. 주요내용 = 206
      • 4. 외부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 = 212
      • 가. 농업환경 변화에 따른 농업ㆍ농촌 선진화 전략 토론회 = 212
      • 제5장 분야별 개혁내용 = 215
      • Ⅰ. 조직문화 개혁 : 경쟁ㆍ창의를 통한 창의ㆍ실용의 조직문화 = 217
      • 1. 3C&1D운동으로 생산적인 조직문화 구축 = 217
      • 가. 농촌진흥청 개혁선포식을 개최하여 개혁공감대 확산 = 217
      • 나. 섬기는 공직자상 구현과 생산적인 조직문화 정착을 위한 3C&1D 운동 본격추진 = 225
      • 2. 전 직원 역량평가로 경쟁의 조직문화 구축 = 234
      • 가. 내부 경쟁을 통한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역량평가 추진 = 234
      • 나. 보직경력자나 해임자의 업무추진실적을 정량 및 정성 평가하여 별도관리함으로써 조직의 경쟁력 확보 = 234
      • 다. 연구관 승급심사기준 강화 = 235
      • 3. 소통을 통한 참여적ㆍ인간적 조직문화 구축 = 235
      • 가. 쌍방향 의사소통 장치를 통한 참여의 기회 확대 = 235
      • 나. 청의 주니어보드를 새롭게 구성하여 속도감 있는 개혁추진을 위한 원동력으로 활용 = 235
      • 다. 농업과학기술개발ㆍ보급사업의 투자효과 분석활용 = 235
      • 라. 각종 문화행사 및 업무환경 개선을 통한 직장생활의 질 개선 = 236
      • Ⅱ. 능력 중심의 인사개혁 = 236
      • 1. 경쟁을 촉진하는 복수직 확대 및 개혁인사 단행 = 236
      • 가. 직종 간 벽 허물기와 복수직 확대(198직위) = 236
      • 나.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한 개혁인사 단행 = 236
      • 다. 모범공직자 발굴, 포상 추천 = 239
      • 2. 인사쇄신으로 일류부처로의 도약 기틀 마련 = 239
      • 가. 전 직원을 성과평가로 하위 10%를 선별하여 별도 관리 = 239
      • 나. 연구관 연구실적 미흡자 호봉승급 20% 제한 = 240
      • 다. 기능직(사무직) 순환전보로 침체된 근무분위기 쇄신 = 245
      • 3. 연공서열 탈피 및 첨단ㆍ핵심 분야 우수인력 특채 = 245
      • 가. 역량평가를 실시하여 연공서열 중심의 인사관행 탈피 = 245
      • 나. 우리청의 미래 핵심기술개발을 가속화시켜 나가기 위해 내ㆍ외부 우수인력 특별채용 = 246
      • 4. 고위공무원단 및 과장 적격성평가로 보직관리 합리화 = 247
      • 가. 과장급 이상 보직자 적격성평가 시행 = 247
      • 나. 차기 과장 후보자군에 대한 역량평가 = 248
      • Ⅲ. 기능 재편 및 조직구조 개혁 = 248
      • 1. 기본방침 및 추진경위 = 248
      • 가. 기본방침 = 248
      • 나. 추진경위 = 249
      • 2. 개편방향 = 255
      • 가. 기관별 개편방향 = 255
      • 나. 분야별 개편방향 = 256
      • 다. 소속기관 = 260
      • Ⅳ. 농업 R&Dㆍ보급 선진화 시스템 도입 = 282
      • 1. 기본방향 = 282
      • 가. 일하는 방식의 선진화 ⇒ 업무 패러다임 전환 = 282
      • 나. 트렌드에 맞는 R&D 영역확대 ⇒ Blue Ocean 창출 = 282
      • 다. 거버넌스 체제구축 ⇒ 네트워크 협력 강화로 효율성 증대 = 282
      • 2. 선진 기술관리시스템으로의 대전환 = 284
      • 가. Agenda 중심으로 R&D 시스템을 전면 개편 = 284
      • 나. 지역특성화 중심으로 기술보급 시스템 개편 = 287
      • 다. Agenda - 지역특성화 중심으로 사업ㆍ예산ㆍ인력ㆍ평가 일원화 = 294
      • 3. 녹색성장에 맞는 녹색원천기술 개발 = 297
      • 가. 첨단기술과의 융ㆍ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 = 297
      • 나. 고부가가치 종가 개발로 세계 종자강국 실현 = 299
      • 다.「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농업 R&D 강화 = 304
      • 라. 국민 먹을거리 안전을 위한 R&D 투자 확대 = 305
      • 마. 농업기반 인프라 구축 및 생활원예 확산 = 306
      • 바. 청년 일자리 창출과 해외농업기반 구축 = 307
      • 4. 지역특화작목시험장 활성화 방안 = 309
      • 가. 지역특화작목시험장 운영 및 성과분석 = 309
      • 나. 지역특화작목시험장 활성화 방향 = 310
      • 다. 지역특화작목시험장 지원 방안 = 310
      • Ⅴ. 국민과의 접점 확대 : 현안대응, 홍보, 거버넌스 = 314
      • 1. 농촌현안문제 신속 대응으로 민생안전 = 314
      • 가. 일선 농업인ㆍ농민단체 건의사항 해결 추진 = 314
      • 나. 유형별 맞춤서비스(신속하고 전방위적 대민서비스) = 314
      • 다. 4대 농촌현안 중점 해결(에너지, 비료ㆍ농약, 사료비, 로열티) = 316
      • 라. 농식품 안전성 국민 불안 불식 = 317
      • 2. 성과홍보 강화로 청의 이미지 개선 = 317
      • 가. 홍보동향 분석 개요 = 317
      • 나. 분석 결과 = 318
      • 다. 홍보 및 의식개혁 교육 실시 = 318
      • 3. 실용적 산ㆍ학ㆍ관ㆍ연 거버넌스 체계 강화 = 321
      • 가. 인적교류 활성화 = 321
      • 나. 사업 및 재정 = 321
      • 다. 국회 및 지방과의 교류 강화 = 321
      • 라. NHN(주)와 농업지식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업무협정 체결 = 323
      • 4. 초(超)고유가에 대응한 에너지 절약 선도 = 324
      • 가. 초고유가 대응 에너지절약 대책 특별교육 = 324
      • 나. 에너지절약 추진실적 = 324
      • 제6장 개혁의 성과 및 향후과제 = 327
      • Ⅰ. 개혁의 성과 = 329
      • 1. 정부기관 대상 각종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 = 329
      • 가. 신정부 국정과제 반영률 최우수기관 = 330
      • 나. 청보리 조사료 생산으로 조직위상 제고 = 330
      • 다. 대국민 종합만족도 우수기관 = 331
      • 라. 책임운영기관 평가 우수기관 = 333
      • 마. 성별영향평가 우수시관 = 333
      • 바. '08 을지연습 유공 최우수기관 대통령 단체표창 = 334
      • 사. 대한민국 과학기술 100대 연구성과에 7개 선정 = 335
      • 아. 정부업무평가(성과관리) 우수기관 = 335
      • 자. 공공기관 기록물 관리 최우수기관 선정 = 336
      • 차. 정부업무변화관리 창의ㆍ실용 우수사례 기관상 수상 = 337
      • 카. 글로벌 e-비지니스 정보화 혁신대상 수상 = 337
      • 타. '08 농촌 전통테마마을 대상 수상 = 338
      • 2. '08 지방농촌진흥기관 대국민 만족도 상승('08. 7) = 339
      • 가. 개요 = 339
      • 나. 조사결과 및 활용 = 339
      • 3. 농진청의 사례가 학계 및 공공기관에서 우수모델로 확산 = 340
      • 가. 각종 학술대회에서 개혁사례 발표 = 340
      • 나. 공공부문 개혁의 벤치마킹 모델로 확산 = 341
      • 4. 조직 생산성 향상 = 341
      • 가. 인력 및 예산 절감 = 341
      • 나. 업무 생산성 향상 = 341
      • Ⅱ. 향후과제 = 342
      • 1. 조직관리 측면 = 342
      • 가. 조직개편의 수용성 강화 및 보완 = 342
      • 나. 15개 아젠다의 일부 조정 = 342
      • 다. 조직의 미션 보완 = 342
      • 라. 기능 및 권한 조정 = 343
      • 마. 예산과정의 효율성 제고 = 343
      • 2. 조직문화 = 343
      • 가. 직렬 간 의사소통 강화 = 343
      • 나. 복수직 확대 및 직종간 인사교류에 대한 보완조치 = 343
      • 3. 인사관리 = 344
      • 가. 경력관리시스템 체계화 = 344
      • 나. 보직자 관리 합리화 = 344
      • 다. 기능직에 대한 평가 개선 = 344
      • 라. 교육훈련제도 개선 및 인사교류 활성화 = 344
      • 4. 성과관리 = 345
      • 가. 구성원의 의견수렴 및 합의에 의한 평가지표 개발 = 345
      • 나. 특성화된 성과측정 지표 개발 = 345
      • 다. 성과관리체계 개선 = 345
      • 라. 통합성과관리시스템 구축 = 345
      • 제7장 결어 = 347
      • [농촌진흥청의 변화를 보면서]
      • 1. 우리가 바라는 것 / 김진범[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사무총장] = 95
      • 2. 지푸라기가 희망으로 보일 때 까지… / 이휘철[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농업연구사] = 147
      • 3. 위기에서 깨달은 소중한 것들… / 정지혜[국제기술협력과 행정주사보] = 178
      • 4. 농촌진흥청의 변화를 보면서… / 김경배[화성시 농업기술센터 소장] = 292
      • 5. 미래와 희망이 있는 농업이 되기를 바라며… / 한영만[샤론농원 대표] = 326
      • 6. 농촌진흥청 선진화노력에 대한 훈수 / 이종열[인천대 교수] = 351
      • [참고자료 : 부록]
      • 부록 1 농촌진흥청 개혁을 위한 직원제안 과제 = 367
      • 부록 2 5급공무원 승진심사제 운영 예규 = 383
      • 부록 3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 387
      • 부록 4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 408
      • 부록 5 일반직(5급 이상) 승진심사 계획 = 437
      • 부록 6 개혁활동 일지 = 465
      • 부록 7 매체별 언론보도 일지 = 494
      • 부록 8 대외 브리핑 일지 = 5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