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올가 토카르추크의 『방랑자들(Bieguni)』에 나타난 인간의 육체에 대한 탐험 = On the Exploration of the Human Body in the Novel Flights(Bieguni) by Olga Tokarcz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3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 )의 『방랑자들 (Bieguni)』(2007)은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2018년도에 멘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작가는 17세기부터 21세기까지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각자 나름의 이유로 여행길에 오른 다채로운 인간군상을 보여주면서, 우리를 쉼 없이 움직이게 만드는 ‘여행’ 또는 ‘이동’이야말로 인간을 자유롭게 해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행과 이동의 의미를 21세기적 맥락에서 탐구하고자 했던 『방랑자들』에서 토카르추크는 ‘신체로서의 인간’에 주목하면서 ‘인체에 대한 탐험’ 또한 일종의 여행으로 간주한다. 목적과 이유는 저마다 다르지만, 경계를 넘나드는 이동을 실현하는 주체가 바로 인간의 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방랑자들』에는 ‘몸’에 관한 에피소드, 그중에서도 특히 파편화된 인체 부위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인간의 내장기관을 전시한 박물관에 대한 관람기록과 인체를 방부 처리해서 영구 보존하기 위해 고심하는 해부학자들의 사연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토카르추크는 정신과 몸을 대립시키지 않는다. 작가의 이러한 시각은 정신이나 의식보다 몸의 감각을 사유와 지각의 중심에 놓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신체의 고유한 주체성과 능동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철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발견된다. 토카츠추크는『방랑자들』을 통해 ‘필멸’의 존재인 인간의 육체를 ‘불멸’이라는 주제와 연관 지어 성찰하면서 인간의 몸에 깃든 에너지와 무한한 가능성에 주목한다.
      번역하기

      2018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 )의 『방랑자들 (Bieguni)』(2007)은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2018년도에 멘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2018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 )의 『방랑자들 (Bieguni)』(2007)은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2018년도에 멘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작가는 17세기부터 21세기까지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각자 나름의 이유로 여행길에 오른 다채로운 인간군상을 보여주면서, 우리를 쉼 없이 움직이게 만드는 ‘여행’ 또는 ‘이동’이야말로 인간을 자유롭게 해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행과 이동의 의미를 21세기적 맥락에서 탐구하고자 했던 『방랑자들』에서 토카르추크는 ‘신체로서의 인간’에 주목하면서 ‘인체에 대한 탐험’ 또한 일종의 여행으로 간주한다. 목적과 이유는 저마다 다르지만, 경계를 넘나드는 이동을 실현하는 주체가 바로 인간의 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방랑자들』에는 ‘몸’에 관한 에피소드, 그중에서도 특히 파편화된 인체 부위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인간의 내장기관을 전시한 박물관에 대한 관람기록과 인체를 방부 처리해서 영구 보존하기 위해 고심하는 해부학자들의 사연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토카르추크는 정신과 몸을 대립시키지 않는다. 작가의 이러한 시각은 정신이나 의식보다 몸의 감각을 사유와 지각의 중심에 놓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신체의 고유한 주체성과 능동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철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발견된다. 토카츠추크는『방랑자들』을 통해 ‘필멸’의 존재인 인간의 육체를 ‘불멸’이라는 주제와 연관 지어 성찰하면서 인간의 몸에 깃든 에너지와 무한한 가능성에 주목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winner of the 2018 Nobel Prize in Literature, Olga Tokarczuk(1962~ ) won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for her novel Flights(Polish title: Bieguni) in 2018. It is a hybrid novel consisting of 116 texts on the common keyword of ‘travel’ or ‘vagabond’. Tokarczuk emphasizes that travel can truly free humans by keeping us moving continuously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who travel through different times and places in endless succession, between the seventeenth and twenty-first centuries. In Flights, which explores the meaning of journey and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twenty-first century, Olga Tokarczuk views ‘an exploration of the human body’ as a kind of journey in which one focuses on ‘the human being as a physical body.’ This is because the principal agent which realizes movement across boundaries is the live human body - though the purposes and reasons for such movement may be diverse. Thus, Flights contains numerous stories about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certain physical parts of the human body. Records of visits to museums which exhibit human internal organs, as well as stories about anatomists who conduct research on the eternal preservation of the human body though plastination, occupy a large part the book. Tokarczuk does not focus on conflict between mind and body. In the sense that she places physical sensation, rather than mind or consciousness, at the center of thought and awareness, and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the body, her approach seems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ilosophy of Maurice Merleau-Ponty. In essence, Tokarczuk emphasized on the energy and limitless possibilities of the human body by associating the mortal human body with the theme of ‘immortality.’
      번역하기

      A winner of the 2018 Nobel Prize in Literature, Olga Tokarczuk(1962~ ) won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for her novel Flights(Polish title: Bieguni) in 2018. It is a hybrid novel consisting of 116 texts on the common keyword of ‘travel’ or ...

      A winner of the 2018 Nobel Prize in Literature, Olga Tokarczuk(1962~ ) won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for her novel Flights(Polish title: Bieguni) in 2018. It is a hybrid novel consisting of 116 texts on the common keyword of ‘travel’ or ‘vagabond’. Tokarczuk emphasizes that travel can truly free humans by keeping us moving continuously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who travel through different times and places in endless succession, between the seventeenth and twenty-first centuries. In Flights, which explores the meaning of journey and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twenty-first century, Olga Tokarczuk views ‘an exploration of the human body’ as a kind of journey in which one focuses on ‘the human being as a physical body.’ This is because the principal agent which realizes movement across boundaries is the live human body - though the purposes and reasons for such movement may be diverse. Thus, Flights contains numerous stories about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certain physical parts of the human body. Records of visits to museums which exhibit human internal organs, as well as stories about anatomists who conduct research on the eternal preservation of the human body though plastination, occupy a large part the book. Tokarczuk does not focus on conflict between mind and body. In the sense that she places physical sensation, rather than mind or consciousness, at the center of thought and awareness, and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the body, her approach seems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ilosophy of Maurice Merleau-Ponty. In essence, Tokarczuk emphasized on the energy and limitless possibilities of the human body by associating the mortal human body with the theme of ‘immort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2. 『방랑자들』에 나타난 몸에 대한 성찰 3. 맺는말
      • 1. 들어가는 말 2. 『방랑자들』에 나타난 몸에 대한 성찰 3. 맺는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lga Tokarczuk, "한겨레"

      2 올가 토카르추크, "태고의 시간들" 은행나무 2019

      3 모리스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4 최성은, "올가 토카르추크 『방랑자들(Bieguni)』에 나타난 탈경계의 사유와 형식적 특성" 동유럽발칸연구소 44 (44): 131-154, 2020

      5 모리스 메를로 퐁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2004

      6 올가 토카르추크, "방랑자들" 민음사 2019

      7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4

      8 심귀연, "몸과 살의 철학자 메를로-퐁티" 필로소픽 2019

      9 강미라, "몸 주체 권력 - 메를로 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이학사 2011

      10 정지은, "메를로-퐁티의 몸-주체에 대한 연구 -실존적 몸에서 존재론적 몸으로의 이행" 한국해석학회 22 : 165-195, 2008

      1 Olga Tokarczuk, "한겨레"

      2 올가 토카르추크, "태고의 시간들" 은행나무 2019

      3 모리스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4 최성은, "올가 토카르추크 『방랑자들(Bieguni)』에 나타난 탈경계의 사유와 형식적 특성" 동유럽발칸연구소 44 (44): 131-154, 2020

      5 모리스 메를로 퐁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2004

      6 올가 토카르추크, "방랑자들" 민음사 2019

      7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4

      8 심귀연, "몸과 살의 철학자 메를로-퐁티" 필로소픽 2019

      9 강미라, "몸 주체 권력 - 메를로 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이학사 2011

      10 정지은, "메를로-퐁티의 몸-주체에 대한 연구 -실존적 몸에서 존재론적 몸으로의 이행" 한국해석학회 22 : 165-195, 2008

      11 류의근, "메를로 퐁티의 지각 현상학 읽기" 세창미디어 2016

      12 신인섭, "메를로 퐁티 현상학과 예술세계" 그린비 2020

      13 이가야,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고통 La douleur』과 박완서의 『한 말씀만 하소서』에서의 고통과 몸" 한국비교문학회 (59) : 223-248, 2013

      14 김경화, "딜런 토머스 시에 나타난 몸—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몸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영미시학회 15 (15): 47-69, 2009

      15 박준상, "관계의 느낌­­ -모리스 메를로-퐁티에게서의 지각의 의의 ­-" 대한철학회 158 : 151-180, 2021

      16 Hoffmann, Krzysztof, "Zawsze ku, nie od–do. Eksperyment, podróż i dekonstrukcja w Biegunach Olgi Tokarczuk" (3) : 2019

      17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18"

      18 Tokarczuk, Olga, "Prawiek i inne czasy" Wydawnictwo Ruta 2000

      19 Marzec, B, "Nike dla Olgi Tokarczuk za powieść o tęsknocie"

      20 Olga Tokarczuk, "Louisiana Channel"

      21 Tokarczuk, Olga, "Biegnuni" Wydawnictwo Literacki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