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난 천년의 으뜸가는 발명으로 간주되는 활자 인쇄의 의미에 세계 첫 시도로서의 직지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초창기 활자 인쇄 문화를 대입시킴으로써 세계문화사 속에서의 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천년의 으뜸가는 발명으로 간주되는 활자 인쇄의 의미에 세계 첫 시도로서의 직지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초창기 활자 인쇄 문화를 대입시킴으로써 세계문화사 속에서의 그 ...
본 연구는 지난 천년의 으뜸가는 발명으로 간주되는 활자 인쇄의 의미에 세계 첫 시도로서의 직지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초창기 활자 인쇄 문화를 대입시킴으로써 세계문화사 속에서의 그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해보고자 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그들보다 훨씬 앞서서 각인기(puncheon)와 자모(matrix), 주형(type mold)을 이용한 활자의 주조, 조판, 인쇄의 과정을 제대로 구현하면서 ‘복제’와 ‘주형(type mold)’의 개념을 형성하고 기술을 실현시켰다는 점이다. 문화사적인 의의는 동 시대 어느 지역보다도 활성화된 인쇄문화를 통해 동양에서는 물론 세계 인쇄사 및 문화사의 측면에서 매우 주목받고 있다는 점이다. 동양학자인 모리스 꾸랑을 비롯한 많은 구미의 학자들이 비록 제한된 시각이기는 하나 이 시기 한국의 활자 인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우리는 그 독창성과 장점에 걸 맞는 위치를 찾기 위해 좀 더 세계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전개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planned to identify, in the world cultural history, the place of our early typographic culture include Jikji, the first existing ancient typographic book.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our korean technology of typography ...
This study is planned to identify, in the world cultural history, the place of our early typographic culture include Jikji, the first existing ancient typographic book.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our korean technology of typography preceded the occidental one, which realized the typographic precess; puncheon, matrix, type mold, composition and impression.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tion of this early typography is kept on eye, with its activated printing operation at that age, not only in oriental academic world but also in occidental world. Many occidental scholars like Maurice Courant have made study of early korean typography, even though they have certain limited points of view. To take a reasonable place of its own creativity and merits, we must develop our research with more worldwide viewpoi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왕조실록" 1995
2 "조선 전기 인쇄 기술의 발달" 청주고인쇄박물관 89-111, 2002
3 "모리스 꾸랑 原著" 1994
4 "도서관학연구회" 1976
5 "금속활자와 인쇄술" 1976
6 "韓國古印刷技術史" 探究堂 1974
7 "東西洋 初期活字印刷方法에 관한 比較硏究" 7 5-8 16, 1985
8 "朝鮮建國初 印書文化의 意義" 121-142, 1986
9 "改訂版 書誌學新論, 문헌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 韓國圖書館協會 2003
10 "圖書-印刷-圖書館史" 종로서적 1982
1 "조선왕조실록" 1995
2 "조선 전기 인쇄 기술의 발달" 청주고인쇄박물관 89-111, 2002
3 "모리스 꾸랑 原著" 1994
4 "도서관학연구회" 1976
5 "금속활자와 인쇄술" 1976
6 "韓國古印刷技術史" 探究堂 1974
7 "東西洋 初期活字印刷方法에 관한 比較硏究" 7 5-8 16, 1985
8 "朝鮮建國初 印書文化의 意義" 121-142, 1986
9 "改訂版 書誌學新論, 문헌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 韓國圖書館協會 2003
10 "圖書-印刷-圖書館史" 종로서적 1982
11 "世宗年間의 印書事業에 관한 綜合的 考察" 1985181-208
12 "The invention of printing in China and its spread westward" Ronald Press 1955
13 "Etude comparative des techniques typographiques en Occident et en Orient" DROZ 75-84, 1997
14 "A History of writing" 1992
15 "15-16C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시대의 서양 도서의 형태" 31 (31): 215-229, 1997
우왕 이후에 제작된 4질의 묘법연화경 사경의 변상화의 내용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 ![]() |
2019-03-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5-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2 | 1.1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