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U의 유기농식품 검인증시스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46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uncil Regulation (EEC) No 2092/91 of 24 Juni 1991 on organic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indications referring thereto o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This Regulation describes the legal framework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obtained organically. The Regulation establishes a harmonized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labelling and insp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confidence in such products and ensure fair competition between producers. This article presents a study about inspec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of organic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in Germany. In order to guarantee respect for the rules of production, the Regulation provides for an inspection system to ensure that operators who produce, prepare or store organic products or import them from third countries notify the competent private and public authorities in the Member States of their activities. These inspection authorities must, at the very least, ensure application of the minimum inspection and precautionary measures laid down in Annex Ⅲ to the Regulation. For the production of meat, the Regulation states that the Member States must guarantee the traceability of products throughout the production, processing and preparation chain.
      번역하기

      The Council Regulation (EEC) No 2092/91 of 24 Juni 1991 on organic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indications referring thereto o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This Regulation describes the legal framework for agricultural products a...

      The Council Regulation (EEC) No 2092/91 of 24 Juni 1991 on organic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indications referring thereto o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This Regulation describes the legal framework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obtained organically. The Regulation establishes a harmonized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labelling and insp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confidence in such products and ensure fair competition between producers. This article presents a study about inspec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of organic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in Germany. In order to guarantee respect for the rules of production, the Regulation provides for an inspection system to ensure that operators who produce, prepare or store organic products or import them from third countries notify the competent private and public authorities in the Member States of their activities. These inspection authorities must, at the very least, ensure application of the minimum inspection and precautionary measures laid down in Annex Ⅲ to the Regulation. For the production of meat, the Regulation states that the Member States must guarantee the traceability of products throughout the production, processing and preparation cha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EU유기농규정의 목표와 특징
      • Ⅲ. EU의 유기농 검인증시스템
      • Ⅳ. 한국과 독일의 유기농 검인증제도의 차이점과 개선방안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EU유기농규정의 목표와 특징
      • Ⅲ. EU의 유기농 검인증시스템
      • Ⅳ. 한국과 독일의 유기농 검인증제도의 차이점과 개선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용광, "해외유기농산물 인증제도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자료 제24권"

      2 한국유기농업협회, "한국유기농업협회 인증지침서"

      3 한국유기농업협회, "한국유기농업협회 인증규정 개정(안)"

      4 유덕기, "한국 친환경농업의 정책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 12 (12): 279-302, 2004

      5 유덕기, "친환경유기농업 육성정책의 성공조건" 한국유기농업학회 14 (14): 341-360, 2006

      6 농림부,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7 농림부, "친환경농업육성법 [제정 1997.12.13 법률 제05442호. 제정 1997.12.13 법률 제05442호. 일부개정 2006.9.27 법률 제7996호]"

      8 조제억, "친환경농식품의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8

      9 2.김창길,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의 발전방향" 한국유기농업협회 (41) : 2007

      10 유덕기, "유기축산을 위한 농장동물복지의 과제와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 15 (15): 237-256, 2007

      1 신용광, "해외유기농산물 인증제도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자료 제24권"

      2 한국유기농업협회, "한국유기농업협회 인증지침서"

      3 한국유기농업협회, "한국유기농업협회 인증규정 개정(안)"

      4 유덕기, "한국 친환경농업의 정책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 12 (12): 279-302, 2004

      5 유덕기, "친환경유기농업 육성정책의 성공조건" 한국유기농업학회 14 (14): 341-360, 2006

      6 농림부,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7 농림부, "친환경농업육성법 [제정 1997.12.13 법률 제05442호. 제정 1997.12.13 법률 제05442호. 일부개정 2006.9.27 법률 제7996호]"

      8 조제억, "친환경농식품의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8

      9 2.김창길,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의 발전방향" 한국유기농업협회 (41) : 2007

      10 유덕기, "유기축산을 위한 농장동물복지의 과제와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 15 (15): 237-256, 2007

      11 유덕기, "유기축산물의 CODEX 대응과 조직적 생산기반구축방안" 9 (9): 2001

      12 농림부, "농수산물 가공산업 육성 및 품질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1997.3.7 법률 제05299호] 제12조의 2(유기농산물의 표시)"

      13 이계임, "농산물가공품의 원산지 표시제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소 2005

      14 김창길, "국내외 친환경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 실태 분석" (사)두레마을 친환경농업연구원 8 (8): 67-90, 2006

      15 Huber. B., "Ӧkologische Backwaren Herstellen und Verkauften Verordnung (EWG) No. 2092/91" 1999

      16 BLE, "Leitlinen zum Zulassungsverfahren der privaten Kontrollstellen gemäß Verdr-dnung(EWG)No.2092/91 der Bundesanstalt für Landwirtschaft und Ernährung"

      17 "Euroäische Norm EN45011"

      18 EU, "Amtsblatt. 2000. 12. 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5 0.6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