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이완 원주민족 신화와 전통주거문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여신화와 전통주거의 연결고리를 밝힘으로써 신화가 실제 삶에 투영된 면모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84491
2023
Korean
타이완 ; 타이완 원주민족 ; 신화 ; 전통주거문화 ; Taiwan ; Taiwanese Aborigines ; Mythology ; Traditional Housing Culture
KCI등재
학술저널
63-78(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이완 원주민족 신화와 전통주거문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여신화와 전통주거의 연결고리를 밝힘으로써 신화가 실제 삶에 투영된 면모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이완 원주민족 신화와 전통주거문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여신화와 전통주거의 연결고리를 밝힘으로써 신화가 실제 삶에 투영된 면모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주거공간은 인간의 삶 전반이 깃들어 있어 그 자체로 하나의 박물관이다. 특히전통주거문화는 한 사회의 생활양식과 가치관, 미의식, 가족제도, 기술수준, 그리고 지리와 기후 등 한 지역의 문화를 종합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타이완의 전통주거에 관한 연구는상대적으로 미진하고 제한적이다. 주거형태의 구성이 물리적인 현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측면에서 타이완의 문화와 그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보완적 역할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전통주거문화에 관한 연구를 다양하고 입체적인 관점으로 접근한다.
[결론] 타이완 원주민족의 전통주거는 자연 친화적 양태, 거주공간의 수평적 구조, 독립주방의 구성 등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타이완 원주민족 신화의 다양한 면모가 반영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그 결과 신화와 전통주거문화를 별개의 주제로 논구해 왔던 기존 연구 성과의 한계를보완하고 신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확인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택, "타이완 원주민 신화의 이해" 학고방 2016
2 이인택, "타이완 원주민 신화의 유형별 분석 - 태아족(泰雅族), 포농족(布農族), 아미족(阿美族) 신화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9-38, 2011
3 김경은, "집, 인간이 만든 자연" 이가서 2021
4 김영주,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를 통해 본 제주도민의 종교심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53) : 29-50, 2016
5 김영주 ; 이석주, "제주여신신화에 투영된 여성들의 통합적 사유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86) : 333-356, 2017
6 이명아 ; 구광범, "원주민 신화를 상징하는 타이완 전통건축 문화" 한중인문학회 (73) : 415-437, 2021
7 백유정 ; 이석주 ; 김영주, "오키나와 신앙과 전통주거의 공간구성 조사 연구- 오키나와 本島 및 石垣市, 竹富島, 西表島, 久米島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 (20): 47-57, 2020
8 윤일이, "동중국해 문화권의 민가" 산지니 2017
9 이석주 ; 김영주, "동아시아 두 섬의 신화와 전통주거 공간과의 상관성: 제주도와 오키나와의 화신(火神)의 신화와 부엌의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71 : 233-246, 2022
10 공봉진, "대만 원주민족의 正名運動" 대한중국학회 (28) : 471-502, 2007
1 이인택, "타이완 원주민 신화의 이해" 학고방 2016
2 이인택, "타이완 원주민 신화의 유형별 분석 - 태아족(泰雅族), 포농족(布農族), 아미족(阿美族) 신화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9-38, 2011
3 김경은, "집, 인간이 만든 자연" 이가서 2021
4 김영주,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를 통해 본 제주도민의 종교심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53) : 29-50, 2016
5 김영주 ; 이석주, "제주여신신화에 투영된 여성들의 통합적 사유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86) : 333-356, 2017
6 이명아 ; 구광범, "원주민 신화를 상징하는 타이완 전통건축 문화" 한중인문학회 (73) : 415-437, 2021
7 백유정 ; 이석주 ; 김영주, "오키나와 신앙과 전통주거의 공간구성 조사 연구- 오키나와 本島 및 石垣市, 竹富島, 西表島, 久米島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 (20): 47-57, 2020
8 윤일이, "동중국해 문화권의 민가" 산지니 2017
9 이석주 ; 김영주, "동아시아 두 섬의 신화와 전통주거 공간과의 상관성: 제주도와 오키나와의 화신(火神)의 신화와 부엌의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71 : 233-246, 2022
10 공봉진, "대만 원주민족의 正名運動" 대한중국학회 (28) : 471-502, 2007
11 정영신 ; 백영경, "대만 원주민의 토지반환운동과 공동체-공동자원 관계의 변동" 한국환경사회학회 19 (19): 37-81, 2015
12 김광현, "건축 이전의 건축, 공공성" 공간서가 2014
13 임추행, "韓ㆍ臺 洪水男妹婚神話의 敍事構造 考察" 한국비교문학회 (55) : 109-140, 2011
14 김헌선, "臺灣 布農族·濟州島·宮古島의 敍事詩와 神話 比較" 탐라문화연구원 (36) : 7-83, 2010
15 이주노, "臺灣 原住民의 洪水神話 연구" 한국중국어문학회 111 : 171-194, 2022
16 田哲益, "排灣族神話與傳說" 晨星出版 2003
17 林道生, "原住民神話與文化賞析" 漢藝色硏 2003
18 林道生, "原住民神話․故事全集 5" 漢藝色硏 2004
19 Digital Museum of Taiwan Indigenous Peoples, "Tao Tribe’s Residential Floor Plan"
20 Cheng, C. M., "Taiwan’s Religious Culture" 33 : 225-257, 2015
21 Hankyoreh, "Taiwanese Aborigines Struggle “Give me back my name”: The Other Side of the Campaign for the Correction of Names"
22 Ministry of the Interior, "Population Percentage by Aboriginal Tribe"
23 김영주 ; 백유정 ; 이석주, "Myth and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한중인문학회 (60) : 49-71, 2018
24 Taiwan Indigenous People’s Knowledge Economic Development Association, "Distribution of Taiwanese Aborigines"
25 Taiwan Aboriginal Culture Park, "Aboriginal Traditional Architecture"
이토 츄타의 예술관과 일본 국사교과서 고미술 서술과의 상관성에 관한 검토
초기불교시대 여성의 수행과 특징에 대한 연구: 『테리가타(Therīgāthā)』를 중심으로
온라인 공개수업(MOOCs)을 통한 종교교육 현황과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