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공개수업(MOOCs)을 통한 종교교육 현황과 특성 = Religions Education and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in Korea: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4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온라인공개수업(K-MOOC) 중 종교 주제의 강좌들에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온라인 종교교육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징들을 파악하기 위한것이다.
      [연구 내용] K-MOOC 플랫폼에서 종교 관련 강좌 현황을 수집하여 개설 강좌들의 공통점과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 중 종교학을 주제로 전체 내용을 구성한 2개 강좌를 선정하여 실제로수강하면서 구성요소와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 2022년 12월을 기준으로 종교 관련 강좌는 전체 K-MOOC 강좌 수(1300 여개) 중 43개에 해당하였다. 이 강좌들은 주제에 따라 종교학 일반에 대한 강좌, 특정 종교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강좌, 인문교육[문학, 사학, 철학]으로서의 종교를 활용한 강좌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종교학 분야에 집중한 2개 강좌의 사례 분석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종교에 대한 지식 습득을 넘어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받아들이는 다원적 태도를 함양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적 측면으로는 한 주 내에 이수할 수 있는 학습 분량으로 20분 내외의 비디오 영상들과 퀴즈, 토론, 읽기자료 등으로 강좌가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여타의 K-MOOC 강좌들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종교학 강좌만의 제한점이 아닌K-MOOC 플랫폼의 한계로 간주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온라인 종교교육의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엿볼 수 있었지만, 양질의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MOOCs와 같은 온라인 학습환경을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교수자와 운영진의 노고가 요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온라인공개수업(K-MOOC) 중 종교 주제의 강좌들에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온라인 종교교육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징들을 파악하기 위한것이다. [연구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온라인공개수업(K-MOOC) 중 종교 주제의 강좌들에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온라인 종교교육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징들을 파악하기 위한것이다.
      [연구 내용] K-MOOC 플랫폼에서 종교 관련 강좌 현황을 수집하여 개설 강좌들의 공통점과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 중 종교학을 주제로 전체 내용을 구성한 2개 강좌를 선정하여 실제로수강하면서 구성요소와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 2022년 12월을 기준으로 종교 관련 강좌는 전체 K-MOOC 강좌 수(1300 여개) 중 43개에 해당하였다. 이 강좌들은 주제에 따라 종교학 일반에 대한 강좌, 특정 종교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강좌, 인문교육[문학, 사학, 철학]으로서의 종교를 활용한 강좌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종교학 분야에 집중한 2개 강좌의 사례 분석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종교에 대한 지식 습득을 넘어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받아들이는 다원적 태도를 함양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적 측면으로는 한 주 내에 이수할 수 있는 학습 분량으로 20분 내외의 비디오 영상들과 퀴즈, 토론, 읽기자료 등으로 강좌가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여타의 K-MOOC 강좌들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종교학 강좌만의 제한점이 아닌K-MOOC 플랫폼의 한계로 간주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온라인 종교교육의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엿볼 수 있었지만, 양질의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MOOCs와 같은 온라인 학습환경을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교수자와 운영진의 노고가 요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효정 ; 안정현 ; 이혜정, "해외 MOOC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공학 분야 이러닝 콘텐츠 설계전략 탐색"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8 (8): 31-37, 2016

      2 정진홍, "종교문화의 논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 김귀성 ; 류성민 ; 고시용, "종교 교양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종교교육학회 41 : 121-144, 2013

      4 김상미 ; 김성겸, "우리나라 MOOC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451-476, 2019

      5 박선영, "불교와 교육" 학지사 2006

      6 이병현, "미국 MOOC 최근 운영동향을 통해 본 MOOC 역할과 K-MOOC 운영에 대한 시사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227-251, 2017

      7 나권수 ; 윤재근,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71 : 81-99, 2022

      8 DON BAKER, "The Emergence of a Religious Market in Twentieth-century Korea" 한국학중앙연구원 19 (19): 7-39, 2016

      9 임걸 ; 김미화, "SWOT 분석에 기반한 한국형 MOOCs 설계요소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15-624, 2014

      10 김재현 ; 유명현 ; 장유진 ; 송지훈, "MOOC 기반 학습의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163-190, 2020

      1 정효정 ; 안정현 ; 이혜정, "해외 MOOC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공학 분야 이러닝 콘텐츠 설계전략 탐색"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8 (8): 31-37, 2016

      2 정진홍, "종교문화의 논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 김귀성 ; 류성민 ; 고시용, "종교 교양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종교교육학회 41 : 121-144, 2013

      4 김상미 ; 김성겸, "우리나라 MOOC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451-476, 2019

      5 박선영, "불교와 교육" 학지사 2006

      6 이병현, "미국 MOOC 최근 운영동향을 통해 본 MOOC 역할과 K-MOOC 운영에 대한 시사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227-251, 2017

      7 나권수 ; 윤재근,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71 : 81-99, 2022

      8 DON BAKER, "The Emergence of a Religious Market in Twentieth-century Korea" 한국학중앙연구원 19 (19): 7-39, 2016

      9 임걸 ; 김미화, "SWOT 분석에 기반한 한국형 MOOCs 설계요소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15-624, 2014

      10 김재현 ; 유명현 ; 장유진 ; 송지훈, "MOOC 기반 학습의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163-190, 2020

      11 남창우 ; 조다은, "K-MOOC에서 학습촉진을 위한 운영튜터의 역할지표 개발"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5 (15): 35-60, 2019

      12 이정민 ; 전정아, "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11, 2019

      13 변문경 ; 이진호 ; 홍석호 ; 조하민 ; 조문흠, "K-MOOC 강좌 개발을 위한 상호작용 설계 전략 탐구: Moore의 3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633-659, 2016

      14 Khalil, H., "How Satisfied are You with Your MOOC?: A Research Study about Interaction in Huge Online Courses" 5 (5): 629-639, 2015

      15 Daradoumis, T., "Design, Delivery and Assessment" IEEE 2013

      16 KEDI Education Policy Network, "Construction and Strategy of K-MOOC Platform"

      1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2년 한국형 온라인공개강좌(K-MOOC) 운영사업 참여기관 매뉴얼"

      18 교육부, "2022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기본계획(안)"

      19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년 한국형 온라인공개강좌(K-MOOC)수요분석 및 활용현황 조사"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