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본 과제는 한약의 조제가 이루어지는 원외탕전실의 관리 개선을 위하여 설문조사, 실태조사 및 원외탕전실 관계자 간담회 3 회, 토론회 1 회와 다수의 내부 회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진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口본 과제는 한약의 조제가 이루어지는 원외탕전실의 관리 개선을 위하여 설문조사, 실태조사 및 원외탕전실 관계자 간담회 3 회, 토론회 1 회와 다수의 내부 회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진행...
口본 과제는 한약의 조제가 이루어지는 원외탕전실의 관리 개선을 위하여 설문조사, 실태조사 및 원외탕전실 관계자 간담회 3 회, 토론회 1 회와 다수의 내부 회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진행되었음
1. 탕전실 시절기준 강화
1) 공동탕전실의 경우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등을 참고하여 시설기준 도출
① 조제시설과 원료한약 및 조제한약의 보관시설 등이 설비된 건축물의 위치 등
② 탕전실의 공간분리
- 조제실, 보관시설, 작엽실, 화장실, 검사실, 그 밖에 탕전이 필요한 시설 등
③ 탕전실의 내부구조
- 바닥·내벽 및 천장 등
④ 탕전실의 설비
- 환기 및 급배기시설, 급수시설, 배부시설, 조명, 조제설비, 방충 방서
2) 약침조제탕전실의 경우 「의약품 등의 제조법칙」,「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① 기본 시설 및 수입자의 시설기준렁 시행규칙 등을 참고하여 시설기준 도출
- 공기조화장치, 용수시설, 보관시설, 멸균시설, 이물 검사에 필요한 시설 등
② 무균 관리구역
- 천장, 배관, 내벽, 출입구, 입출고대기실, 갱의실, 소독시설, 화장실 등
2. 탕전실 관라기준 강화
1) 한방의료기관 「공동탕전실 설치 이용 및 탕전실 공동이용에 관한 지침(안)」 을, 일반탕전실 용어 대선에 공동탕전실의 시설 관리기준과 약침조제탕전실의 시설관리기준으로 구분하여 개발함
...[중략] 원문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