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0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OL) of the elderly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using multilevel analysis. Methods: As a secondary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r...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OL) of the elderly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using multilevel analysis. Methods: As a secondary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community health survey results, and database 1.0 data on community health outcomes and determinants from the same year. Survey participants were 62,710 respondents age ≥65 of 228,558, and database 1.0 data on community health outcomes and determinants were established targeting 254 regions nationally. Results: The health-related QO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factors. Additionally, estimating the effects of the community level factors through multilevel analysis was needed. In a model in which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factors were simultaneously inserted, the significant com- munity characteristic factor controlling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was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er thousand population (p=.028). Conclusion: In the multilevel analysis considering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factors,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er thousand population, which is a factor concerning medical access, was identified as a factor significantly affecting health-related QOL. Th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 allocating and developing community- based healthcare resources and establish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안지숙 ; 최혜영,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추이" 한국보건간호학회 32 (32): 275-287, 2018

      2 이진희,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수준의 건강결정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345-384, 2016

      3 추진아 ; 김은경, "지역사회거주 노인에서 낙상유경험자와 무경험자간의 삶의 질 비교"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9 (19): 373-382, 2012

      4 정용래 ; 함명일 ; 민인순 ; 강은정, "지역사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 단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76-285, 2015

      5 김종임, "일부 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EQ-5D) 수준 및 관련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99-109, 2013

      6 박세윤, "신체활동과 만성질환·우울증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성: 제5기 1,2차년도(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5 (25): 249-258, 2014

      7 양순옥 ; 조해련 ; 이승희, "도시와 농촌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01-510, 2014

      8 황원주 ; 박윤희,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한국 생산직 근로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5 (45): 857-867, 2015

      9 이현경 ; 조성혜 ; 김정희 ; 김윤경 ; 추향임, "농촌지역 중년과 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4 (44): 608-616, 2014

      10 최경원 ; 전경숙, "농촌노인의 허약상태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380-387, 2016

      1 안지숙 ; 최혜영,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추이" 한국보건간호학회 32 (32): 275-287, 2018

      2 이진희,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수준의 건강결정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345-384, 2016

      3 추진아 ; 김은경, "지역사회거주 노인에서 낙상유경험자와 무경험자간의 삶의 질 비교"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9 (19): 373-382, 2012

      4 정용래 ; 함명일 ; 민인순 ; 강은정, "지역사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 단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76-285, 2015

      5 김종임, "일부 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EQ-5D) 수준 및 관련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99-109, 2013

      6 박세윤, "신체활동과 만성질환·우울증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성: 제5기 1,2차년도(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5 (25): 249-258, 2014

      7 양순옥 ; 조해련 ; 이승희, "도시와 농촌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01-510, 2014

      8 황원주 ; 박윤희,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한국 생산직 근로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5 (45): 857-867, 2015

      9 이현경 ; 조성혜 ; 김정희 ; 김윤경 ; 추향임, "농촌지역 중년과 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4 (44): 608-616, 2014

      10 최경원 ; 전경숙, "농촌노인의 허약상태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380-387, 2016

      11 이승희,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23-535, 2013

      12 강기선 ; 양지, "노인의 낙상두려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낙상경험유무, 만성질환유무, 거주지역별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93-199, 2017

      13 Zhou Z, "Urban-rural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s between living arrangements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of the elderly in China-Evidence from Shaanxi province" 13 : e0204118-, 2018

      14 Lei P, "Social network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hinese old adults in urban areas : results from 4th National Household Health Survey" 131 : 27-39, 2016

      15 Borgaonkar MR,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orders" 47 (47): 444-454, 2000

      16 Lee MS, "Multi-level analysis" 37 (37): 212-216, 2004

      17 Kang SJ,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multilevel models and applicational procedure" 8 (8): 63-94, 1995

      1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asuring healthy days: population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 Ayatollahi SM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outhern Iranian rural women : a multivariate multilevel study" 7 : 213-218, 2015

      20 Liu 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in an urban area of Shaanxi Province, China : a cross-sectional study" 48 (48): 1-14, 2020

      21 Lin Y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65 years and older in the United States, 2011-2012 : a multilevel small area estimation approach" 27 (27): 52-58, 2017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 outcomes and health determinants DB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3 Kim GM,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35 (35): 482-489, 2018

      24 An S,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ost between rural and urban residen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9

      25 McLeroy KR,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15 (15): 351-377, 1988

      26 Jung YH, "A report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 182 : 6-14, 2011

      27 Raudenbush SW, "A hierarchical model for studying school effects" 59 (59): 1-17, 1986

      28 Statistics Korea, "2021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elderly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