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괴산 김항묵 고택의 풍수고찰 = A Study on the Pungsu of Gim, Hang Mug’s Traditional House in Goe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4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ngsu theory is one of the main factor influenced on the traditional village and house in Korea. Regarding the fact that a real effect of pungsu on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village and house, Study with a view of Pungsu theory could be a good method for deepl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Gim, Hang Mug’s house which is designated no. 136 as an important folk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20, Chilseong-ro 4th street, Chilseong-myon, Goesan-gun Chungbuk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ite and space lay-out is carried out by Yong(Dragon), Hyoel(Auspicious Spot), Sa(Sands), Su(Water) aspects of the Pungsu(Fengshui) Hyungsei-ron. Through the study, I find that there are many efforts to preserve the auspicious energy and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 from the transformed process from the early lay out of house to upper class residence having many attached buildings by laying out buildings after carefully observing and analyzing surrounding geographical features according to Pungsu theory.
      번역하기

      Pungsu theory is one of the main factor influenced on the traditional village and house in Korea. Regarding the fact that a real effect of pungsu on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village and house, Study with a view of Pungsu theory could be a good met...

      Pungsu theory is one of the main factor influenced on the traditional village and house in Korea. Regarding the fact that a real effect of pungsu on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village and house, Study with a view of Pungsu theory could be a good method for deepl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Gim, Hang Mug’s house which is designated no. 136 as an important folk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20, Chilseong-ro 4th street, Chilseong-myon, Goesan-gun Chungbuk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ite and space lay-out is carried out by Yong(Dragon), Hyoel(Auspicious Spot), Sa(Sands), Su(Water) aspects of the Pungsu(Fengshui) Hyungsei-ron. Through the study, I find that there are many efforts to preserve the auspicious energy and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 from the transformed process from the early lay out of house to upper class residence having many attached buildings by laying out buildings after carefully observing and analyzing surrounding geographical features according to Pungsu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풍수는 오랫동안 마을과 건축물의 입지, 경관구성, 주민들의 자연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 문화적 요소였다. 일정한 지형적 조건을 갖는 장소를 선택할때 풍수는 커다란 지침으로 작용하였다. 산의 모습이나 물이 흐르는 양상 등에 따라 길한 터전을 선택하려는 생각은 조선시대 지식층에 널리 보편화되어 있었다. 이처럼 풍수가 전통마을과 가옥의 조영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풍수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전통가옥을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충북 괴산군 칠성면 칠성로 4길 20번지(율원리 907-1)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 136호로 지정된 김항묵고택을 대상으로 입지와 공간배치를 풍수 형세론의 용, 혈, 사, 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참판을 지낸 사대부 가문의 괴산 김항묵 고택은 초기의 가옥의 배치와 이후 여러 채가 있는 사대부가옥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풍수적인 측면에서 가옥 주변의 지형지세를 자세히 살핀 후 건물을 배치하면서 길한 기운을 보존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풍수는 오랫동안 마을과 건축물의 입지, 경관구성, 주민들의 자연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 문화적 요소였다. 일정한 지형적 조건을 갖는 장소를 선택할때 풍수는 커다란 지침으로 작용하...

      풍수는 오랫동안 마을과 건축물의 입지, 경관구성, 주민들의 자연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 문화적 요소였다. 일정한 지형적 조건을 갖는 장소를 선택할때 풍수는 커다란 지침으로 작용하였다. 산의 모습이나 물이 흐르는 양상 등에 따라 길한 터전을 선택하려는 생각은 조선시대 지식층에 널리 보편화되어 있었다. 이처럼 풍수가 전통마을과 가옥의 조영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풍수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전통가옥을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충북 괴산군 칠성면 칠성로 4길 20번지(율원리 907-1)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 136호로 지정된 김항묵고택을 대상으로 입지와 공간배치를 풍수 형세론의 용, 혈, 사, 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참판을 지낸 사대부 가문의 괴산 김항묵 고택은 초기의 가옥의 배치와 이후 여러 채가 있는 사대부가옥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풍수적인 측면에서 가옥 주변의 지형지세를 자세히 살핀 후 건물을 배치하면서 길한 기운을 보존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영훈, "한옥의 건축도예와 무늬" 기문당 1990

      2 김광언, "한국의 집지킴이" 다락방 2000

      3 정재훈, "한국의 전통조경" 조경 2005

      4 김경표, "한국의 건축문화재 충북편" 기문당 2012

      5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6 권영휴, "한국 전통주거환경의 풍수적 해석 및 입지평가모델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7 허균, "한국 전통건축장식의 비밀" 대원사 2013

      8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9 김도경,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 현암사 2011

      10 정경연, "정통풍수지리" 평단 2003

      1 신영훈, "한옥의 건축도예와 무늬" 기문당 1990

      2 김광언, "한국의 집지킴이" 다락방 2000

      3 정재훈, "한국의 전통조경" 조경 2005

      4 김경표, "한국의 건축문화재 충북편" 기문당 2012

      5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6 권영휴, "한국 전통주거환경의 풍수적 해석 및 입지평가모델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7 허균, "한국 전통건축장식의 비밀" 대원사 2013

      8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9 김도경,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 현암사 2011

      10 정경연, "정통풍수지리" 평단 2003

      11 서유구, "임원경제지에 담긴 옛사람의 집짓는 법-산수간에 집을 짓고" 돌베게 2005

      12 이덕자, "이조시대의 조형물에 나타나 길상문양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1969

      13 조인철, "우리시대의 풍수" 2008

      14 서선계, "서선술저 김동규역, 인자수지" 명문당 2003

      15 괴산군, "괴산군지, 3권" 2013

      16 한종구, "괴산 김항묵 고택" 한옥문화원 (46) : 2017

      17 김성우, "괴산 김기응가옥"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8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