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귀촌형 공동체마을 조성을 위한 생활환경과 사회환경 측면의 가이드라인 개발 = Guidelines Development of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for the Planning of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4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현장조사로 개발한 공동체마을 평가도구의 항목과 공동체마을관련 문헌에서 제시한 계획요소 중 생활환경적 측면과 사회환경적 측면의 각 항목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귀촌형 공동체마을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생활환경적 측면의 가이드라인은 마을구조(적정규모, 대지, 세대당 옥외공간면적), 마을경관(배치방법, 단지 공간구성), 도로체계 및 교통이용 등(마을 내 주차장 구성, 버스정류장의 위치, 마을탐방로의 구성여부, 대중교통 접근성, 도로체계 및 보행체계), 공동생활시설과 공유공간(공동시설 보유 정도, 공동생활시설의 면적, 공동생활시설의 위치 및 배치, 공동생활시설 평면유형, 공동생활시설 계획), 전이공간, 개별주택(유형, 주거면적, 설계방식) 등 6가지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사회환경적 측면의 가이드라인은 마을조성 및 설립(주민참여개발 방식, 주민참여기법, 거주자 건축참여), 계획단계의 주민 교육 내용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현장조사로 개발한 공동체마을 평가도구의 항목과 공동체마을관련 문헌에서 제시한 계획요소 중 생활환경적 측면과 사회환경적 측면의 각 항목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현장조사로 개발한 공동체마을 평가도구의 항목과 공동체마을관련 문헌에서 제시한 계획요소 중 생활환경적 측면과 사회환경적 측면의 각 항목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귀촌형 공동체마을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생활환경적 측면의 가이드라인은 마을구조(적정규모, 대지, 세대당 옥외공간면적), 마을경관(배치방법, 단지 공간구성), 도로체계 및 교통이용 등(마을 내 주차장 구성, 버스정류장의 위치, 마을탐방로의 구성여부, 대중교통 접근성, 도로체계 및 보행체계), 공동생활시설과 공유공간(공동시설 보유 정도, 공동생활시설의 면적, 공동생활시설의 위치 및 배치, 공동생활시설 평면유형, 공동생활시설 계획), 전이공간, 개별주택(유형, 주거면적, 설계방식) 등 6가지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사회환경적 측면의 가이드라인은 마을조성 및 설립(주민참여개발 방식, 주민참여기법, 거주자 건축참여), 계획단계의 주민 교육 내용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give back-to-farm residents the stable settlement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 the ‘community village’ is desirable as the village type and its village planning guideline should be support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uideline for the planning of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in the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about items that field survey and literature suggested. The guideline for the liv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6 items; village structure(adequate size, lot, outer space for household), village landscape(allocation, space composition), road system and transportation(parking lot in village, placement of bus stops, village trail, public transportation, road and pedestrian system), common living facilities and common space(number, size, location & placement, plan type, planning type of common facilities), transfer space, individual housing(type, size, planning type). The guideline for the social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3 items; village making and establishment(resident participation type, resident participation tool, residents' construction participation) and resident education in the course of planning, resident participation(gathering resident opinion, decision making, composition of construction committee, community newsletter).
      번역하기

      In order to give back-to-farm residents the stable settlement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 the ‘community village’ is desirable as the village type and its village planning guideline should be support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

      In order to give back-to-farm residents the stable settlement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 the ‘community village’ is desirable as the village type and its village planning guideline should be support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uideline for the planning of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in the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about items that field survey and literature suggested. The guideline for the liv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6 items; village structure(adequate size, lot, outer space for household), village landscape(allocation, space composition), road system and transportation(parking lot in village, placement of bus stops, village trail, public transportation, road and pedestrian system), common living facilities and common space(number, size, location & placement, plan type, planning type of common facilities), transfer space, individual housing(type, size, planning type). The guideline for the social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3 items; village making and establishment(resident participation type, resident participation tool, residents' construction participation) and resident education in the course of planning, resident participation(gathering resident opinion, decision making, composition of construction committee, community newslet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민정, "코하우징에 적용된 커뮤니티 개념의 계획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6 (16): 93-100, 2005

      2 박경옥, "지속가능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대한건축학회 30 (30): 71-80, 2014

      3 박경옥, "전원마을조성사업에 의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의 주민참여 계획과정 특성 - 남원시 작은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4 (24): 135-147, 2013

      4 한민정, "스웨덴과 미국 코하우징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7) : 2006

      5 최정신, "스웨덴 훼르셸 생태마을의 주민참여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8 (28): 19-34, 2010

      6 최정신, "스웨덴 코하우징의 물리적 환경 디자인 평가"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3) : 115-150, 2012

      7 김진경, "수원시 마을만들기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 2011년, 2012년 마을르네상스 학교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53-69, 2013

      8 나하영, "생태마을의 계획요소 적용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안솔기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18 (18): 15-23, 2007

      9 송정석, "생태마을 공용공간의 공간 구성 형식에 관한 연구 - 안솔기, 둔철, 갈전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9 (9): 37-42, 2009

      10 한주희,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징 계획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 한민정, "코하우징에 적용된 커뮤니티 개념의 계획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6 (16): 93-100, 2005

      2 박경옥, "지속가능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대한건축학회 30 (30): 71-80, 2014

      3 박경옥, "전원마을조성사업에 의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의 주민참여 계획과정 특성 - 남원시 작은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4 (24): 135-147, 2013

      4 한민정, "스웨덴과 미국 코하우징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7) : 2006

      5 최정신, "스웨덴 훼르셸 생태마을의 주민참여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8 (28): 19-34, 2010

      6 최정신, "스웨덴 코하우징의 물리적 환경 디자인 평가"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3) : 115-150, 2012

      7 김진경, "수원시 마을만들기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 2011년, 2012년 마을르네상스 학교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53-69, 2013

      8 나하영, "생태마을의 계획요소 적용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안솔기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18 (18): 15-23, 2007

      9 송정석, "생태마을 공용공간의 공간 구성 형식에 관한 연구 - 안솔기, 둔철, 갈전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9 (9): 37-42, 2009

      10 한주희,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징 계획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1 김기영, "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참여워크샵에서 디자인게임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5-25, 2014

      12 최정신, "덴마크 자치관리모델(Self-work Model)노인용 코하우징의 디자인 특성" 대한가정학회 41 (41): 1-19, 2003

      13 신연호, "단지내 공동체의식 활성화를 위한 외부공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 단지형 전원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85-192, 2008

      14 김대식, "농촌마을단위의 정주환경진단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6 (16): 27-41, 2010

      15 전영미, "농촌 문화 마을의 주거환경 실태와 주관적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16 최정신,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주민참여의 실태 및 특성" 한국주거학회 19 (19): 93-102, 2008

      17 전호상, "계획공동체 마을의 공간구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18 채진해, "가로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형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연구 - 시흥시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1-35, 2012

      19 "Cohousing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8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