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목적 물자유통은 한 나라의 운영에 대단히 중요하다. 물자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법 모색이 곧 통치의 골자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물자 유통은 지방제도와 밀접한 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7322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목적 물자유통은 한 나라의 운영에 대단히 중요하다. 물자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법 모색이 곧 통치의 골자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물자 유통은 지방제도와 밀접한 관...
1. 연구목적
물자유통은 한 나라의 운영에 대단히 중요하다. 물자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법 모색이 곧 통치의 골자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물자 유통은 지방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양자를 연결해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자 유통은 경제사의 측면에서만 연구가 이루어지고, 지방제도 역시 ‘통치’라는 측면에서만 연구가 진행되어 양자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고대의 물자 유통을 지방제도와 함께 이해함으로써 지방제도가 유사시에는 방어체계이기도 하지만 평시에는 물자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시스템이었다는 사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한국 고대의 물자 유통의 실상을 파악하고, 물자 유통이 지방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4인의 공동연구자가 다음과 같이 3년간 중부지역, 호서지역, 영남지역을 대상으로 분석 고찰하고자 한다.
책임
1년차 :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治所城과 지방제도
2년차 :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治所城내 石壁建物의 구조와 성격
3년차 :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治所城내 창고와 보관품
연구자 갑
1년차 : 삼국 후기~통일신라시대 철기 및 제철유적의 자료집성과 철기의 변화 과정
2년차 : 6~7세기 신라의 철기 생산⋅유통과 지방제도
3년차 : 통일신라시대 철기 생산⋅공급체계와 지방제도의 변화
연구자 을
1년차 : 한국 고대의 물자 유통 및 지방통치 관련 문자자료의 검토
2년차 :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을 통해 본 6세기 신라의 軍需 보급체계
3년차 : 통일신라시대 租稅制 운영과 郡縣의 治所城
연구자 병
1년차 : 삼국사기 「지리지」를 통해 본 통일신라시대 郡縣과 교통로
2년차 : 통일신라시대 郡縣의 변화와 창고
3년차 : 삼국 및 통일신라기 신라 지방의 공간 구조의 변화와 물자 유통
3. 연구방법
유통체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핵심적인 고고학적인 자료는 창고다. 수취한 산물을 일정 기간 동안 보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기록에도 당시에 창고가 있었다는 것은 나와 있다. 다만 그 창고의 실상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설명이 없다. 형태는 어떠했고, 규모는 어느 정도 였는지, 그리고 그 안에 보관하는 물품은 또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은 고고학적인 발굴조사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마침 최근들어 고고학적인 조사가 활기를 띠면서 당시의 창고유적에 대한 조사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발굴 조사된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기록과의 합리적인 연결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작업을 통해 문헌기록과 고고학적인 발굴 조사 사례를 연결함으로써 당시의 창고를 복원하고, 그러한 창고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유통체계를 재생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일본에는 고대 창고에 대한 조사 자료는 상대적으로 풍부하다. 보관품의 종류에 따라 창고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 조사된 창고유적 역시 몇 가지 종류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보관품의 차이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 점에서 이웃 나라의 창고 실상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몇 안되는 자료지만 효율적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