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의 역사적ㆍ정치사회적 맥락 = 아시아 국가, 특히 베트남과 필리핀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5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8년 소위 ‘좌편향 교과서’ 사건 이후 한국사회에는 역사적 관심이 비상하게 높아졌고, 그 결과 ‘건국’은 이제 단순한 ‘정치’ 사건이 아니라, 매우 ‘정치적’인 사건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는 어떤 것일까?’라는 질문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대답하면서, 기존 연구와 두 가지 점에서 차별화된 접근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논문은 이 관계 자체를 상세히 다루기보다 이 관계의 역사적·정치사회적 맥락을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건국을 지나치게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본 논문은 건국이 실제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의 관점까지 고려하면서,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하여 답하였다. 첫째, 건국 이전에 대해서는, 민족지도자들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기독교는 건국과 관련된 민족지도자의 거대한 인력 풀을 마련하였다. 둘째, 건국 당시에 대해서는,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기독교건국론의 문제를 재고하였고, 건국을 둘러싼 기독교 내부의 다양한 정치 지형을 살펴보았다. 한국기독교, 특히 개신교는 정치 참여의 준비가 되어 있었고 실제적으로 정치 참여를 하였고, 한국가톨릭교회는 소극적으로 그런 추세를 따라갔다. 셋째, 건국 이후에 대해서는, 미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건국과 친미주의에 대하여, 분단 문제, 친일세력 발탁 문제, 신탁통치 문제를 살펴보았다. 국가와 종교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며, 이것은 건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번역하기

      2008년 소위 ‘좌편향 교과서’ 사건 이후 한국사회에는 역사적 관심이 비상하게 높아졌고, 그 결과 ‘건국’은 이제 단순한 ‘정치’ 사건이 아니라, 매우 ‘정치적’인 사건이 되었다. 이...

      2008년 소위 ‘좌편향 교과서’ 사건 이후 한국사회에는 역사적 관심이 비상하게 높아졌고, 그 결과 ‘건국’은 이제 단순한 ‘정치’ 사건이 아니라, 매우 ‘정치적’인 사건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는 어떤 것일까?’라는 질문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대답하면서, 기존 연구와 두 가지 점에서 차별화된 접근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논문은 이 관계 자체를 상세히 다루기보다 이 관계의 역사적·정치사회적 맥락을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건국을 지나치게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본 논문은 건국이 실제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의 관점까지 고려하면서,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하여 답하였다. 첫째, 건국 이전에 대해서는, 민족지도자들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기독교는 건국과 관련된 민족지도자의 거대한 인력 풀을 마련하였다. 둘째, 건국 당시에 대해서는,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기독교건국론의 문제를 재고하였고, 건국을 둘러싼 기독교 내부의 다양한 정치 지형을 살펴보았다. 한국기독교, 특히 개신교는 정치 참여의 준비가 되어 있었고 실제적으로 정치 참여를 하였고, 한국가톨릭교회는 소극적으로 그런 추세를 따라갔다. 셋째, 건국 이후에 대해서는, 미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건국과 친미주의에 대하여, 분단 문제, 친일세력 발탁 문제, 신탁통치 문제를 살펴보았다. 국가와 종교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며, 이것은 건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controversy over the so-called ‘leftist textbook’ in 2008 aroused national interest in history in Korea, the issue of ‘nation-building" became not only an event of ‘politics’, but also a very ‘political’ one. It is in this context that re-emerge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building and Korean Christianity.’ This paper aims to answer this question. In doing so, this paper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studies in two aspects: first, it focuses o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as such; and second, it approaches the issue of nation-building from the practical viewpoint rather than the ideological one.
      This paper argues that, regarding the pre-nation-building period, Korean Christianity provided the pool of national leaders who finally became the masterminds of nation-building. It maintains that, in regard to the nation-building year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was ready to engage in politics, while its counterpart, the Korean Catholic Church, passively swam with the tide. It also stresses that, as regards the nation-building years and its aftermath, Korean Christianity had a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hich cannot be reduced to pro-Americanism, in the various area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nation, the selection of the pro-Japanese group in nation-building, and the trusteeship. It must be remembered that th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has never been simple and straightforward, and the issue of nation-building in Korea is a case in point.
      번역하기

      Since the controversy over the so-called ‘leftist textbook’ in 2008 aroused national interest in history in Korea, the issue of ‘nation-building" became not only an event of ‘politics’, but also a very ‘political’ one. It is in this cont...

      Since the controversy over the so-called ‘leftist textbook’ in 2008 aroused national interest in history in Korea, the issue of ‘nation-building" became not only an event of ‘politics’, but also a very ‘political’ one. It is in this context that re-emerge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building and Korean Christianity.’ This paper aims to answer this question. In doing so, this paper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studies in two aspects: first, it focuses o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as such; and second, it approaches the issue of nation-building from the practical viewpoint rather than the ideological one.
      This paper argues that, regarding the pre-nation-building period, Korean Christianity provided the pool of national leaders who finally became the masterminds of nation-building. It maintains that, in regard to the nation-building year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was ready to engage in politics, while its counterpart, the Korean Catholic Church, passively swam with the tide. It also stresses that, as regards the nation-building years and its aftermath, Korean Christianity had a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hich cannot be reduced to pro-Americanism, in the various area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nation, the selection of the pro-Japanese group in nation-building, and the trusteeship. It must be remembered that th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has never been simple and straightforward, and the issue of nation-building in Korea is a case in poi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민족지도자와 한국기독교의 관계
      • Ⅲ.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
      • Ⅳ. 미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 건국과 친미주의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민족지도자와 한국기독교의 관계
      • Ⅲ. 건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
      • Ⅳ. 미국과 한국기독교의 관계: 건국과 친미주의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한글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찰스 펜(Charles Fenn), "호치민 평전" 자인 2001

      2 김명구, "해위 윤보선: 생애와 사상" 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3 연규홍, "해방 정국과 기독교 건국운동" 한국교회사학회 (14) : 95-119, 2004

      4 김 녕, "한국정치와 교회-국가 갈등" 소나무 1996

      5 안교성, "한국기독교와 민주화" 한국기독교회관 2012

      6 강돈구,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 집문당 1992

      7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 대한기독교서회 2011

      8 강인철, "종교권력과 한국 천주교회"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8

      9 김지방, "정치교회" 교양인 2007

      10 유영익, "젊은 날의 이승만: 한성감옥생활(1899-1904)과 옥중잡기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

      1 찰스 펜(Charles Fenn), "호치민 평전" 자인 2001

      2 김명구, "해위 윤보선: 생애와 사상" 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3 연규홍, "해방 정국과 기독교 건국운동" 한국교회사학회 (14) : 95-119, 2004

      4 김 녕, "한국정치와 교회-국가 갈등" 소나무 1996

      5 안교성, "한국기독교와 민주화" 한국기독교회관 2012

      6 강돈구,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 집문당 1992

      7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 대한기독교서회 2011

      8 강인철, "종교권력과 한국 천주교회"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8

      9 김지방, "정치교회" 교양인 2007

      10 유영익, "젊은 날의 이승만: 한성감옥생활(1899-1904)과 옥중잡기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

      11 강위조, "일제 통치하 한국의 종교와 정치" 대한기독교서회 1968

      12 나가타 아키후미[長田彰文],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 조선독립운동과 미국 1910-1922" 일조각 2008

      13 이덕주, "이승만의 기독교 신앙과 국가건설론 -기독교 개종 후 종교활동을 중심으로(1899~1913)-"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0) : 35-88, 2009

      14 이정식, "이승만의 구한말 개혁운동: 급진주의에서 기독교 입국론으로" 배재대학교출 판부 2005

      15 그레고리 A. 보이드, "십자가와 칼: 위에서는 힘, 아래에서 섬기는 힘" 한언 2007

      16 이택휘, "서재필" 민음사 1993

      17 안종철, "미군정 참여 미국선교사ㆍ관련 인사들의 활동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0 (30): 5-30, 2009

      18 나가타 아키후미[長田彰文], "미국, 한국을 버리다" 기파랑 2007

      19 한홍구,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묻다" 철수와영희 2009

      20 강인철, "대한민국 초대 정부의 기독교적 성격"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0) : 91-122, 2009

      21 김일영, "건국과 부국: 현대한국정치사 강의" 생각의 나무 2004

      22 Lewis, Bernard, "The Emergence of Modern Turke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3 Ion, A. Hamish, "The Cross and the Rising Sun: The Canadian Protestant Missionary Movement in the Japanese Empire, 1872-1931"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990

      24 Scalapino, Robert A, "The Communist Revolution in Asia: Tactics, Goals, and Achievements" Prentice-Hall, Inc 1969

      25 Fabros, Wilfredo, "The Church and Its Social Involvement in the Philippines, 1930-1972"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988

      26 Dobbins, James, "The Beginner’s Guide to Nation-Building" Rand Corporation 2007

      27 Mac Laughlin, Jim, "Reimagining the Nation-State: The Contested Terrains of Nation-building" Pluto Press 2001

      28 Clymer, Kenton, "Protestant Missionaries in the Philippines, 1898-1916: An Inquirty into the American Colonial Mentalit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6

      29 Cannell, Fenella, "Power and Intimacy in the Christian Philippin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0 McCune, G. M, "Korea Today" George Allen & Unwin 1950

      31 Berger, Mark T, "From Nation-Building to State-Building" Routledge 2008

      32 Freston, Paul, "Evangelicals and Politics in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3 Walls, Andrew, "Earthen Vessels: American Evangelicals and Foreign Missions, 1880-1980"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34 Kang, David C, "Crony Capitalism: Corruption and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The Philippines" University Press 2002

      35 Baker, Donald, "Christianity in Korea" Unviersity of Hawaii Press 2006

      36 전인수, "1920-30년대 조선적 기독교 운동 연구" 연세대학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4 0.9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