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종합정보 관리체계(UIS) 기본계획 연구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7956171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대구광역시, 1999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39.7 판사항(4)

      • DDC

        711.4 판사항(21)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대구

      • 서명/저자사항

        도시종합정보 관리체계(UIS) 기본계획 연구보고서 / 대구광역시 [편]

      • 형태사항

        xi, 399p.; 30cm

      • 일반주기명

        권말에 부록으로 '수치지도 Level 분류'등 수록
        참고문헌 : p.398-399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부 서론 = 1
      • 1. 과업의 명칭 = 1
      • 2. 과업의 배경 = 1
      • 3. 연구의 목적 및 목표 = 2
      • 목차
      • 제1부 서론 = 1
      • 1. 과업의 명칭 = 1
      • 2. 과업의 배경 = 1
      • 3. 연구의 목적 및 목표 = 2
      • 4. 과업수행 기간 = 3
      • 5. 과업의 범위 = 3
      • 6. UIS기본계획 수립절차 = 3
      • 7. 대구광역시의 당면과제 = 4
      • 제2부 본론 = 5
      • 제1장 대구광역시 GIS 현황 = 5
      • 1. 수치지도 작성 배경 = 5
      • 2. 추진현황 = 6
      • 2.1 수치지도 작성 = 6
      • 가. 추진실적 = 6
      • 나. 수치지도 구축현황 = 6
      • 다. 축척별 도면 인덱스 = 7
      • 라. 작성 흐름도 = 14
      • 2.2 기작성 수치지도 유지관리 = 15
      • 가. 추진실적 = 15
      • 나. 추진내용 = 15
      • 2.3 GIS 시범사업의 현황 = 15
      • 가. 상수도시설물관리시스템 = 16
      • 나. 소방긴급구조시스템 = 16
      • 다. 토지관리정보체계 = 17
      • 3.1 활용효과 = 18
      • 가. 직접효과 = 18
      • 나. 간접효과 = 19
      • 3.2 활용현황 = 19
      • 가. 자료활용 사례 = 19
      • 나. 응용시스템에 활용한 사례 = 20
      • 다. 시스템 업무 활용을 통한 비용절감 효과 = 20
      • 라. 활용증대 기본 골격 = 20
      • 마. 화일제공 및 도면발급 현황 = 21
      • 4. 기존 수치지도 문제점 및 대책 = 21
      • 5. 대구시 기본도의 정의 = 22
      • 제2장 대구광역시 UIS기본구상 = 23
      • 1. 대구광역시 GIS기본방향 = 23
      • 1.1 대구광역시 장기발전 구상 = 23
      • 1.2 대구광역시 UIS구축의 목표 = 25
      • 1.3 대구광역시 UIS구축의 추진방향 = 25
      • 1.4 대구광역시 UIS추진 전략 = 26
      • 1.5 정부의 각종 GIS계획 = 27
      • 가. 국가 GIS 추진현황 = 27
      • 나. 국가 GIS 분과위원회 = 29
      • 1.6 대구광역시 정보화 방향 = 32
      • 가. 대구광역시 정보화 주요 추진현황 = 32
      • 나. 대구광역시 환경분석 = 32
      • 다. 대구광역시 비전 = 33
      • 1.7 각종계획과 연계한 대구광역시 GIS추진전략 = 34
      • 가. 대구광역시 GIS시범사업 현황 = 34
      • 나. 도시정보화 주요 시스템유형도출 = 35
      • 다. 도시정보화 추진단계 및 절차 = 41
      • 2. 도시정보화 단위사업별 시스템구상 = 44
      • 2.1 개념 및 구성 = 44
      • 2.2 사업선정방향 = 45
      • 2.3 도시종합정보관리시스템 계획 = 48
      • 제3장 대구광역시 UIS 중장기 기본계획 = 50
      • 1. 사업의 개요 = 50
      • 1.1 추진일정 = 52
      • 1.2 추진방향 = 53
      • 1.3 시스템 구성 = 54
      • 1.4 소요예산 = 58
      • 1.5 기대효과 = 60
      • 1.6 대구광역시 UIS Network구성 = 62
      • 2. 부문별 추진계획 = 64
      • 2.1 도로종합시스템 = 64
      • 가. 사업의 개요 = 64
      • 나. 현황 = 64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73
      • 라. 시스템 분석 = 76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77
      • 바. 사용 주제도 = 79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79
      • 2.2 상수도 종합시스템 = 81
      • 가. 사업의 개요 = 81
      • 나. 현황 = 81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84
      • 라. 시스템 분석 = 86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87
      • 바. 사용 주제도 = 89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89
      • 2.3 상·하수 종합시스템 = 90
      • 가. 사업의 개요 = 90
      • 나. 현황 = 90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93
      • 라. 시스템 분석 = 95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96
      • 바. 사용 주제도 = 98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98
      • 2.4 도시계획종합시스템 = 100
      • 가. 사업의 개요 = 100
      • 나. 현황 = 100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05
      • 라. 시스템 분석 = 107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08
      • 바. 사용 주제도 = 110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10
      • 2.5 지적종합시스템 = 112
      • 가. 사업의 개요 = 112
      • 나. 현황 = 112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14
      • 라. 시스템 분석 = 116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17
      • 바. 사용 주제도 = 118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19
      • 2.6 소방 및 재난종합시스템 = 120
      • 가. 사업의 개요 = 120
      • 나. 현황 = 120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23
      • 라. 시스템 분석 = 127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29
      • 바. 사용 주제도 = 132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32
      • 2.7 교통종합시스템 = 133
      • 가. 사업의 개요 = 133
      • 나. 현황 = 133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40
      • 라. 시스템 분석 = 142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43
      • 바. 사용 주제도 = 145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45
      • 2.8 환경 종합시스템 = 147
      • 가. 사업의 개요 = 147
      • 나. 현황 = 147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50
      • 라. 시스템 분석 = 152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53
      • 바. 사용 주제도 = 154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55
      • 2.9 건축·주택 종합시스템 = 157
      • 가. 사업의 개요 = 157
      • 나. 현황 = 157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60
      • 라. 시스템 분석 = 162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63
      • 바. 사용 주제도 = 165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65
      • 2.10 공원 및 녹지 종합시스템 = 167
      • 가. 사업의 개요 = 167
      • 나. 현황 = 167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72
      • 라. 시스템 분석 = 174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75
      • 바. 사용 주제도 = 176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77
      • 2.11 문화 및 체육 종합시스템 = 179
      • 가. 사업의 개요 = 179
      • 나. 현황 = 179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85
      • 라. 시스템 분석 = 188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90
      • 바. 사용 주제도 = 192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192
      • 2.12 청소 종합시스템 = 194
      • 가. 사업의 개요 = 194
      • 나. 현황 = 194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195
      • 라. 시스템 분석 = 197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199
      • 바. 사용 주제도 = 200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201
      • 2.13 농·축산 종합시스템 = 203
      • 가. 사업의 개요 = 203
      • 나. 현황 = 203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205
      • 라. 시스템 분석 = 207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209
      • 바. 사용 주제도 = 210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211
      • 2.14 지역경제 종합시스템 = 213
      • 가. 사업의 개요 = 213
      • 나. 현황 = 213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216
      • 라. 시스템 분석 = 219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220
      • 바. 사용 주제도 = 222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222
      • 2.15 세무·재무 종합시스템 = 224
      • 가. 사업의 개요 = 224
      • 나. 현황 = 224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230
      • 라. 시스템 분석 = 231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232
      • 바. 사용 주제도 = 234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234
      • 2.16 보건·복지 및 여성 종합시스템 = 236
      • 가. 사업의 개요 = 236
      • 나. 현황 = 236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237
      • 라. 시스템 분석 = 241
      • 마. 세부시스템 도출 = 242
      • 바. 사용 주제도 = 246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246
      • 2.17 도시생태 종합시스템 = 248
      • 가. 사업의 개요 = 248
      • 나. 현황 = 248
      • 다. 관련조직 및 사무분장 = 251
      • 라. 시스템 분석 = 252
      • 마. 시스템 도출 = 253
      • 바. 사용 주제도 = 255
      • 사. 시스템 구축계획 = 255
      • 제4장 UIS구축 기본지침 = 257
      • 1. 대구광역시 수치지도 구축지침 = 257
      • 1.1 대구광역시 수치지도 특성 = 257
      • 1.2 개요 = 257
      • 1.3 제안지침 = 258
      • 2. 이미지 데이터 사용지침 = 259
      • 2.1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 = 259
      • 2.2 주요 연구과제 = 260
      • 2.3 제안지침 = 260
      • 3. 입력데이터 검수지침 = 261
      • 3.1 주요 연구과제 = 261
      • 3.2 제안지침 = 261
      • 4. 도면 인덱스지침 = 263
      • 4.1 인덱스체계 = 263
      • 4.2 도면 인덱스의 선정 = 263
      • 가. 도면관리를 위한 인덱스 = 263
      • 나. 지리정보시스템 운영을 위한 인덱스 = 263
      • 4.3 제안지침 = 264
      • 5. 수치지도의 검수지침 = 266
      • 5.1 대구광역시 기본도 데이터 검수항목 및 내용 = 266
      • 5.2 기본도의 검수지침 = 268
      • 6.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지침 = 269
      • 6.1 GIS 데이터베이스 분석 = 269
      • 가. 도청 데이터베이스 설계개념 = 269
      • 나. 속성데이터베이스 설계개념 = 270
      • 다. 지하시설물 기초정보DB의 개념설계 = 272
      • 6.2 구축지침 = 273
      • 7. UIS 전산체계 = 275
      • 7.1 UIS 네트워크 = 275
      • 가. Network 최신기술동향 = 275
      • 나. 주요 연구과제 = 276
      • 다. 제안지침 = 277
      • 7.2 Internet을 이용한 Application의 개발 = 278
      • 가. 대구시 안내 시스템 = 278
      • 나. 대중교통 안내시스템 = 278
      • 7.3 GIS 소프트웨어 선정에 관한 지침 = 279
      • 가. 최신동향 = 279
      • 나. 주요 연구과제 = 280
      • 다. 제안지침 = 280
      • 7.4 업무시스템 개발지침 = 281
      • 가. 최신기술동향 = 281
      • 나. 주요 연구과제 = 281
      • 다. 제안지침 = 281
      • 8. GIS 운용지침 = 283
      • 8.1 데이터 갱신지침 = 283
      • 가. 주요 연구과제 = 283
      • 나. 제안지침 = 283
      • 8.2 데이터베이스 체계 = 284
      • 가. 최신동향 = 284
      • 나. 주요 연구과제 = 284
      • 다. 제안지침 = 284
      • 제5장 유지관리방안 = 287
      • 1. 유지관리 개요 = 287
      • 2. 유지관리 방안의 구성요소 = 288
      • 2.1 갱신주체 = 288
      • 2.2 유지관리 대상 지형지물 = 288
      • 2.3 갱신주기 = 288
      • 2.4 갱신방법 = 289
      • 2.5 갱신결과에 대한 측량성과 승인 및 심사 = 289
      • 2.6 갱신 후 재공급 방법 = 290
      • 3. 구축된 수치지도 갱신기술의 비교 및 대안 = 291
      • 3.1 수치지도 유지관리의 기술적 방법 = 291
      • 3.2 기술적 갱신 방법들에 대한 장단점 = 292
      • 3.3 수치지도 갱신주기, 주체, 비용 및 비용부담주체 = 292
      • 4. 국내 수치지도유통 및 공급사례 = 294
      • 4.1 국립지리원 = 294
      • 가. 공급대상 = 294
      • 나. 공급형태 = 294
      • 다. 판매가격 = 295
      • 4.2 광주광역시 = 295
      • 4.3 대전광역시 = 297
      • 5. 대구광역시 수치지도 유통방안 = 299
      • 5.1 공급범위 = 299
      • 5.2 공급절차(안) = 299
      • 5.3 공급형태 = 299
      • 5.4 공급방법 = 300
      • 가. 사용자 시스템에 맞게 공급 = 300
      • 나. 표준적인 파일 형태로 관리·공급 = 301
      • 다. 대구광역시 수치지도 공급의 현실적 대안 = 301
      • 5.5 공급가격 = 301
      • 6. 대구광역시 수치지도 관리방안 = 304
      • 6.1 대구광역시 수치지도의 개선방안 = 304
      • 6.2 대구광역시 수치지도 유지관리방안 = 305
      • 가. 수치지도의 보완 = 305
      • 나. 수치지도 관리 = 305
      • 다. 수치지도 갱신 = 306
      • 6.3 자체수치지도 유지관리방안 = 307
      • 7. 유관기관과의 연계운영방안 = 308
      • 8. UIS시스템 유지관리방안 = 309
      • 8.1 추진방향 = 309
      • 8.2 추진목표 = 309
      • 8.3 유지관리 추진방법 = 310
      • 8.4 유지관리 추진조직 = 311
      • 제6장 추진조직 및 지원체제 구축 = 312
      • 1. 사업추진조직 = 312
      • 1.1 주요 연구과제 = 312
      • 1.2 사업추진조직 구성 = 312
      • 가. 현행 대구광역시 UIS관련 조직 = 313
      • 나. 구축단계의 대구광역시 UIS조직 = 313
      • 다. 운영단계의 대구광역시 UIS조직 = 314
      • 2. 기존 인력의 GIS전문성 배양 = 316
      • 2.1 일반현황 = 316
      • 2.2 교육현황 = 316
      • 2.3 교육대상 = 316
      • 2.4 교육 내용 = 317
      • 2.5 교육 방법 및 시간 = 317
      • 3. 수치지도 사용 및 유통을 위한 현행 법규의 검토 및 정비방안 = 319
      • 3.1 대한민국 법령 = 319
      • 3.2 대구광역시 자치법규(조례, 규칙, 지침) = 320
      • 3.3 UIS구축을 위한 대구광역시 자치법규(안) = 321
      • 제7장 재원확보 방안 = 323
      • 1. 수치지도 판매를 통한 재원확보 방안 = 323
      • 1.1 수치지도 유통체계(안) = 323
      • 가. 제1안 - 대구광역시에서 유통 = 323
      • 나. 제2안 - 지도판매센터에서 유통 = 323
      • 다. 제3안 - 지도제작회사에서 유통 = 324
      • 라. 제4안 - 대구광역시와 지도판매센터에서 유통 = 324
      • 2. 민간재원의 도입방안 = 325
      • 2.1 주제도작성 부분 = 325
      • 2.2 응용프로그램 개발부분 = 325
      • 제8장 시범연구 = 326
      • 1. 건축물 인허가 시스템 = 326
      • 1.1 신축건물에 대한 자료관리방안 = 326
      • 1.2 현황 = 327
      • 1.3 자료의 입력 및 활용 = 329
      • 가. 자료 입력 = 329
      • 나. 자료의 관리 = 330
      • 다. 속성 자료의 입력 = 332
      • 라. 자료의 활용 = 334
      • 2. 가로수 종합관리시스템 = 338
      • 2.1 시스템의 개요 = 338
      • 2.2 시스템의 구축 = 338
      • 가. 자료 입력 = 340
      • 나. 현황조회 = 348
      • 다. 자료출력 = 351
      • 2.3 기대효과 및 향후개선방안 = 352
      • 가. 기대효과 = 352
      • 나. 향후 개선방안 = 352
      • 제3부 결론 = 353
      • 부록 = 356
      • 1. 수치지도 LEVEL 분류 = 356
      • 1.1 수치현황도 = 356
      • 1.2 지하시설물도 = 360
      • 1.3 용지도 = 361
      • 2. 수치지도사업관련 제반규정 = 362
      • 2.1 지하시설물도 작성작업규칙 = 362
      • 2.3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 = 385
      • 2.4 공공측량 성과심사 업무처리규정 = 393
      • 3. 참고문헌 = 3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