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시폰케이크의 품질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ffon Cake with Cabbage Pow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25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bbage is a biennial plant that is native to the shores of the Mediterranean. It contains dietary fiber, minerals, vitamin A, vitamin C, and anticarcinogenic phytochemicals. For the test, cabbage powder was added (5%, 10%, 20%, and 30%) to flour. The...

      Cabbage is a biennial plant that is native to the shores of the Mediterranean. It contains dietary fiber, minerals, vitamin A, vitamin C, and anticarcinogenic phytochemicals. For the test, cabbage powder was added (5%, 10%, 20%, and 30%) to flour. The addition of cabbage powd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of the batter and pH of both the batter and chiffon cake. The moisture in the chiffon cake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cabbage powder. Also, the lightness of the cake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the red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as the amount of cabbage powder increased.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crumbs from C0 were higher than other samples as each 59.48, -3.17, respectively. Except for the resilience, the hardness, gumminess, fracturability, and adhesiveness showed similar values in the C0, C5, and C10. In terms of consumer perception, the color, softness, flavor and overall consumer preference for the control chiffon cake were higher than C5, C10, C20, and C30. Nonetheless, for those that contain cabbage powder, C5 and C10 had relatively higher consumer preferences than C20 and C30. As a result, the optimum amount of cabbage powder for the chiffon cake would be from 5~1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숙,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222-1228, 2009

      2 안호기, "함초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47-53, 2010

      3 심기환,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281-287, 2007

      4 리혁,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50-254, 2007

      5 김미정, "옥수수 전분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427-1433, 2005

      6 이영주, "오미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33-238, 2012

      7 김현순, "연잎과 연근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285-1291, 2011

      8 정예선, "에리스리톨을 첨가한 저열량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606-1611, 2009

      9 전순실, "양파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스폰지 케이크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62-66, 2003

      10 김세희, "양배추가루 첨가 식빵의 제조조건 최적화 및 저장성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431-441, 2012

      1 이정숙,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222-1228, 2009

      2 안호기, "함초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47-53, 2010

      3 심기환,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281-287, 2007

      4 리혁,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50-254, 2007

      5 김미정, "옥수수 전분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427-1433, 2005

      6 이영주, "오미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33-238, 2012

      7 김현순, "연잎과 연근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285-1291, 2011

      8 정예선, "에리스리톨을 첨가한 저열량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606-1611, 2009

      9 전순실, "양파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스폰지 케이크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62-66, 2003

      10 김세희, "양배추가루 첨가 식빵의 제조조건 최적화 및 저장성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431-441, 2012

      11 김규열,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291-298, 2010

      12 김숙영,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294-302, 2017

      13 양미옥,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729-735, 2009

      14 이선호, "양배추 분말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74-680, 2010

      15 정인창, "쑥 분말이 첨가된 식빵의 물성 및 관능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332-343, 2006

      16 권민석, "쌀겨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사)한국조리학회 21 (21): 168-180, 2015

      17 김지나, "쌀가루로 제조한 쉬폰케이크의 물리적·관능적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1 (41): 69-76, 2009

      18 김혜영, "쉬폰 케이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알로에의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900-907, 2009

      19 이서은, "솔잎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53-58, 2013

      20 장민우, "브로콜리와 양배추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균 활성"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3

      21 임은정, "브로콜리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873-880, 2010

      22 조경련, "부추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478-484, 2010

      23 황은선,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259-265, 2012

      24 조인영, "미삼과 오미자즙을 첨가한 저염도 배추김치의 특성변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 (20): 305-314, 2005

      25 최은주, "모링가 잎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설기떡의 항산화, 이화학 및 관능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1 (31): 335-343, 2015

      26 최형일, "모링가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사)한국조리학회 24 (24): 188-195, 2018

      27 이재훈, "매생이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83-89, 2007

      28 서강희,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4 (24): 126-135, 2014

      29 박인덕, "단호박퓨레를 첨가한 파운드 케이크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748-754, 2008

      30 정현철, "검은콩 분말의 배합비를 달리한 스펀지 케이크의 제조 및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909-915, 2010

      31 김철암,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8 (38): 188-196, 2006

      32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44 : 307-315, 1986

      33 Chabot JF,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3 : 279-286, 1979

      34 Zulueta A, "ORAC and TEAC assays comparison to measur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food products" 114 : 310-316, 2009

      35 Hyun YH, "Food Materials Science" Hungseul 84-85, 2000

      36 박민경, "Cellulase와 Pectinase를 이용한 사과껍질 폴리페놀 추출 및 항산화 활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35-540, 2009

      37 Baik OD, "Cake baking in tunnel type multi-zone industrial ovens Part II. Evaluation of quality parameters" 33 : 599-607, 2000

      38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39 Giovannini C, "Apoptosis in cancer and atherosclerosis : Polyphenol activities" 43 : 406-416, 2007

      40 Que F,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39 : 111-117, 2006

      4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42 Ragaee S, "Antioxidant activity and nutrient composition of selected cereals for food use" 98 : 32-38, 2006

      43 Singleton VL,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299 : 152-17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