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54개의 보건소 중 해당 계획서를 작성 및 제출한 행정단위 보건소 228개의 2015년-2016년 보건의료계획서를 검토하여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숲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28702
2016
Korean
526
KCI등재
학술저널
39-52(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54개의 보건소 중 해당 계획서를 작성 및 제출한 행정단위 보건소 228개의 2015년-2016년 보건의료계획서를 검토하여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숲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54개의 보건소 중 해당 계획서를 작성 및 제출한 행정단위 보건소 228개의 2015년-2016년 보건의료계획서를 검토하여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숲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총 43개 보건소에서 60개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시도단위별로 경기도 산하 보건소에서 가장 많은 9개의 숲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었고 보건소 단위로는 서울시 성동구와 전라남도 장훙군에서 가장 많은 3개의 프로그램을 각각 운영하고 있었다. 대상자별로 프로그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임산부 대상 프로그램이 8개, 아동 대상 프로그램이 22개, 건강한 성인 대상 프로그램이 20개였으며 장애인 및 암환자를 포함한 특수질환자 대상 프로그램은 10개였다. 아동 대상 프로그램에서 아토피와 천식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은 아토피에 대한 산림치유의 효과가 여전히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숲길 걷기를 이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대사증후군, 치매 예방, 자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이 계획되었다. 숲을 활용한 건강증진프로그램에는 걷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숲 체험, 숲 캠프/여행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건강 정책과 산림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실제운영 결과와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수요자의 입장을 적극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해당 사업을 지역 보건소 뿐 만 아니라 학교, 사업장, 요양시설 등 다양한 기관으로 확장시켜 특정 장소에 국한하지 않고, 지역사회 내의 특성과 산림을 적극 활용한 숲 관련 건강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통합적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관으로 부터의 협조를 제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utilizing forest in public health centers by reviewing 6<SUP>th</SUP> regional healthcare plans in Korea. The regional healthcare plans for 2015-2016 from 228 regions were 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utilizing forest in public health centers by reviewing 6<SUP>th</SUP> regional healthcare plans in Korea. The regional healthcare plans for 2015-2016 from 228 regions were analyzed. Sixty programs from 43 healthcare centers were found. Health promotion programs utilizing forest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age groups and special disease groups. As results, 8 programs for pregnant women, 22 programs for children, 20 programs for adults, and 10 programs for specialized groups including disabled, cancer patients, chronic disease, and mental problems were included in the regional healthcare plans. In the program for children, “atopy prevention and healing program” were most frequently planned even though effect of forest therapy on atopy was still controversial. For adults, health promotion using walking in the forest were most common, and specially planned programs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dementia, and suicide were implemented. Walking, forest experience, forest camp/trip were commonly used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utilizing forest.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health policies and forest health promotion program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이용자 활용 사진 촬영(VEP)을 활용한 북한산국립공원 자연경관 인식 분석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환경위기 인식 및 친환경행동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산림휴양형 계류낚시시설의 경제적 파급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