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세대 소비에트 고려인 회화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5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세대 고려인 회화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에 관한 고찰이다.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민족문화 부흥의 물결이 일면서 고려인은 마음속에 내재했던 고향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무렵 강제이주를 테마로 삼은 신 니콜라이는 고려인의 트라우마를 인류 보편적인 주제로 전환했다. 특별히 김형윤과 김 미하일은 자신이 태어났던 장소인 원동(遠東)에 대한 그리움을 ‘바다, 벼농사’와 같은 모티브를 통해 드러냈다. 한편, 박 니콜라이는 노동이 가져온 소비에트 사회의 결실보다, 일에 매몰되어 일그러진 삶에 주목하였다. 반면 안 블라디미르는 독립운동가와 사회주의 노동 영웅을 위시한, 다양한 분야의 고려인 선도자의 초상을 그림으로써 고려인 사회에 대한 송가를 표현했다. 이처럼 1세대 고려인의 고향 이미지는 그들에게 내재된 원초적인 상념에 대한 이해를 도왔을 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해체 이후 종족적 자아의식이 약해진 후손에게 민족성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본 논문의 의의는 거기에 있다. 또한 고려인의 다층적 의식을 살피는 것은 다문화 사회의 한국이 나아갈 거버넌스 모델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세대 고려인 회화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에 관한 고찰이다.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민족문화 부흥의 물결이 일면서 고려인은 마음속에 내재했던 고향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출하는 ...

      본 연구는 1세대 고려인 회화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에 관한 고찰이다.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민족문화 부흥의 물결이 일면서 고려인은 마음속에 내재했던 고향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무렵 강제이주를 테마로 삼은 신 니콜라이는 고려인의 트라우마를 인류 보편적인 주제로 전환했다. 특별히 김형윤과 김 미하일은 자신이 태어났던 장소인 원동(遠東)에 대한 그리움을 ‘바다, 벼농사’와 같은 모티브를 통해 드러냈다. 한편, 박 니콜라이는 노동이 가져온 소비에트 사회의 결실보다, 일에 매몰되어 일그러진 삶에 주목하였다. 반면 안 블라디미르는 독립운동가와 사회주의 노동 영웅을 위시한, 다양한 분야의 고려인 선도자의 초상을 그림으로써 고려인 사회에 대한 송가를 표현했다. 이처럼 1세대 고려인의 고향 이미지는 그들에게 내재된 원초적인 상념에 대한 이해를 도왔을 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해체 이후 종족적 자아의식이 약해진 후손에게 민족성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본 논문의 의의는 거기에 있다. 또한 고려인의 다층적 의식을 살피는 것은 다문화 사회의 한국이 나아갈 거버넌스 모델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the image of homeland in the first-generation Koryoin paintings. During the Perestroika period, the revival of national culture allowed the Koryoin to express the image of their homeland differently. Around this time, the Shin Nikolai, whose theme was forced deportation, turned the trauma of Koryoin into a universal theme for humanity. In particular, Kim Hyung Yoon and Kim Mikhail expressed their longing for the Far East, where they were born, through motifs such as “sea and rice farming.” Meanwhile, Pak Nikolai focused on the distorted life of work rather than the fruits of Soviet society brought by labor. On the other hand, Ahn Vladimir expressed admiration for leaders of Koryoi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independence fighters and socialist labor heroes.
      As such, the first generation’s homeland image helped descendants understand the original thoughts inherent in 1st Koryoin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instill ethnicity into descendants whose ethnic self-consciousness had weakened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addition, examining the multi-layered consciousness of Koryoin will be meaningful as a governance model for Korea in a multicultural society.
      번역하기

      This paper considers the image of homeland in the first-generation Koryoin paintings. During the Perestroika period, the revival of national culture allowed the Koryoin to express the image of their homeland differently. Around this time, the Shin Nik...

      This paper considers the image of homeland in the first-generation Koryoin paintings. During the Perestroika period, the revival of national culture allowed the Koryoin to express the image of their homeland differently. Around this time, the Shin Nikolai, whose theme was forced deportation, turned the trauma of Koryoin into a universal theme for humanity. In particular, Kim Hyung Yoon and Kim Mikhail expressed their longing for the Far East, where they were born, through motifs such as “sea and rice farming.” Meanwhile, Pak Nikolai focused on the distorted life of work rather than the fruits of Soviet society brought by labor. On the other hand, Ahn Vladimir expressed admiration for leaders of Koryoi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independence fighters and socialist labor heroes.
      As such, the first generation’s homeland image helped descendants understand the original thoughts inherent in 1st Koryoin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instill ethnicity into descendants whose ethnic self-consciousness had weakened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addition, examining the multi-layered consciousness of Koryoin will be meaningful as a governance model for Korea in a multicultural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강제이주와 원동(遠東)에 대한 귀소본능
      • Ⅲ.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삶에 대한 성찰과 송가
      • Ⅳ. 맺음말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강제이주와 원동(遠東)에 대한 귀소본능
      • Ⅲ.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삶에 대한 성찰과 송가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 블라디미르, "화가가 본 20세기 고려인 사회" 문화관광부 국제문화협력팀・(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2007

      2 정막래, "한글신문 선봉을 통해 본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문학과 문화예술" 금철사랑 2017

      3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포커스 카자흐스탄 : 유라시안 유토피아"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2019

      4 이난아, "투르크 세밀화 연구 - 소설 『내 이름은 빨강』을 중심으로 -" 중동문제연구소 16 (16): 137-171, 2017

      5 김문욱,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 좋은땅 2014

      6 심헌용・한 발레리, "중앙아시아의 코리안 에트노스" 이매진 2013

      7 한발레리,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적응 및 사회적 지위, 그리고 성공"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5 (5): 153-171, 2011

      8 임영상,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어제와 오늘" 문화관광부·(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2007

      9 강정원,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 카자흐스탄" 민속원 2017

      10 "조선일보 1996년 12월 31일"

      1 안 블라디미르, "화가가 본 20세기 고려인 사회" 문화관광부 국제문화협력팀・(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2007

      2 정막래, "한글신문 선봉을 통해 본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문학과 문화예술" 금철사랑 2017

      3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포커스 카자흐스탄 : 유라시안 유토피아"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2019

      4 이난아, "투르크 세밀화 연구 - 소설 『내 이름은 빨강』을 중심으로 -" 중동문제연구소 16 (16): 137-171, 2017

      5 김문욱,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 좋은땅 2014

      6 심헌용・한 발레리, "중앙아시아의 코리안 에트노스" 이매진 2013

      7 한발레리,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적응 및 사회적 지위, 그리고 성공"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5 (5): 153-171, 2011

      8 임영상,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어제와 오늘" 문화관광부·(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2007

      9 강정원,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 카자흐스탄" 민속원 2017

      10 "조선일보 1996년 12월 31일"

      11 임형모, "조선사람 소비에트 고려인 고려사람 그리고 고향" 신아출판사 2016

      12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3 김호준, "유라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 주류성 2013

      14 "월간미술 1993년 12월"

      15 국립현대미술관, "아리랑 꽃씨" 컬처북스 2009

      16 "레닌기치 1962년 9월 23일; 1963년 1월 1일; 1972년 7월 29일; 1987년 6월 17일; 1989년 5월; 1995년 2월 4일-3월 4일, 23-31일; 1989년 7월 8일-13일"

      17 신순남, "떠도는 자의 자화상" 문화체육관광부 2007

      18 안상경,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전승 연구 -우즈베키스탄 타시켄트 주 고려인 콜호즈의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 러시아연구소 29 (29): 63-97, 2013

      19 "고려일보 1991년 7월 10일; 1993년 4월 10일; 1995년 2월 4일-3월 4일"

      20 전선하, "고려인 화가 안 블라지미르의 우즈베키스탄과 한반도를 향한 모국성"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6) : 61-87, 2018

      21 한 세르게이, "고려사람 우리는 누구인가" 고담사 1999

      22 Елизавета Ким, "Михаил Ким" Издательская компания RUAN 67-, 2013

      23 Елизавета Ким, "Коре сарам, Алматы: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узей искусстваим.А" Кастеева 2007

      24 А.Кочупалов, "ЗОЛОТАЯ НИТЬ БРАТСКОЙ ДРУЖБЫ"

      25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95300822&lo calCode=CIS"

      26 Zvorykin, A.A, "Cultural Policy in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NESCO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한상문화연구단 ->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영문명 : Reseach Group for Global Korean Business & Culture -> Center for Global Diaspora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5 1.433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