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5장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 변화와 전망 - = The North Korean Polic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Korea-America Relationship: Change and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59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vent of the Obama administration signaled the possibility of a new North Korean policy. Unlike the Bush administration, it mention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have 'direct talk' with North Korea. In this circumstances, North Korea enforced a ...

      The advent of the Obama administration signaled the possibility of a new North Korean policy. Unlike the Bush administration, it mention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have 'direct talk' with North Korea. In this circumstances, North Korea enforced a launch of long-range missile and the second nuclear test as a way to 'take the lead'. This attempt of North Korea seems to have been made to earn the status of a nuclear power and more concession from the United States. The Obama administration took two past failures concerning North Korean nuke issues into consideration and set ‘strategic patience’ as a North Korean policy. That is, it would not hold a direct talk with North Korea that could not be carried out, but it would press North Korea by sanctions and have a conversation with it when conditions that North Korea could keep the negotiation are mature. The strategic patience policy to North Korea was intended to return North Korea to the Six-party talk on condition of its change of actions and make it carry out irreversible nuclear dismantlement. On the other hand, the Korea-US relationship is rapidly getting better as the Obama administration pursues multilateralism and ally first policy as a way to restore the American leadership. For instance, the recent announcement of 'the Joint Vision for the Alliance of South Korea and the US' as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and the agreement to defer 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o December 1, 2015 show the improvement of the Korea-US relationship. This improvement makes two allies have the same view on the North Korean policy. The Obama administration judges that the comprehensive approach, not the gradual approach of the past, is the way to solve the nuclear issue. This is in agreement with the grand bargain policy of Lee Myeong-bak government. The reinforcement of the Korea-US alliance, however, has the dangerous attributes of allies such as entrapment and abandonment as well. Therefore, conflict and cooperation concerning the national profits can be repeated continuously depending on the reinforcement of the Korea-US alliance. For the future-oriented relationship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rinciples and norms to solve mutual conflict and promote cooperation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and through these, the two parties should try to establish a win-win sit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바마 행정부의 등장은 새로운 대북정책의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었다. 부시 행정부와는 달리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과의 ‘직접적인 대화’의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오바마 행정부의 등장은 새로운 대북정책의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었다. 부시 행정부와는 달리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과의 ‘직접적인 대화’의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북한은 ‘기선잡기’의 일환으로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제2차 핵실험을 강행하였다. 북한의 이러한 시도는 핵무기 보유국의 지위와 미국과의 양자협상에서 더 많은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바마 행정부는 그 동안 북한 핵문제와 관련 두 번의 실패를 교훈삼아, 지켜지지 않을 직접협상보다는 제재를 통한 압박을 하며, 북한이 협상을 준수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될 때 대화를 하겠다는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를 대북정책으로 설정하였다. 전략적 인내의 대북정책은 북한 행동변화를 통해 6자회담에 복귀시키며 비가역적인 핵폐기를 이행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한편 한․미관계는 오바마 행정부의 미국적 리더십 회복을 위한 방법으로 다자주의와 동맹국 중시정책을 추진함으로써 급속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최근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한․미동맹을 위한 공동비전’을 발표하고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 12월 1일로 연기하기로 합의한 것은 한․미관계가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한․미관계의 개선은 대북정책에 있어서도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 핵문제 해결의 방향에 있어서도 과거와 같은 단계적 접근보다 포괄적 접근이 해결책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는 이명박 정부의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 정책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그러나 한․미동맹의 강화는 동맹의 속성인 연루와 방기의 위험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미관계의 강화에 따라 국가이익을 둘러싼 갈등과 협력이 지속적으로 상호간에는 반복될 수 있다. 미래지향적인 한․미관계를 위해서는 상호 갈등과 협력을 해결하기 위한 원칙과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통해 상호간에는 궁극적인 윈-윈(win-win) 상황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힐러리 천명한 ‘스마트 파워’ 외교란"

      2 "힐러리 ‘스마트파워로 미국의 리더십 재건할 것’"

      3 김성한, "한미동맹의 현황과 미래비전"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7 (17): 37-65, 2010

      4 조남훈, "한미동맹과 북한의 대응" 2010

      5 황병덕, "천안함 사태 이후 미국 대북정책의 기본방향" 통일연구원 co10-29,

      6 홍현익, "천안함 사건 이후 한국의 대북정책 기조: 평가와 제언" 2010

      7 이대우, "제자리 찾은 한미동맹" (143) : 2009

      8 정은숙, "제8차 NPT평가회의와 비확산 레짐의 미래" 2010

      9 이대우, "제42차 한미안보협의회 : 동맹강화의 새로운 출발점" (197) : 2010

      10 정은숙,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 배경, 성과, 시사점" 2010

      1 "힐러리 천명한 ‘스마트 파워’ 외교란"

      2 "힐러리 ‘스마트파워로 미국의 리더십 재건할 것’"

      3 김성한, "한미동맹의 현황과 미래비전"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7 (17): 37-65, 2010

      4 조남훈, "한미동맹과 북한의 대응" 2010

      5 황병덕, "천안함 사태 이후 미국 대북정책의 기본방향" 통일연구원 co10-29,

      6 홍현익, "천안함 사건 이후 한국의 대북정책 기조: 평가와 제언" 2010

      7 이대우, "제자리 찾은 한미동맹" (143) : 2009

      8 정은숙, "제8차 NPT평가회의와 비확산 레짐의 미래" 2010

      9 이대우, "제42차 한미안보협의회 : 동맹강화의 새로운 출발점" (197) : 2010

      10 정은숙,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 배경, 성과, 시사점" 2010

      11 박병철, "이명박 정부와 대미외교전략" 한국통일전략학회 8 (8): 57-100, 2008

      12 예정웅, "원칙과 실용 결합한 ‘스마트 파워’: 북핵문제 역시 ‘스마트’하게 접근할까?" 민족21 2009

      13 김성철, "외교환경과 한반도" 세종연구소 2009

      14 조민, "오바마행정부와 북한 핵문제-대타협이냐, 대파국이냐. in: 북핵 문제 해결 방향과 북한체제의 변화 전망" 통일연구원 2009

      15 세종연구소, "오바마행정부 출범과 한미동맹의 과제" 세종연구소 2009

      16 방태섭, "오바마 행정부의 북핵문제 접근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9

      17 김종욱, "오바마 행정부의 동북아시아 외교전략과 우리 정부의 정책 방향:한국의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8 (18): 1-31, 2009

      18 조민, "오바마 행정부와 북한 핵문제. in: 북핵 문제 해결 방향과 북한 체제의 변화 전망" 통일연구원 2009

      19 이상현, "오바마 행정부 외교안보정책 기조와 주요 어젠다" (119) : 2008

      20 이상현, "오바마 행정부 외교안보정책 기조와 주요 어젠다" EAI 2009

      21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C) 스마트파워위원회, "스마트 파워" 삼인 2009

      22 조지프 S. 나이, "소프트 파워" 세종연구원 2004

      23 박형중, "북한의 대외․대남정책" KDI 2010

      24 박형, "북한의 6자회담 전략 변경과 향후 전망" co10-34,

      25 백학순, "북한문제 해결은 과연 불가능한가?" 2010

      26 전성훈, "북한 비핵화를 위한 한․미 전략적 협력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원 2009

      27 "백악관 홈페이지"

      28 박병철, "국제사회 대북제제의 현황과 경제적 영향"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1 (11): 201-226, 2010

      29 KDI, "UN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 보고서" 2010

      30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U.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0

      31 Kurt M. Campbell, "The Power of Blance: America in Asia" Center for new American Security 2008

      32 The Obama-Biden Transition Team, "The Obama-Biden Plan"

      33 C. Kenneth Quinones, "The Obama Administratio’s North Korea Policy" 2009

      34 Barack Obama, "Renewing American Leadership"

      35 "Remarks by President Barack Obama, Hradcany Square, Prague, Czech Republic"

      36 Barack, Obama and Joe Biden, "Protecting U.S Interest and Advancing American Values in Our Relationship with china"

      37 "President Barack Obama's Inaugural Address"

      38 "MB와 오바마, 그리고 한반도"

      39 Joseph Nye, Jr, "Get Smart" 88 (88): 2009

      40 Managing Global Insecurity, "A Plan for Action: A New Er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 Changed World 2009, 2010, and Beyond" MGI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