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후기 安東金氏 金恂系의 정치활동과 성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248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한국사학과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political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Kim Soon the house of Ahn-Dong-Kim's lineage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 형태사항

        v, 57 p. : 가계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진한
        부록: 1. 金恂 家系의 通婚圈
        참고문헌: p. 52-55

      • UCI식별코드

        I804:11009-000000085123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후기 성장한 정치세력의 형성과 변화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金恂系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4세기 고려가 원에 직간접적으로 간섭을 받게 되면서 지배층은 새로이 재편되...

      본 논문은 고려후기 성장한 정치세력의 형성과 변화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金恂系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4세기 고려가 원에 직간접적으로 간섭을 받게 되면서 지배층은 새로이 재편되었다. 이때 김순계 인물들은 시대의 흐름에 맞춰 정치활동을 이어나가고 인적관계망을 형성하여 꾸준히 높은 위상을 유지해 나갈 수 있었다.
      金方慶의 막내아들인 김순은 고려 내에서 활동한 고려 내부 관인의 단면을 보여주기에 의미가 있다. 그는 과거에 급제하여 忠宣王이 세자인 시절부터 世子府 관직을 역임하며, 1298년(충선왕 즉위) 당시 충선왕 개혁세력으로 활동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忠烈王이 복위된 이후에도 등용되어 정계활동을 이어갔으며, 이듬해 韓希愈 무고사건이 벌어지고 1300년 김방경마저 사망하면서 고향인 安東으로 내려가 한거하게 되었다.
      또한 급변하는 麗-元관계 속에서 김순계 인물들이 당시 세족들과의 통혼권을 형성하여 권세를 유지하였음이 주목된다. 김순은 孔巖許氏 許珙의 딸과 혼인해 세족으로서의 입지를 탄탄히 하였으며, 이후 그의 자손들은 利川申氏, 淸州韓氏, 南陽洪氏, 安東權氏, 慶州李氏 등 당시 세족들과의 혼인관계를 맺었다. 그 중 괄목할 만한 변화를 가져온 것은 딸들의 혼인이었으며, 남양홍씨 洪奎와의 중첩된 통혼권을 형성하여 고려 내부에서의 정치적 위상을 향상시키고 원 조정까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후 원과의 관계가 심화되면서 당시 지배층들은 관직 및 인적관계망을 바탕으로 원과의 관련성을 강조해나가기 시작하였다. 이때 김순계 인물들 또한 선대에 형성된 견고한 인적관계망을 바탕으로 원의 지배층과 교류하였고 그들의 정치적 위상을 높여갈 수 있었다. 특히, 김영돈은 원에 자주 왕래하며 別里哥不花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整治都監 判事를 역임하며 忠穆王의 개혁정치를 수행해 나갔다.
      恭愍王代에는 2대 金永煦를 필두로 하여 3대 金縝, 4대 金士安, 金士衡 등이 활동하였다. 김영후는 書筵에서 공민왕의 의견에 반대할 정도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원로대신이었으며, 김진은 辛旽의 당여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김사형은 朱子性理學을 정치에 적용하고자 하는 新進士類로서 李成桂, 趙浚, 鄭道傳 등과 어울리며 여말 주요 사건에서 활약하였다. 이후 조선건국에 참여하며 1등개국공신이 되었다.
      이상으로 김순계 인물들은 왕실과의 통혼권을 형성하지는 못하였지만 지속적인 개혁활동과 여타 세족들과의 중첩된 통혼권 형성, 그리고 신진사류로의 전환 등이 시대의 흐름과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고려후기 지배층으로 자리할 수 있었다.
      고려후기 김순계 인물들은 사회모순을 개혁하려는 지식인 계층으로서 고려에서 조선초로 이어지는 지배층의 한 양상을 보여준다. 나아가 김순계의 성장은 고려후기 혼돈의 정치상황과 지배층의 인적관계망 및 권력재생산 구조, 여말선초 지배세력의 성격변화 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1
      • Ⅰ. 金恂의 생애와 주요활동 7
      • Ⅱ. 金恂系의 통혼권 23
      • Ⅲ. 金恂系의 특징과 위상 31
      • 1) 金永旽의 정치도감 활동 31
      • 머리말 1
      • Ⅰ. 金恂의 생애와 주요활동 7
      • Ⅱ. 金恂系의 통혼권 23
      • Ⅲ. 金恂系의 특징과 위상 31
      • 1) 金永旽의 정치도감 활동 31
      • 2) 金士衡의 조선 건국 참여 38
      • 맺음말 48
      • 參考文獻 52
      • Abstract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