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東洋學硏究院 50년의 성과와 과제 =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50 Ye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9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succeeds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hich was founded in September 28, 1970.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as reorganized into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in September 2011 and is now continuing. This year i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This paper traces back the Academy’s 50-year activities and achievements, and suggests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s. The greatest accomplishment of the Academy is the comple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and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t the end of the 30 some years of efforts, the Academy completed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and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fter the completion of these dictionaries, the Academy is planning to continuously compile dictionaries, such as the Yidu Dictionary and the Korean-orig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hich the academic world requires. The Academy has contributed to oriental studies’ developments by publishing the Oriental Studies that is a journal list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hosting annually the Academic Conference for Asian Studies, publishing “Asian Studies Series”, and so on. For the future, the Academy should contribute to academic advancements by consistently publishing the Oriental Studies and “Asian Studies Series”, and continuously hosting the academically highly valuable Academic Conference for Asian Studies. The Academy under itself has Institute of History & Culture, Institute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and Institute of East Asian Interchanges as its subsidiary institutes. The Academy should search for the methodologies to invigorate its subsidiary institutes which are the bases of the academy system.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renewedly professed for Asian studies within its systemic reorganization. The Academy should establish its research areas and goals as much as it professes Asian studies. Also, the expansion of researcher pool and the budget support are necessary to back it up. In order to expand and reinvigorate research activities, stabler budget should be supported. Currently, the Humanities including Asian studies goes through the era pursuing useful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In such a circumstance, it is predictable that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shall face a lot of difficulties in its future. I hope that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will make remarkable progress so that it can become a central institution for Asian studies at home and abroad beyond Dankook University’s central research institute around the time of the next 60th or 70th anniversary.
      번역하기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succeeds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hich was founded in September 28, 1970.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as reorganized into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in September 2011 and is now continuing. This year is ...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succeeds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hich was founded in September 28, 1970.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as reorganized into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in September 2011 and is now continuing. This year i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This paper traces back the Academy’s 50-year activities and achievements, and suggests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s. The greatest accomplishment of the Academy is the comple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and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t the end of the 30 some years of efforts, the Academy completed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and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fter the completion of these dictionaries, the Academy is planning to continuously compile dictionaries, such as the Yidu Dictionary and the Korean-orig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hich the academic world requires. The Academy has contributed to oriental studies’ developments by publishing the Oriental Studies that is a journal list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hosting annually the Academic Conference for Asian Studies, publishing “Asian Studies Series”, and so on. For the future, the Academy should contribute to academic advancements by consistently publishing the Oriental Studies and “Asian Studies Series”, and continuously hosting the academically highly valuable Academic Conference for Asian Studies. The Academy under itself has Institute of History & Culture, Institute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and Institute of East Asian Interchanges as its subsidiary institutes. The Academy should search for the methodologies to invigorate its subsidiary institutes which are the bases of the academy system.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renewedly professed for Asian studies within its systemic reorganization. The Academy should establish its research areas and goals as much as it professes Asian studies. Also, the expansion of researcher pool and the budget support are necessary to back it up. In order to expand and reinvigorate research activities, stabler budget should be supported. Currently, the Humanities including Asian studies goes through the era pursuing useful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In such a circumstance, it is predictable that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shall face a lot of difficulties in its future. I hope that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will make remarkable progress so that it can become a central institution for Asian studies at home and abroad beyond Dankook University’s central research institute around the time of the next 60th or 70th anniver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양학연구원의 전신은 東洋學硏究所로 1970년 9월 28일에 설립되었다. 동양학연구소는 2011년 9월에 동양학연구원으로 개편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올해로 동양학연구원은 開院 50주년을 맞이하였다. 동양학연구원 50년의 활동과 성과를 되짚어보면서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들을 제시해보았다. 동양학연구원의 가장 큰 업적은 『韓國漢字語辭典』과 『漢韓大辭典』의 완간일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30여 년간의 노력 끝에 『한국한자어사전』과 『한한대사전』 편찬을 완성하였다. 이들 사전을 완간한 이후, 『이두사전』, 『한국고유한자자전』 등 학계가 필요로 하는 각종 사전을 지속적으로 편찬할 예정이다. 동양학연구원은 등재학 술지 『東洋學』 발간, 동양학학술회의의 개최, 동양학총서 간행 등을 통해 동양학 발전에 기여해 왔다. 앞으로 도 『東洋學』과 동양학총서의 지속적인 간행, 학술 가치가 높은 동양학학술회의 개최 등을 통해 학문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역사문화연구소, 동아시아전통문화연구소, 동아시아교류연구소 등의 산하 연구소를 두고 있다. 앞으로 동양학연구원은 연구원 체제의 근간인 산하 연구소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체제 개편과 함께 새롭게 아시아학을 표방하였다. 이제 아시아학을 표방하고 있는 만큼 이에 걸맞은 연구 영역과 목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자확충과 예산 지원도 필요하다. 연구 활동의 확장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좀 더 안정적인 예산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동양학을 비롯한 인문학은 효용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시대와 함께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양학연구원의 앞날에는 많은 난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60년, 70주년에 즈음해서는 동양학연구원이 단국대학교의 중추 연구기관을 넘어 국내외 아시아학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괄목상대한 발전이있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동양학연구원의 전신은 東洋學硏究所로 1970년 9월 28일에 설립되었다. 동양학연구소는 2011년 9월에 동양학연구원으로 개편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올해로 동양학연구원은 開院 50주년을 맞...

      동양학연구원의 전신은 東洋學硏究所로 1970년 9월 28일에 설립되었다. 동양학연구소는 2011년 9월에 동양학연구원으로 개편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올해로 동양학연구원은 開院 50주년을 맞이하였다. 동양학연구원 50년의 활동과 성과를 되짚어보면서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들을 제시해보았다. 동양학연구원의 가장 큰 업적은 『韓國漢字語辭典』과 『漢韓大辭典』의 완간일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30여 년간의 노력 끝에 『한국한자어사전』과 『한한대사전』 편찬을 완성하였다. 이들 사전을 완간한 이후, 『이두사전』, 『한국고유한자자전』 등 학계가 필요로 하는 각종 사전을 지속적으로 편찬할 예정이다. 동양학연구원은 등재학 술지 『東洋學』 발간, 동양학학술회의의 개최, 동양학총서 간행 등을 통해 동양학 발전에 기여해 왔다. 앞으로 도 『東洋學』과 동양학총서의 지속적인 간행, 학술 가치가 높은 동양학학술회의 개최 등을 통해 학문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역사문화연구소, 동아시아전통문화연구소, 동아시아교류연구소 등의 산하 연구소를 두고 있다. 앞으로 동양학연구원은 연구원 체제의 근간인 산하 연구소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체제 개편과 함께 새롭게 아시아학을 표방하였다. 이제 아시아학을 표방하고 있는 만큼 이에 걸맞은 연구 영역과 목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자확충과 예산 지원도 필요하다. 연구 활동의 확장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좀 더 안정적인 예산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동양학을 비롯한 인문학은 효용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시대와 함께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양학연구원의 앞날에는 많은 난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60년, 70주년에 즈음해서는 동양학연구원이 단국대학교의 중추 연구기관을 넘어 국내외 아시아학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괄목상대한 발전이있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주환, "한국한자어사전의 편찬과 교열"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4 : 1986

      2 "한국일보, 1996년 11월 11일자"

      3 박형익, "한국 자전의 해제와 목록" 역락 2016

      4 박찬규, "편찬실의 역사"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80 : 2020

      5 김철웅, "연구실의 역사"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80 : 2020

      6 장충식, "시대를 넘어 미래를 열다" 노스보스 2011

      7 장유승, "번역실의 역사"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80 : 2020

      8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동양학연구원 간행도서 목록집"

      9 김동현, "동양문화와 한자사전"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9

      10 단국대학교 70년사 편찬위원회, "단국대학교 70년사" 단국대학교 2017

      1 차주환, "한국한자어사전의 편찬과 교열"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4 : 1986

      2 "한국일보, 1996년 11월 11일자"

      3 박형익, "한국 자전의 해제와 목록" 역락 2016

      4 박찬규, "편찬실의 역사"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80 : 2020

      5 김철웅, "연구실의 역사"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80 : 2020

      6 장충식, "시대를 넘어 미래를 열다" 노스보스 2011

      7 장유승, "번역실의 역사"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80 : 2020

      8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동양학연구원 간행도서 목록집"

      9 김동현, "동양문화와 한자사전"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9

      10 단국대학교 70년사 편찬위원회, "단국대학교 70년사" 단국대학교 2017

      11 "교수신문, 2012년 5월 4일자"

      1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韓國漢字語辭典 1" 단대출판부 1992

      1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漢韓大辭典 1" 단대출판부 1999

      14 黃浿江, "東洋學硏究所의 回顧와 展望"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30 : 2000

      15 동양학연구소, "東洋學硏究所 略史"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 : 1990

      16 김지영,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의 DB구축과 온라인 사전편집기" 동양학연구원 (54) : 213-246, 2013

      17 정재철, "『漢韓大辭典』의 편찬 방향과 사전사적 의미" 동양학연구원 (46) : 311-331, 2009

      18 박찬규, "「한국한자어사전」에 수용된 이두·구결·차자어의 구성과 출전문헌" 동양학연구원 (52) : 213-261, 2012

      19 윤승준, "「漢韓大辭典」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 동양학연구원 (52) : 147-16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