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제1부 국내외 수상소설의 실체 탐색
- 1. 폭력 대응과 생명의식의 소설미학 : 한강의『채식주의자』『흰』읽기 담론 = 14
- 2. 예술가소설 등으로 다양한 모색 : 가즈오 이시구로의 문학 탐색 = 36
- 3. 단편서사를 통한 자전적 서민세계 : 엘리스 먼로의 삶과 문학 = 5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M14927282
서울 : 문학세계사, 2018
2018
한국어
809 판사항(22)
9788970758800 93810 : ₩18,000
일반단행본
서울
세계문학 넘어서기 : 이명재 평론집 / 이명재 지음.
Beyond world literature
302 p. ; 23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온라인 서점 구매
책소개
자료제공 :
세계문학 넘어서기 (이명재 평론집)
우리문학의 세계 진출 문제 1970년대 중엽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이후 40년 동안 비평 활동을 해온 이명재(중앙대 명예교수)의 7번 째 평론집 『세계문학 넘어서기』가 출간되었다. 이 평론집에서는 국내 문단 담론 일색이던 이전 비평집과 달리 우리문학의 세계 진출 문제를 여럿 다루었다. 한국문학에 끼친 서양문학의 영향 밖에 접근 과제 등을 논의한 것이다. 아울러 노벨상, 맨부커상을 통한 문제도 제기하였다. 1901년 이래 거의 해마다 서양 위주의 문화올림픽으로 시행되어온 노벨문학상 경우는 아시아에서 인도, 이스라엘, 터키, 일본, 중국에 비해 우리는 어떤 처지인가. 일본은 두 번이나 수상하는 사이에 한국은 늘 변방의 타자적 존재로 소외되었고 불편한 스캔들만 남겼었다. 이제는 국가 상호간의 균형과 경쟁력 있는 문학예술의 실체 파악을 위해서 우리 스스로 진지하게 임할 일이다. 한국문학도 세계문학 변방을 서성거리지만 말고 그 중심부에 자리해야 할 계제이다. 한국 문단의 수준은 적어도 노벨문학상 같은 정상을 이미 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