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는 고학력 사회의 고착화 과정에서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에 따른 반사회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50043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2020
한국어
512.5153 판사항(5)
부산
The effect of music psychotherapy on the anti-soci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on employment stress
vii, 72 p. : 천연색삽화, 도표 ; 27 cm
지도교수: 이동주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55-63
I804:21008-20000032063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사회는 고학력 사회의 고착화 과정에서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에 따른 반사회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는 고학력 사회의 고착화 과정에서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에 따른 반사회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하여 취업 스트레스 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반사회성 성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리적 반발심 척도와 부정적 정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취업을 준비하면서 취업스트레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으로 무선배치하였다. 사전에 내담자들의 곡 선호도를 조사하고 전문가의 프로그램 검증 후 주 1회씩 총 8회기의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둘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셋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반발심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넷째,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음악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따른 반사회성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로써 취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으로 회복되어 긍정적인 마음으로 취업을 준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