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학치료의 본질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4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철학이 치료가 될 수 있는가? 철학이 치료라면 그 방법은 무엇인가? 이 글의 목적은 철학치료의 대 상과 방법을 검토하여 그 본질을 파악하고 철학치료가 현실에 뿌리를 내리는 데 있어서 해결되어 야 할 과제들을 검토하는 데 있다. 첫째, 철학치료의 목적, 대상, 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철학치료의 본성이 논의된다. 둘째, 철학치 료의 주 대상을 철학적 병을 앓고 있는 정상인으로 보고 그 병에 대해 존재론적, 인식론적, 논리적, 윤리적, 미학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 주장된다. 또한 질병분류체계와 치료차원을 검토 하여 철학치료의 정체성을 논의하기 위한 예비적 작업이 수행된다. 셋째, 철학치료의 정체성을 자기지시적, 주체적, 목적론적 특징을 통해 파악하고 철학치료의 세 가 지 원리, 즉 체화성 원리, 초월성 원리, 목적 상대성 원리가 제시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실천추리에 기반을 둔 목적론적 모형이 제시된다. 의학치료와 심리치료가 마음의 병에 대해 인과적 접근을 취 하는 데 비해 철학치료는 삶의 목적을 강조하는 목적론적 접근을 취한다는 점이 주장된다. 마지막으로 방법론적 측면에서 철학치료가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들이 검토된다. 철학치료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치료법으로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요소들, 즉 치료 모형, 진단법, 치료 기법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문학, 역사, 예술, 심리와 같은 인접 분야들과의 협력 이 요구된다는 점이 지적된다.
      번역하기

      철학이 치료가 될 수 있는가? 철학이 치료라면 그 방법은 무엇인가? 이 글의 목적은 철학치료의 대 상과 방법을 검토하여 그 본질을 파악하고 철학치료가 현실에 뿌리를 내리는 데 있어서 해...

      철학이 치료가 될 수 있는가? 철학이 치료라면 그 방법은 무엇인가? 이 글의 목적은 철학치료의 대 상과 방법을 검토하여 그 본질을 파악하고 철학치료가 현실에 뿌리를 내리는 데 있어서 해결되어 야 할 과제들을 검토하는 데 있다. 첫째, 철학치료의 목적, 대상, 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철학치료의 본성이 논의된다. 둘째, 철학치 료의 주 대상을 철학적 병을 앓고 있는 정상인으로 보고 그 병에 대해 존재론적, 인식론적, 논리적, 윤리적, 미학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 주장된다. 또한 질병분류체계와 치료차원을 검토 하여 철학치료의 정체성을 논의하기 위한 예비적 작업이 수행된다. 셋째, 철학치료의 정체성을 자기지시적, 주체적, 목적론적 특징을 통해 파악하고 철학치료의 세 가 지 원리, 즉 체화성 원리, 초월성 원리, 목적 상대성 원리가 제시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실천추리에 기반을 둔 목적론적 모형이 제시된다. 의학치료와 심리치료가 마음의 병에 대해 인과적 접근을 취 하는 데 비해 철학치료는 삶의 목적을 강조하는 목적론적 접근을 취한다는 점이 주장된다. 마지막으로 방법론적 측면에서 철학치료가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들이 검토된다. 철학치료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치료법으로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요소들, 즉 치료 모형, 진단법, 치료 기법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문학, 역사, 예술, 심리와 같은 인접 분야들과의 협력 이 요구된다는 점이 지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n be philosophy a therapy? If philosophy is really a therapy, then what is its primary therapeut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nature of philosophical therapy and main tasks for it to be rooted in reality by figuring out its what-side and how-side. In this paper, firstly, I shall examine the nature of philosophical therapy by focusing its aim, objects, and methods. Secondly, I shall I shall argue that the main object of philosophical therapy is philosophical disease or normal person, not a patient, who suffers from the disease, and suggests its characteristics, and we have approach it in ontological, epistemic, logic, ethical, and aesthetic dimensions. Also, I shall perform preliminary stages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therapy by examining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rapeutic dimensions. Thirdly, I suggest self-referential, independent and autonomous, teleological characteristics as indicators of identity of philosophical therapy and three principles of philosophical therapy- embodiment principle, transcendence principle, and purpose-relativity principle. Also I suggest my teleological model as a concrete example of philosophical therapy, Here I shall argue that while medical and psychological therapies rely mainly on causation, philosophical therapy takes a teleological approach by emphasizing the telos of life. Lastly, I shall I shall deal with urgent methodological problems for present Korean philosophical therapy society. In order to achieve its aim, our society have to prepare not only some institutional agenda which are necessary for agenda to put down its roots in reality such as therapeutic models, diagnostic methods, and therapeutic techniques, but also cooperative relation in other adjacent field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rts, and psychology.
      번역하기

      Can be philosophy a therapy? If philosophy is really a therapy, then what is its primary therapeut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nature of philosophical therapy and main tasks for it to be rooted in reality by figuring out ...

      Can be philosophy a therapy? If philosophy is really a therapy, then what is its primary therapeut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nature of philosophical therapy and main tasks for it to be rooted in reality by figuring out its what-side and how-side. In this paper, firstly, I shall examine the nature of philosophical therapy by focusing its aim, objects, and methods. Secondly, I shall I shall argue that the main object of philosophical therapy is philosophical disease or normal person, not a patient, who suffers from the disease, and suggests its characteristics, and we have approach it in ontological, epistemic, logic, ethical, and aesthetic dimensions. Also, I shall perform preliminary stages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therapy by examining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rapeutic dimensions. Thirdly, I suggest self-referential, independent and autonomous, teleological characteristics as indicators of identity of philosophical therapy and three principles of philosophical therapy- embodiment principle, transcendence principle, and purpose-relativity principle. Also I suggest my teleological model as a concrete example of philosophical therapy, Here I shall argue that while medical and psychological therapies rely mainly on causation, philosophical therapy takes a teleological approach by emphasizing the telos of life. Lastly, I shall I shall deal with urgent methodological problems for present Korean philosophical therapy society. In order to achieve its aim, our society have to prepare not only some institutional agenda which are necessary for agenda to put down its roots in reality such as therapeutic models, diagnostic methods, and therapeutic techniques, but also cooperative relation in other adjacent field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rts, and psych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머리말
      • 2. 철학치료의 정의
      • 3. 질병 분류와 치료차원
      • 가. 질병 분류
      • Abstract
      • 1. 머리말
      • 2. 철학치료의 정의
      • 3. 질병 분류와 치료차원
      • 가. 질병 분류
      • 나. 치료 차원
      • 4. 철학치료의 정체성과 원리
      • 가. 정체성
      • 나. 철학치료의 원리
      • 5. 당면 과제
      • 가. 치료 모형 개발
      • 나. 철학적 병의 분류체계 구비
      • 다. 철학적 진단법 개발
      • 라. 철학치료 기법 개발
      • 마. 다른 치료들과의 적절한 관계망 형성
      • 바. 교육제도 구비
      • 6. 맺는 말
      • 참고문헌
      • 요약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의, "확장된 마음 가설에 대한 변호" 범한철학회 60 (60): 185-204, 2011

      2 김태환,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이영의, "체화된 마음과 마음의 병" 중앙철학연구소 23 : 5-37, 2008

      4 김영진, "철학적 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 임상철학" 철학과현실사 2004

      5 박병기, "철학실천의 위험성 -철학상담과 소크라테스대화의 경우-" 철학사상연구소 (37) : 245-273, 2010

      6 이진남, "철학상담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기초이론연구 -용어 정리와 체계 설정을 위한 제언-" 범한철학회 52 (52): 331-364, 2009

      7 이진남,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심리상담" 동서사상연구소 10 : 2011

      8 김옥진,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그 한계: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8 : 13-32, 2009

      9 박은미, "철학상담의 방법론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 -그 적용방법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413-451, 2010

      10 이영의, "철학상담과 심리치료의 관계: 아헨바흐의 견해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53 (53): 387-408, 2009

      1 이영의, "확장된 마음 가설에 대한 변호" 범한철학회 60 (60): 185-204, 2011

      2 김태환,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이영의, "체화된 마음과 마음의 병" 중앙철학연구소 23 : 5-37, 2008

      4 김영진, "철학적 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 임상철학" 철학과현실사 2004

      5 박병기, "철학실천의 위험성 -철학상담과 소크라테스대화의 경우-" 철학사상연구소 (37) : 245-273, 2010

      6 이진남, "철학상담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기초이론연구 -용어 정리와 체계 설정을 위한 제언-" 범한철학회 52 (52): 331-364, 2009

      7 이진남,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심리상담" 동서사상연구소 10 : 2011

      8 김옥진,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그 한계: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8 : 13-32, 2009

      9 박은미, "철학상담의 방법론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 -그 적용방법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413-451, 2010

      10 이영의, "철학상담과 심리치료의 관계: 아헨바흐의 견해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53 (53): 387-408, 2009

      11 김영필, "정신치료의 철학적 지평" 철학과 현실사 2008

      12 이영의, "인문치료 정체성, In 인문치료 1" 강원대학교출판부 2011

      13 김석수, "심리치료와 철학상담의 발전적 관계에 대한 모색"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7) : 65-96, 2009

      14 이시형, "세로토닌하라" 중앙북스 2010

      15 이운형, "상담철학이란 무엇인가 ― 상담철학에 대한 과학철학적 접근" 19 : 2010

      16 이영의, "논리중심치료의 철학치료적 성격" 범한철학회 65 (65): 147-168, 2012

      17 이영의, "논리기반치료의 형이상학" 범한철학회 67 (67): 267-285, 2012

      18 Cohen, E., "What Would Aristotle Do?" Prometheus 2003

      19 Clark, A., "The extended mind" 58 : 1988

      20 Frankl, V. E., "The Will to Meaning" World Pub 1969

      21 Cohen, E, "The New Rational Therapy" Rowman & Littlefield 2009

      22 Varela, F., "The Embodied Mind" MIT Press 1991

      23 Cohen, E, "The Dutiful Worrier: HowTo Stop Compulsive Worry Without Feeling Guilty" New Harbinger Pub 2011

      24 Ellis, A.,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Impact 2005

      25 Thompson, E., "Radical Embodiment: Neural Dynamics and Consciousness" 5 : 2001

      26 Marinoff, L., "Plato Not Prozac: Applying Philosophy to Everyday Problems" Quill 1999

      27 이영의, "Methodologies of humanities therapy" 38 (38): 2011

      28 Frankl, V. E., "Man’s Search for Ultimate Meaning" Perseus Books 1959

      29 von Wright, G.H.,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Cornell University Press 1971

      30 Spinoza, B., "Ethics, translated by G.H.R. Parkin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1 Lahav, R., "Essays on Philosophical Counseling"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5

      32 이영의, "Embodied Mind Theory as a Founda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1 : 2010

      33 Corsini, R., "Current Psychotherapies" Thomson 2008

      34 이영의, "A Teleological Model for Philosophical Practice" 3 : 2012

      35 이영의, "A More Philosophical Model of Counseling" 37 (3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